KR200311448Y1 - 젖은 우산탈수기 - Google Patents

젖은 우산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448Y1
KR200311448Y1 KR20-2003-0001159U KR20030001159U KR200311448Y1 KR 200311448 Y1 KR200311448 Y1 KR 200311448Y1 KR 20030001159 U KR20030001159 U KR 20030001159U KR 200311448 Y1 KR200311448 Y1 KR 200311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ewatering
roller
absorbing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유진
박선숙
Original Assignee
한유진
박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유진, 박선숙 filed Critical 한유진
Priority to KR20-2003-0001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4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은 우산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부에 하나 또는 두개의 탈수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상시 탈수부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통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부에 부착되며 우산에 묻어있는 빗물을 접촉을 통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흡수롤러 및 압착롤러를 가지는 다수의 흡· 탈수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탈수부의 투입공으로 젖은 우산을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수 회 이동시켜서 우산의 투입과 배출시 접촉에 의해 회전을 하는 흡수롤러의 표면에 있는 흡수재에 젖은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옮기고 동시에 흡수재에 흡수되어 있는 빗물을 압착롤러가 짜내는 연속적인 작동을 통해 우산을 탈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빗물이 묻어있는 우산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어 백화점, 호텔, 대형건물 등에서 우산의 탈수를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불편이 없으며, 손쉬운 우산의 투입과 배출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젖은 우산탈수기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어디에서나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우산 및 단우산의 사용도 가능하여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으로 인한 실내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우산용 비닐주머니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환경오염을 줄여 주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젖은 우산탈수기{DEHYDRATION DEVICE OF WET UMBRELLA}
본 고안은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우산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에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비에 젖은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동식의 젖은 우산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 내리는 날 백화점, 할인매장, 대형 주택 및 사무용 건물 등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장소에서는 젖은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로 인하여 실내 환경이 오염되고, 또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로 인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실내바닥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빗물에 의하여 바닥이 미끄러워 사람들이 넘어지는 등의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비에 젖은 우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 수거용 비닐주머니를 제공하거나, 또는 젖은 우산을 비닐주머니에 담아주는 우산용 비닐봉투 인출기등의 기계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비닐주머니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로 버려져 자원의 낭비가 되고, 재활용되지 못하는 비닐주머니로 인하여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비닐봉투 인출기라는 장비는 젖은 우산을 담는 편리성은 있지만 고비용이 투자되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역시 비닐주머니가 자원의 낭비 및 환경의 오염 그리고 건물주변의 환경을 더럽히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젖은 우산에 분사하거나,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분리 또는 흡입하여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거나, 우산의 회전을 통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과다한 시간 및 우산의 파손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제 사용상의 어려움이 발생되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짧은 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비에 젖은 우산을 탈수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4476 호(출원번호 20-2002-0002835) "우산 탈수기"가 제시되었다. 