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07Y1 -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907Y1
KR200310907Y1 KR20-2003-0002729U KR20030002729U KR200310907Y1 KR 200310907 Y1 KR200310907 Y1 KR 200310907Y1 KR 20030002729 U KR20030002729 U KR 20030002729U KR 200310907 Y1 KR200310907 Y1 KR 200310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ase frame
cover
shaft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규
Original Assignee
송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규 filed Critical 송종규
Priority to KR20-2003-0002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밑창의 양측으로 2개의 롤러를 축 결합되게 구성하고 이의 착탈이 버튼식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함께 초보자 등도 균형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2) 상측으로 상부 중앙과 그 양측으로는 스프링고정공(4)과 스토핑공(5)이 관통되고 베어링메탈(3a)이 내장된 축관(3)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커버(6)를 결합하되, 축관(3)에는 중앙에 걸림부(7a)가 형성되는 스프링(7)을 내장하여 스프링고정공(4)으로 내입되는 커버(6)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6c)로 고정하고, 스토핑공(5)에는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간(8)과 작동간(9)에 양 단부를 인서트한 걸림쇠(10)를 내입하며, 작동간(9)은 해정수단(13)에 의해 상향 작동되게 하되, 해정수단(13)은 축관(3)의 중앙 후방으로 베이스프레임(2)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15)에 축관(3)과 평행하게 작동간(9)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기(14a)와 경사형 푸싱면(14b)이 형성된 회동구(14)를 축 설치하고, 회동구(14)는 축관(3)과 직각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베이스프레임(2)과 일체 형성되고 상단에 고무커버가 고정된 가이드관(16)에 해정핀(17)을 결합하여 푸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축관(3) 양측으로는 롤러(11)가 자유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12)을 결합하여 고정핀(12)의 단부에 걸림홈(12a)이 걸림쇠(10)에 걸림되고 해정수단(13)의 푸싱작동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 등도 이를 이용하여 쉽게 균형을 잡고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고, 롤러(11)의 분리 및 결합이 원터치 식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 for roller­skate}
본 고안은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신발밑창의 뒤축부 양측으로 2개의 롤러를 축 결합되게 구성하고, 이의 착탈이 버튼식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과 함께 초보자 등도 균형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전형적인 롤러스케이트화는 양쪽 신발바닥에 똑같이 롤러를 전후 2열 또는 1열로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 롤러가 1열로 달린 인라인형 롤러스케이트화(inline roller skates)는 스피드와 다양한 스케이팅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근자에는 기존에 널리 알려진 전형적인 롤러스케이트화 와는 달리, 좌우 각 신발바닥 뒤축부에 롤러가 하나씩 설치된 구조의 개량 롤러스케이트화가 힐리스(HEELYS)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 힐리스 롤러스케이트화는 앞꿈치를 들어올린 채 뒤축부의 롤러를 지면에 접지 시켜서 구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스케이팅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뒷꿈치를 들어서 앞꿈치로 걷거나 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케이팅과 보행 기능을 겸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롤러스케이트화에 적용되는 롤러 어셈블리(3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31)에 결합고정 또는 인서트 되는 설치판(32)상에 롤러(33)를 내입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축결합홈(34)을 갖는 서포터(35)를 형성하여 롤러(33)가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된 고정축(36)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와 같은 종래의 롤러 어셈블리(30)에 의하면 유지 보수를 하거나 또는 신발로만 사용코자 롤러(33)를 분리코자 할 시에 신발밑창(31)에서 롤러(33)를 분리하기가 어려우면서도 스케이팅 도중 외력에 의해 롤러(33)가 임의 분리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스케이팅 도중 상해를 입을 우려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롤러 어셈블리(30)의 경우 신발밑창(31)의 중앙에 하나의 롤러(33)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초보자 등이 균형을 잡기가 어려운등 안전성 면에서도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롤러 어셈블리에서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신발밑창의 뒤축부 양측으로 2개의 롤러를 버튼 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신규한 구성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롤러 착탈의 편리성, 스케이팅 중 롤러의 임의 분리 및 초보자의 균형 유지 등에 따른 안전성 등의 문제점을 동시에 일소할 수 있는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커버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걸림쇠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프링 고정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롤러 어셈블리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롤러 어셈블리 2:베이스프레임
2a:결합공 2b:요입홈
3:축관 3a:베어링메탈
4:스프링고정공 5:스토핑공
6:커버 6a:결합구
6b:돌기 6c:스프링고정돌기
7:스프링 7a:걸림부
8:고정간 9:작동간
10:걸림쇠 11:롤러
12:고정핀 12a:걸림홈
13:해정수단 14:회동구
14a:돌기 14b:경사형 푸싱면
15:브라켓 16:가이드관
17:해정핀 18:고무커버
