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860Y1 -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860Y1
KR200310860Y1 KR20-2003-0000525U KR20030000525U KR200310860Y1 KR 200310860 Y1 KR200310860 Y1 KR 200310860Y1 KR 20030000525 U KR20030000525 U KR 20030000525U KR 200310860 Y1 KR200310860 Y1 KR 200310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ickup device
image pickup
lens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섭
Original Assignee
최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섭 filed Critical 최용섭
Priority to KR20-2003-0000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시 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렌즈(11)가 장착되는 경통부(12)를 구비한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 렌즈(11)의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렌즈(11)에 맺힌 상을 인지하는 촬상소자(20)와, 상기 촬상소자(20)가 연계되어 이 촬상소자(20)에 맺힌 상을 영상신호로 처리하는 회로기판(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는 일측에 소정길이를 가지는 래크(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소자(20)가 고정되어 전, 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0)를 설치하고, 일면에 상기 이동부재(40)의 래크(41)에 맞물리는 피니언(51)이 구비된 노브부재(50)를 래크(41)와 피니언(51)이 맞물리고 회전가능하게 케이싱부재(10)에 장착하므로서 작업자가 상기 노브부재(50)를 회전하면 노브부재(50)에 형성된 피니언(51)이 회전되어 이 피니언(51)에 맞물린 래크(41)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40)가 전, 후로 이동하면서 촬상소자(20)와 렌즈(11)사이의 거리인 초점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촬상소자(20)가 고정되는 이동부재(40)에 구비된 래크(41)가 피니언(51)과 맞물려 노브부재(50)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동부재(40)를 전, 후로 이동시켜 랜즈와 촬상소자(20)의 초점을 조정하므로서 래크(41)의 길이에 따라 폭넓은 초점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노브부재(50)가 회전되는 범위에 따라 일정한 거리로 이동부재(40)가 전, 후로 이동하므로 더욱 미세하고 정밀한 초점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상을 모니터에서 더욱 선명하고 뚜렷하도록 초점 조정이 가능하여 상품성과 작업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Focus adjusting device of watch camera}
본 고안은 감시 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감시 카메라의 초점거리를 피니언의 회전으로 래크를 전, 후로 이동시키면서 조정하도록 하여 초점을 더욱 폭 넓게 조정할 수 있으며, 미세한 초점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할 수 있도로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백화점, 은행, 전시장, 상점 등의 도난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을 화면을 통해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폐쇄회로 감시장치인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를 통해 포착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모니터로 전송하도록 연결되며, 관련대상 이외의 일반 대중이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에 사용되는 감시 카메라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케이싱부재 전면에는 피사체의 상을 맺게 하는 렌즈가 설치되는 경통부가 형성되고 이 경통부에 설치되는 렌즈의 후방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촬상소자가 장착되며 이 촬상소자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기판에 연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른 피사체와의 거리차이에 따라 모니터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상을 선명하고 뚜렷하게 하기 위해 렌즈와 촬상소자간의 거리, 즉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초점 조정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감시 카메라에 사용되는 초점 조정장치는 통상적으로 케이싱부재의 전면에 렌즈가 장착되는 홀더부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케이싱부재에 나사를 관통시켜 체결하여 이 홀더부의 측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하였다.
즉, 케이싱 부재에 관통된 나사를 해제한 후 홀더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조정한 후 다시 나사를 체결하여 홀더부의 측면을 지지하여 조정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렌즈가 장착되며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캠이 케이싱부재의 경통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경통부에는 상기 원통형캠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캠롤라를 고정시키고, 케이싱부재의 측면에 잠금나사를 관통하여 원통형캠의 위치를 고정하는 초점 조정장치도 있었다.