상기 우산 탈수기는 본체 내부에 수직 설치되면 그 상단과 하단에는 투입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탈수통과, 이 탈수통의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평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관통공의 둘레에는 방사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탈수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우산을 상기 탈수패드의 관통공에 끼워 승강시키면 이 우산에 묻은 빗물이 탈수패드에 의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우산 탈수기에 다층으로 소정간격으로 적층되는 탈수패드는 고무계열의 발포성 흡수소재의 시트로서 젖은 우산이 접촉되면 빗물을 흡수하도록 되어있고, 연속적으로 젖은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흡수하면 누적된 빗물이 탈수패드로부터 낙수되는 구성이므로 탈수패드가 젖어 있으면 차기의 젖은 우산의 빗물이 탈수패드에 즉시 흡수되지 않게 됨은 물론 우산의 천에 다시 묻히는 결과가 되므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연속적으로 탈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젓은 우산 탈수기는 우산의 사용자가 본체의 내부에 젖은 우산을 삽입하여 1~4회 정도 상하로 움직여 주면, 탈수기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흡· 탈수부재의 흡수롤러에 우산의 빗물이 묻어있는 천을 접촉시키면 우산의 천 표면과 서로 접촉하면서 회전할 때 빗물이 흡수롤러에 흡수하게 되고, 상기 흡수롤러에 흡수된 빗물은 맞물려 회전되도록 후방에 위치된 압착롤러에 의하여 짜내어져 탈수되도록 함으로써, 우천시에도 사용자가 빗물이 탈수된 우산을 직접 휴대하면서 실내에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 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며, 우산용 비닐주머니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젖은 우산탈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본 고안의 목적은 탈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 우산과 단 우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탈수부를 본체 내에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전용의 탈수부를 통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탈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상단과 하단에 투입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는 우산의 천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탈수부의 흡· 탈수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케이스가 배치되며, 상기 배수구로 물받이가 수납되어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도록 이루어지는 우산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의 케이스는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다수의 상기 흡· 탈수부재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선단은 자유롭게 우산의 천과 접촉되어 유동되도록 지지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흡수롤러 및 흡수된 빗물을 탈수하는 압착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면서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가 상광하협하게 다단으로 조립되면서 상기 흡· 탈수부재들이 투입구 쪽으로부터 하부의 배수구 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우산을 상기 흡· 탈수부재들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승하강시키면 이 우산에 묻은 빗물이 흡수롤러에 의해 제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다른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에 투입구와 배수구를 추가하여 각각 형성하고, 내부의 탈수부 일측에 우산의 천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흡· 탈수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제2 케이스와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2 케이스에 내에 흡·탈수부재들을 설치한 제2 탈수부를 추가형성하여 상기 탈수부에서는 장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고, 상기 제2 탈수부에서는 단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도록 하며, 배수구로 물받이가 추가 수납되어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도록 하나의 본체에 이중의 탈수부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에 의하여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탈수기의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탈수기의 흡· 탈수부재들이 케이스에 원을 그리면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탈수기의 흡· 탈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흡· 탈수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탈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에 사용되는 정지판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탈수부의 흡· 탈수부재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본체 2 : 탈수부
3 : 흡·탈수부재 4 : 케이스
31 : 흡수롤러 32 : 압착롤러
33 : 흡수재 36 : 브래킷