19:보호구 19a:절개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 등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1)는 베이스프레임(2) 상측으로 상부 중앙과 그 양측에 스프링고정공(4)과 스토핑공(5)이 관통되고 베어링메탈(3a)이 내장된 축관(3)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베이스프레임(2)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 결합공(2a)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6a)를 갖는커버(6)를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2)과 커버(6)의 가장자리 측으로는 요입홈(2b)과 돌기(6b)를 형성하여 신발밑창에 롤러 어셈블리(1)를 인서트 할 때 내부로 이물이 내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축관(3)에는 중앙으로 걸림부(7a)가 형성되는 스프링(7)을 내장하여 스프링고정공(4)으로 내입되는 커버(6)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6c)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프링고정공(4)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토핑공(5)에는 베이스프레임(2)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고정간(8)과 일단을 인서트 고정하고 타단에는 후술할 해정수단(13)의 회동구(14)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4a)에 의해 승강하는 작동간(9)에 인서트 고정한 탄력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등으로 절곡 구성된 걸림쇠(10)를 내입 함으로써, 롤러(11)가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된 고정핀(12)을 축관(3)의 양측으로 결합할 시 고정핀(12)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2a)이 걸림되고, 해정수단(13)에 의해 작동간(9)을 상향 이동시킬 때 걸림쇠(10)에서 고정핀(12)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간(9)을 상향 이동시키는 해정수단(13)으로는 축관(3)의 중앙 후방으로 작동간(9)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기(14a)와 경사형 푸싱면(14b)이 형성된 회동구(14)를 베이스프레임(2)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15)에 축관(3)과 평행하게 축 설치하고, 회동구(14)는 축관(3)과 직각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베이스프레임(2)과 일체 형성되는 가이드관(16)에 결합된 해정핀(17)을 푸싱할 때 회동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이드관(16) 상단에는 고무커버(18)를 고정하여 해정핀(17)의이탈을 방지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무커버(18)의 외측으로는 제조 및 포장 과정에서 해정핀(17)이 임의로 푸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개홈(19a)이 형성된 보호구(19)를 씌워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한 상태에서 절개홈(19a) 부위를 절개하여 고무커버(18) 상측을 푸싱할 수 있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롤러스케이트화의 신발밑창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1)로 적용하여 축관(3) 양측으로 롤러(11)가 결합된 고정핀(12)을 결합하여 스케이팅하거나 또는 축관(3)에서 고정핀(12)을 분리하여 통상의 신발과 같이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조립 및 작용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축관(3)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핑공(5)에 스프링강으로 절곡 구성된 걸림쇠(10)를 내입한 상태에서 고정간(8)을 베이스프레임(2)에 접착 고정하고, 축관(3) 중앙 후방의 브라켓(15)에 회동구(14)의 돌기(14a)가 걸림쇠(10)에 인서트된 작동간(9)의 하측에 위치되게 결합함과 아울러 축관(3) 내부에 스프링(7)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커버(6)를 결합한다. 이때 커버(6)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돌기(6c)는 축관(3) 중앙의 스프링고정공(4)으로 내입되어 스프링(7)의 중간에 마련되는 걸림부(7a)에 위치되어 스프링(7)을 고정하게되며, 커버(6)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a)가 베이스프레임(2)의 결합공(2a)에 원터치 식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작업이 간편하게이루어지며, 베이스프레임(2)과 커버(6)의 가장자리 측에 각각 대응하는 요입홈(2b)과 돌기(6b)가 형성되어 상호 치결합되므로 조립 후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커버(6) 내부로 내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향후 신발밑창(20)에 인서트 결합하더라도 해정수단(13)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버(6)를 결합한 다음 축관(3)과 직각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가이드관(16)에 해정핀(17)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무커버(18) 및 보호구(19)를 씌우면 롤러 어셈블리(1)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 완성된 본 고안의 롤러 어셈블리(1)를 신발밑창(20)을 성형할 시 축관(3)의 양단부가 신발밑창(20)의 뒤축부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해정핀(17)을 푸싱할 수 있도록 씌워지는 고무커버(18)를 보호하는 보호구(19)에 형성된 절개홈(19a)이 신발밑창(2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인서트 고정한 다음 축관(3) 양측으로 롤러(11)가 결합된 고정핀(12)을 결합하면 신발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공하는 롤러스케이팅화의 경우 스케이팅하거나 또는 축관(3)에서 롤러(11)가 결합된 고정핀(12)을 분리하여 통상의 신발과 같이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통상의 신발과 같이 사용하다가 스케이팅을 즐기고자 할 시에는 롤러(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핀(12)을 축관(3)의 양측으로 결합하게 되는바, 본 고안에 의하면 축관(3)으로 고정핀(12)을 내입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를 상향 이동시키면서 삽입되며, 고정핀(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a)이 걸림쇠(10)가 있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스프링강으로 구성된 걸림쇠(1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홈(12a)에 내입되어 고정핀(12)을 고정하게 되므로 이때 스케이팅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스케이팅을 즐기다가 롤러(11)를 분리하여 일반 신발과 같이 사용코자 할 시에는 신발밑창(20)의 뒤축부 후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고무커버(18)를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쉽게 고정핀(12)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손가락 등으로 고무커버(18)를 가압하게 되면 해정핀(17)이 회동구(14)의 경사형 푸싱면(14b)을 가압하여 회동구(14)를 회동시키게 되므로 회동구(14)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돌기(14a)가 상향 회동하면서 걸림쇠(10)가 인서트 되어 있는 작동간(9)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고정핀(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a)에 내입되어 있는 걸림쇠(10)는 상향 이동하게 되면서 걸림홈(12a)에서 이탈된다. 