37 : 가이드판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젖은 우산탈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젖은 우산탈수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부호 1은 본체, 2는 탈수부, 3은 흡· 탈수부재, 4는 케이스, 11은 투입구, 12는 배수구, 13은 물받이이며, 14와 15는 배수구(12) 및 투입구(11)를 개폐하는 앞문 및 덮개를 나타낸다.
상기 본체(1)는 육면체 또는 미도시된 원통형상를 이루면서 상단과 전면 하단에는 투입구(11)와 배수구(12)가 각각 형성되며, 이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11)로 유입되는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탈수부(2)와, 상기 배수구(12)로 수납되어 탈수부(2)로부터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는 물받이(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부(2)는 본체(1)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케이스(4)와, 상기 케이스(4)의 내측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흡· 탈수부재(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4)는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3~6개가 한 조를 이루도록 다단으로 적층 조립되어 상기 흡· 탈수부재(3)들이 투입구(11) 쪽으로부터 하부의 배수구(12) 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산꼭지(102)에 위치한 천(101)에 묻어 있는 빗물도 상기 흡· 탈수부재(3)들에 의해 용이하게 접촉되어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수부(2)의 흡· 탈수부재(3)는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젖은 우산(100)의 천(101)에 묻어있는 빗물을 탈수하는 것으로서, 흡수롤러(31) 및 압착롤러(32)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대(35)와, 상기 지지대(35)의 일단을 케이스(4)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브래킷(36) 그리고 상기 지지대(35)에 고정되는 가이드판(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수롤러(31)는 본체(1)의 투입구(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위치되면서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접촉을 통해 흡수할 수 있도록 흡수재(33)가 표면에 접착된다. 상기 흡수재(33)은 상기 지지대(35)의 선단에 축(34)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젖은 우산(100)의 천(101)에 묻어 있는 빗물을 접촉을 통해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스펀지 또는 고무계열의 발포성 수지로 형성하되 내구성을 지닌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롤러(31)의 형상을 뾰족한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접혀지는 우산(100)의 천(101)의 깊은 곳까지 표면에 접착된 흡수재(33)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빗물의 흡수 효과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흡수재(33)의 표면을 요철형상 또는 다공(多孔)성을 가지면 빗물의 흡수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기술한 흡수롤러(31)와 압착롤러(32)의 폭과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그 수량을 증감하여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압착롤러(32)는 상기 흡수롤러(31)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지지대(35)에 축(34')으로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흡수롤러(31)에 부착된 흡수재(33)를 압착하면서 수집된 빗물을 짜내어 탈수하게 된다. 상기 압착롤러(32)의 회전은 젖은 우산(100)의 투입으로 상하운동이 이루어지면 우산(100)의 천(101)과 접촉되는 흡수롤러(31)가 회전되면서 빗물을 흡수함과 동시에 흡수롤러(31)에 밀착되어 있던 압착롤러(32)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흡수된 빗물을 압착하여 흡수재(33)로부터 빗물을 짜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압착롤러(32)는 흡수롤러(31)에 접착된 흡수재(33)를 압착하기 용이하면서 흡수롤러(31)에 맞물려 회전이 용이하도록 역삼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32)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흡수롤러(31)에 접착된 흡수재(33)의 양측면 하측에 각각 접하여 압착되는 일자형상의 압착롤러(32')를 사용하여 흡수된 빗물이 하측으로 모여진 상태에서 압착시켜 탈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지지대(35)는 상기 흡수롤러(31) 및 압착롤러(32)를 회전되도록 축(34,34')에 의해 고정되도록 선단이 양팔을 뻗은 형태를 이루고, 그 후단은 케이스(4)의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5)를 "ㄱ"자형의 브래킷(36)에 의해 케이스(4)에 고정시키되 지지대(35)의 후방은 상기 브래킷(36)의 수평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4)의 내면에는 브래킷(36)의 수직부분이 각각 고정되어 지지대(35)의 선단에 고정된 흡수롤러(31)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4b와 같이 상기 지지대(35)를 고정시키는 브래킷(36)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판스프링으로 대체하여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산(100)의 상하이동 및 탈수를 위한 흡수롤러(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판(37)은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대(35)에 양측 상단(371)이 통상의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하측바닥면(372)은 우산(100)의 천(101)으로부터 탈수하여 모아지는 낙수된 빗물이 우산(200) 투입공(16)으로 안내되지 않고 반대쪽 즉 브래킷(36) 방향으로 유도하여 우산(100)의 천(101)으로부터 탈수된 빗물이 다시 우산(100)의 천(101)에 묻지 않고 효율적으로 하측에 있는 물받이(13)로 낙수되어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이드판(37)에 낙수된 빗물의 유도는 바닥면(372)의 기울기를 흡수롤러(31) 쪽을 높게 또는 흡수롤러(31) 측에 단턱(373)을 형성함으로써 안전한 빗물의 배수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탈수부(2)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4) 내부에 7~9개의 흡· 탈수부재(3)가 브래킷(36)에 의해 방사형으로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흡· 탈수부재(3)의 흡수롤러(31)가 중앙의 투입공(16)으로 모여진 형태를 이루게된다. 또한 케이스(4)는 상광하협(上廣下狹)한 형태를 이루면서 하측으로 적층되는 케이스(3)는 더욱 좁아져 우산꼭지(102)의 천(101)에 묻어있는 빗물까지 탈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하측으로 배치되는 케이스(4) 내부에 부착되는 흡· 탈수부재(3)의 수량은 3~6개로 그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들을 다단으로 적층할 때 내부에 부착된 흡· 탈수부재(3)들을 수직상태에서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지 않고 도 10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나선을 그리듯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투입되는 우산(100)의 상하이동시 약 1/4~1/2 정도 회전되면서 흡· 탈수부재(3)의 흡수롤러(31)와 우산(100)의 천(101)이 비비면서 접촉되도록 하여 천(101)에 묻어있는 빗물의 탈수가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 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케이스(4)는 도 2의 요부확대부분과 같이 상하단에 직교되는 플랜지(41)와 플랜지(41')를 형성하여 상호 고정용볼트(42) 등으로 결합하여 적층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요부확대부분과 같이 케이스(4)의 상단 내경(42)에 하단의 외경(42')이 상호 끼워지는 소켓형태로 형성하여 적층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체(1) 내부에 하나의 탈수부(2)를 설치하는 구성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체(1)에 투입구(11')와 배수구(12')를 추가하여 각각 형성하고, 내부의 탈수부(2) 일측에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흡· 탈수부재(3)들을 고정시키는 제2 케이스(4')와,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2 케이스(4')에 내에 다수개의 흡·탈수부재(3)들을 설치한 제2 탈수부(2')를 추가 형성하여 상기 탈수부(2)에서는 장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고, 상기 제2 탈수부(2')에서는 단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도록 하며, 배수구(12')로 물받이(13')가 추가 수납되어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도록 하나의 본체(1)에 이중의 탈수부(2,2')를 제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우산을 탈수하는 제2 탈수부(2')의 제2 케이스(4') 내에는 단우산이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9와 같이 배출공(51)이 천공된 정지판(5)이 개재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1)의 전면에는 상품내용 또는 안내문 등을 부착하여 홍보할 수 있도록 광고표시부(19)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젖은 우산탈수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 내에 하나의 탈수부(2)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본체(1)의 상단 투입구(11)로 빗물에 젖은 우산(100)을우산꼭지(102)부터 삽입하면, 케이스(4)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흡· 탈수부재(3)의 흡수롤러(31)에 우산(100)의 천(101)이 접촉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우산(10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흡수롤러(31)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되는 상기 흡수롤러(31)에 접착되어 있는 흡수재(33)에 우산(100)의 천(101)에 묻어있던 빗물이 흡수된다. 또한, 상기 우산(100)을 최대한 삽입한 다음 반대로 들어올리면 역시 우산(100)의 천(101)에 묻어있던 잔여 빗물이 상기 흡수롤러(31)에 접착되어 있는 흡수재(33)에 빗물이 흡수된다.
상기 흡수롤러(31)에 접착되어 있던 스폰지 또는 고무계열의 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수재(33)에 빗물이 흡수될 때 우산(100)의 상하운동 즉 투입 및 배출에의해 우산(100)의 천(101)과 밀착되어 있는 흡수롤러(31)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흡수롤러(31)의 회전은 곧 맞물려 회전되는 "V"형 압착롤러(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압착롤러(32)는 흡수롤러(31)의 흡수재(33)에 흡수되었던 빗물을 압착하여 짜서 빗물을 빼내면 곧 빗물이 하측으로 낙수하게 되고, 상기 "V"형 압착롤러(32) 대신 도 5에서와 같이 흡수롤러(31)의 양측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일자형 압착롤러(32')를 사용할 경우에는 압착롤러(32')가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수된 빗물이 가장 많이 모이는 하측 흡수재(33)를 압착하게 되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빗물을 짜내게 된다.