이때 고정핀(12)은 축관(3)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축관(3)에서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롤러 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1)는 축관(3)의 양측으로 롤러(11)가 결합된 상태의 고정핀(12)을 내입할 때 고정핀(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2a)에 걸림쇠(10)가 내입 고정되고, 롤러(11)를 분리코자 할 시에는 신발밑창(20)의 뒤축부에 돌출되어 있는 고무커버(18)에 씌워진 해정핀(17)을 눌러서 롤러(11)가 결합된 고정핀(12)이 분리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밑창(20)의 뒤축부 양측으로 롤러(11)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바, 초보자 등도 이를 이용하여 쉽게 균형을 잡고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고, 롤러(11)의 분리 및 결합이 원터치 식으로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고무커버(18)의 외측으로 보호구(19)를 씌워 사용자가 직접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객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가 제공되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1)를 구성함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2) 상측으로 상부 중앙과 그 양측으로는 스프링고정공(4)과 스토핑공(5)이 관통되고 베어링메탈(3a)이 내장된 축관(3)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는 커버(6)를 결합하되,
    상기 축관(3)에는 중앙에 걸림부(7a)가 형성되는 스프링(7)을 내장하여 스프링고정공(4)으로 내입되는 커버(6)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돌기(6c)로 고정하고,
    상기 스토핑공(5)에는 베이스프레임(2)에 고정되는 고정간(8)과 작동간(9)에 양 단부를 인서트한 걸림쇠(10)를 내입하며,
    상기 작동간(9)은 해정수단(13)에 의해 상향 작동되게 하되,
    상기 해정수단(13)은 축관(3)의 중앙 후방으로 베이스프레임(2)에 돌출 형성된 브라켓(15)에 축관(3)과 평행하게 작동간(9)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기(14a)와 경사형 푸싱면(14b)이 형성된 회동구(14)를 축 설치하고, 회동구(14)는 축관(3)과 직각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베이스프레임(2)과 일체 형성되고 상단에 고무커버(18)가 고정된 가이드관(16)에 해정핀(17)을 결합하여 푸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축관(3) 양측으로는 롤러(11)가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고정핀(12)을 결합하여 고정핀(12)의 단부에 걸림홈(12a)이 걸림쇠(10)에 걸림되고 해정수단(13)의 푸싱 작동에 의해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에는 결합공(2a)을 형성하고 커버(6)에는 결합구(6a)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2)과 커버(6)의 가장자리 측 접합면에는 요입홈(2b)과 돌기(6b)를 형성하여 커버(6)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신발밑창에 롤러 어셈블리(1)를 인서트 할 때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커버(18)의 외측으로는 절개홈(19a)이 형성된 보호구(19)를 씌워 제품을 구매한 상태에서 절개홈(19a) 부위를 절개하여 고무커버(18) 상측을 푸싱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KR20-2003-0002729U 2003-01-28 2003-01-28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KR200310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729U KR200310907Y1 (ko) 2003-01-28 2003-01-28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729U KR200310907Y1 (ko) 2003-01-28 2003-01-28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555A Division KR100572146B1 (ko) 2003-01-28 2003-01-28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907Y1 true KR200310907Y1 (ko) 2003-04-21

Family

ID=4933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729U KR200310907Y1 (ko) 2003-01-28 2003-01-28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9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1050C (en) Touring or cross-country ski binding
FR2589691A1 (fr) Chaussure de ski
FR2743264A1 (fr) Botte de snowboard
US20100257754A1 (en) Ski-boot with means for actuating corresponding engaging members of ski-touring bindings
KR200310907Y1 (ko)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KR100572146B1 (ko) 롤러스케이트화용 롤러 어셈블리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KR200223943Y1 (ko) 롤러가 부착된 운동화
KR200308285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US20210267314A1 (en) Outer sole with removable sliding system
KR200323017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36627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빙상날 교환구조
KR100358602B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EP0766930B1 (fr) Ensemble formé par une paire de chaussures de glisse, notamment des chaussures de ski, et paire d'éléments de retenue prévus pour retenir ces chaussures
KR100722369B1 (ko) 인라인 스케이트 및 프레임 유니트
KR200433289Y1 (ko) 휠의 전환이 가능한 롤러신발
KR101741064B1 (ko) 착탈식 인라인스케이트
KR100572145B1 (ko) 바퀴 달린 신발용 바퀴 고정구
KR200211686Y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100854065B1 (ko) 휠 접이식 인라인 스케이트
KR200188655Y1 (ko) 벨트 풀림방지용 버클
KR200360836Y1 (ko) 스케이트겸용 인라인스케이트
KR100824984B1 (ko) 기능성 신발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