상기 흡수재(33)로부터 짜내어진 빗물은 곧 하측 가이드판(37)의 바닥면(372)으로 떨어진 후 후방으로 안내되어 하측에 있는 물받이(13)로 수집시키게 되고, 소정의 빗물이 모여지면 앞문(14)을 통해 물받이(13)를 꺼내어 배수구에버리면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00)을 상하로 밀어 넣고 빼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젖은 우산(100)의 천(101)과의 밀착력과, 우산(100) 투입에 따른 위에서 아래로 밀고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뾰족한 삼각 형상의 흡수롤러(31)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흡수롤러(31)의 회전은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흡수재(33)로 우산(100)에 묻어있던 빗물을 흡수하도록 하여 옮기고, 흡수재(33)에 흡수된 빗물을 곧 맞물려 회전되는 압착롤러(32) 또는 압착롤러(32')로 압착하여 짜냄으로서 빗물에 젖은 많은 우산(100)들을 연속하여 탈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 탈수부재(3)를 케이스(4)에 고정시키는 브래킷(36)을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우산(100)의 천(101)과 접촉되는 흡수롤러(31)의 위치가 상하로 움직이는 유동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우산(100)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접촉이 더욱 원활하여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되는 케이스(4) 내에 부착되는 흡· 탈수부재(3)의 설치위치를 수직방향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지 아니하고 약간 비틀어진 각도로 차기의 흡· 탈수부재(3)를 배치시킨 것을 사용하면 우산(100)에 묻어있는 빗물을 탈수하기위하여 상하로 우산(100)을 이동시킬 때 우산(100)이 약 1/4~1/2 정도 회전됨으로서 흡· 탈수부재(3)의 흡수롤러(31)와 우산(100)의 천(101)이 비비면서 접촉되어 수직방향 일직선으로 배치된 것보다 많은 부분 그리고 접혀진 안쪽 깊숙한 부분에 묻어있는 빗물을 확실한 접촉으로 빗물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우산(100)은 길이가 긴 장우산과 반 또는 1/3로 접히는 단우산이 주로사용되고 있으므로 단우산을 기존의 탈수부(2)에 사용하고자 투입구(11)에 밀어넣으면 인위적으로 그 깊이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기존의 탈수부(2)의 일측에 제2 탈수부(2')를 추가로 배치하여 일측은 장우산용으로 사용하고, 타측은 단우산용으로 구분하여 빗물을 탈수하도록 하여 단우산을 투입구(11')로 밀어 넣으면 내부의 정지판(5)에 의해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며, 젖은 우산(100)으로부터 빗물을 탈수하여 물받이(13')에 수집하고 소정의 빗물을 수집하면 앞문(14')을 통해 물받이(13')에 모아진 빗물을 배수구에 버리면 되는 매우 편리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젖은 우산탈수기는 비에 젖은 우산을 본체의 탈수부의 투입구에 삽입한 후 1~4회 정도 상하방향으로 즉 우산의 투입과 배출을 반복시켜, 비에 젖은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빗물에 젖은 우산에 묻어있는 물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으므로 백화점, 호텔, 대형건물 등에서 우산의 탈수를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하는 불편이 없으며, 우산의 투입과 배출시 회전을 하는 흡수롤러에 의해 우산의 탈수가 이루어지므로 손쉬운 우산의 투입과 배출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젖은 우산탈수기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어디에서나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장우산 및 단우산의 사용도 가능하여, 우천시 비에 젖은 우산으로 인한 실내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우산용 비닐주머니의 사용을 배제하여 환경오염을 줄여 주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상단과 하단에 투입구(11)와 배수구(12)가 각각 형성된 본체(1)와, 이 본체(1)의 내부에는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탈수부(2)의 흡·탈수부재(3)들을 고정시키는 케이스(4)가 배치되며, 상기 배수구(12)로 물받이(13)가 수납되어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도록 이루어지는 우산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2)의 케이스(4)는 다단으로 적층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4)의 내측에는 선단이 자유롭게 우산(100)의 천(101)과 접촉되어 유동되도록 지지되면서 빗물을 흡수하는 흡수롤러(31)와, 상기 흡수롤러(31)에 흡수된 빗물을 탈수하도록 맞물려 회전되게 지지되는 압착롤러(32)로 이루어지면서 흡수롤러(31)를 중앙으로 모여지도록 배치하는 다수의 흡· 탈수부재(3)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4) 내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4)가 상광하협하게 다단으로 조립되어 상기 흡· 탈수부재(3)들이 투입구(11) 쪽으로부터 하부의 배수구(12) 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우산(100)을 상기 흡· 탈수부재(3)들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승하강시키면 이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이 흡수롤러(31)에 의해 제거되고 흡수롤러(31)에 흡수된 빗물은 압착롤러(32)가 압착하여 탈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2)의 흡· 탈수부재(3)는,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접촉을 통해 흡수할 수 있도록 스폰지 또는 고무계열의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는 흡수재(33)가 접착된 삼각형태의 흡수롤러(31)와, 상기 흡수롤러(31)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흡수롤러(31)에 부착된 흡수재(33)를 압착하여 수집된 빗물을 탈수하는 압착롤러(32)와, 상기 흡수롤러(31) 및 압착롤러(32)를 회전되도록 축(34,34')에 의해 고정시키는 지지대(35)와, 상기 지지대(35)의 후방에는 수평부분이 상기 케이스(4)의 내면에는 수직부분이 각각 고정되는"ㄱ"자형의 브래킷(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35)에 양측 상단(371)이 고정되면서 하측을 감싸면서 낙수되는 빗물을 후방으로 유도하여 물받이(13)로 수집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판(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 탈수부재(3)의 압착롤러(32)는,
    삼각형태의 흡수롤러(31)에 대응하는 역삼각형태의 "V"자형 롤러 또는 삼각형태의 흡수롤러의 양측에 접하는 일자형 롤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흡수롤러(31)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흡수재(33)에 흡수된 빗물을 압착하여 탈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 탈수부재(3)의 브래킷(36)을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으로 대체하여 유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산(100)의 상하이동 및 탈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 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케이스(4)는,
    상하단에 직교되는 플랜지(41,41')를 형성하여 상호 고정용 볼트(42) 등으로 결합하거나, 상단의 내경(42)에 하단의 외경(42')이 상호 끼워지는 소켓형태 중 어느 하나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투입구(11')와 배수구(12')를 추가하여 각각 형성하고, 내부의 탈수부(2) 일측에 우산(100)의 천(101)에 묻은 빗물을 흡수 및 탈수하는 흡· 탈수부재(3)들을 고정시키는 제2 케이스(4')와, 상기 다단으로 적층되는 제2 케이스(4')에 내에 흡· 탈수부재(3)들을 설치한 제2 탈수부(2')를 추가형성하여 상기 탈수부(2)에서는 장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고, 상기 제2 탈수부(2')에서는 단우산에 묻은 빗물을 탈수하도록 하며, 배수구(12')로 물받이(13')가 추가 수납되어 낙수되는 빗물을 수집하도록 하나의 본체(1)에 이중의 탈수부(2,2')를 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탈수부(2')의 제2 케이스(4')에는 단우산이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공(51)이 천공된 정지판(5)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은 우산탈수기.
KR20-2003-0001159U 2003-01-14 2003-01-14 젖은 우산탈수기 KR200311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159U KR200311448Y1 (ko) 2003-01-14 2003-01-14 젖은 우산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159U KR200311448Y1 (ko) 2003-01-14 2003-01-14 젖은 우산탈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769A Division KR100465152B1 (ko) 2003-01-10 2003-01-10 젖은 우산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448Y1 true KR200311448Y1 (ko) 2003-05-01

Family

ID=4940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159U KR200311448Y1 (ko) 2003-01-14 2003-01-14 젖은 우산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35B1 (ko) 2012-08-06 2013-08-26 전태평 우산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735B1 (ko) 2012-08-06 2013-08-26 전태평 우산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152B1 (ko) 젖은 우산탈수기
KR20130131946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4408140B2 (ja) 雨傘除水機
KR200311448Y1 (ko) 젖은 우산탈수기
JP2003056982A (ja) 傘脱水装置
CN104075542B (zh) 一种雨伞干燥装置
CN209512385U (zh) 带有鞋底吸湿结构的离心式雨伞雨水甩干机
CN201542349U (zh) 一种快速干燥雨伞的装置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203572149U (zh) 甩干器
KR101355955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JP2006138610A (ja) 傘の脱水装置
KR100394983B1 (ko) 수분 흡입.토출.진동 우산 탈수기
CN201234843Y (zh) 雨伞干水器
CN211147434U (zh) 自动旋转新型收球网
CN206182944U (zh) 一种雨伞除水器
KR200214998Y1 (ko) 수분 흡입.토출.진동 우산 탈수기
CN213454552U (zh) 一种雨伞速干装置
CN209975678U (zh) 一种拆卸方便的地漏
CN207429070U (zh) 便捷式脱水桶及其配套的拖把
CN220478506U (zh) 吸收剂再生装置
CN216522687U (zh) 一种利用离心力的雨伞快速甩干装置
CN216703792U (zh) 一种房屋建筑施工除尘装置
CN208279903U (zh) 一种笔式衣服晾晒装置
KR20100096759A (ko) 신발바닥 물기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