즉, 작업자가 잠금나사를 해제하고 렌즈를 회전시키면 원통형 캠이 가이드홈에 삽입된 캠롤라를 따라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초점거리를 조정하고, 조정 후에는 다시 잠금나사를 체결하여 원통형캠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중 초점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재 내측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홀더부를 전, 후로 이동한 후 나사로 고정하여 초점거리를 조정하거나, 원통형캠을 회전시켜 이 원통형캠이 캠롤라를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종래의 초점 조정장치는 그 구조상 초점거리 조정의 폭이 한정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감시카메라가 설치되는 장소가 제한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피사체의 촬영위치를 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초점거리를 조정하기 위해선 나사 또는 잠금나사를 해제하고, 조정 후에는 다시 나사 또는 잠금나사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미세한 초점거리의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래크가 구비된 이동부재를 장착하여, 이 이동부재의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의 회전으로 상기 이동부재를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렌즈와 촬상소자간의 거리인 초점거리를 조정하므로서, 더 폭넓게 초점조정이 가능하고 미세한 초점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인 감시 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를 요부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노브부재에 탄성걸림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3의 탄성걸림부재가 케이싱부재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케이싱부재 11 - 렌즈
12 - 경통부 13 - 가이드샤프트
14 - 지지홈 20 - 촬상소자
30 - 회로기판 40 - 이동부재
41 - 래크 42 - 가이드파이프
43 - 와셔 44 - 볼트
45 - 설치구멍 50 - 노브부재
51 - 피니언 52 - 걸림홈
53 - 돌기 54- 힌지축
60 - 탄성걸림부재 61 - 걸림턱
70 - 자바라스커트부재 71 - 걸림돌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방에 렌즈(11)가 장착되는 경통부(12)를 구비한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 렌즈(11)의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렌즈(11)에 맺힌 상을 인지하는 촬상소자(20)와;
상기 촬상소자(20)가 연계되어 이 촬상소자(20)에 맺힌 상을 영상신호로 처리하는 회로기판(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는 일측에 소정길이를 가지는 래크(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소자(20)가 고정되어 전, 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0)를 설치하고, 일면에 상기 이동부재(40)의 래크(41)에 맞물리는 피니언(51)이 구비된 노브부재(50)를 래크(41)와 피니언(51)이 맞물리고 회전가능하게 케이싱부재(10)에 장착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노브부재(50)를 회전하면 노브부재(50)에 형성된 피니언(51)이 회전되어 이 피니언(51)에 맞물린 래크(41)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40)가 전, 후로 이동하면서 촬상소자(20)와 렌즈(11)사이의 거리인 초점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래크(41)의 길이에 따라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므로, 감시카메라를 장소의 제한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노브부재(50)를 회전하여 미세한 초점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결 단면도로서, 노브부재를 회전할 경우 이동부재가 전, 후로 이동되어, 렌즈와 촬상소자간의 거리인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인 감시 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를 요부확대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동부재 전면에는 접을 수 있는 다수의 주름부가 반복형성된 소정길이의 자바라스커트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노브부재에 탄성걸림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로서, 노브부재의 타면에 소정의 폭을 가지고 원형으로 반복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탄성걸림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도 3의 탄성걸림부재가 케이싱부재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노브부재의 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걸림부재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려 일정힘이상으로 노브부재를 회전시킬 경우에만 노브부재가 회동하도록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인 감시 카메라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 렌즈(11)가 장착되는 경통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통부(12)에 렌즈(11)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11)의 후방에는 소정간격을 가지고 촬상소자(20)가 설치되며, 이 촬상소자(20)는 회로기판(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이 회로기판(30)은 촬상소자(20)에 맺힌 상을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모니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0)은 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래크(41)가 구비된 이동부재(40)에 고정되어 이 이동부재(40)의 전, 후 이동에 따라 같이 이동하고,회로기판(30)이 이동함에 따라 이 회로기판(30)에 결합되어 고정된 촬상소자(20)도 마찬가지로 전, 후로 이동하면서 렌즈(11)간의 거리가 조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가이드샤프트(13)를 돌출시키고, 상기 이동부재(40)에는 이 가이드샤프트(13)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구멍(42a)이 뚫린 가이드파이프(42)를 형성한다.
즉, 상기 이동부재(40)는 가이드파이프(42)의 가이드구멍(42a)을 통하여 가이드샤프트(13)에 결합되어 후술될 노브부재(50)가 회전할 경우 가이드샤프트(13)를 따라 이동부재(40)가 직선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샤프트(13)는 다수 개 형성하고, 이동부재(40)에 이 가이드샤프트(13)에 결합되는 가이드파이프(42)를 대응되도록 다수개 형성하여 결합하므로서, 이동부재(40)가 이동되는 위치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샤프트(13)의 끝단에는 이 가이드샤프트(13)의 외주면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는 와셔(43)를 볼트(44)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하여 이동부재(40)의 가이드파이프(42)의 끝단이 상기 와셔(43)에 걸리도록 하여 이동부재(40)의 전, 후 이동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일면에 상기 이동부재(40)의 래크(41)에 맞물리는 피니언(51)이 구비되는 노브부재(50)는 양면에 힌지축(54)이 돌설되어 케이싱부재(10) 내부에서 이 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 노브부재(50)의 측면 일부분은 케이싱부재(10)의 외측면에 노출되어 작업자가 노브부재(50)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노브부재(50)를 회전하면 피니언(51)이 회전하고, 이 피니언(51)에 맞물린 래크(41)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노브부재(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부재(40)가 전, 후로 이동하면서 촬상소자(20)와 렌즈(11)사이의 거리인 초점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브부재(50)는 외주면에는 톱니형상의 돌기(5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노브부재(50)를 회전시킬 경우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브부재(50)는 도 3 ∼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면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걸림홈(52)이 원형으로 반복형성되고, 이 걸림홈(52)에는 일단이 케이싱부재(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끝단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된 탄성걸림부재(60)의 걸림턱(61)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삽입된다.
즉, 상기 탄성걸림부재(60)의 걸림턱(61)이 노브부재(50)의 걸림홈(52)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작업자가 일정힘 이상을 가할 경우에만 노브부재(50)가 회전하여 사용중 외부요인에 의해 노브부재(50)가 회전되어 조정된 초점이 변하여 모니터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상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40)의 전면에는 접을 수 있는 다수의 주름부가 반복형성된 소정길이의 자바라스커트부재(70)가 장착되고, 이 자바라스커트부재(70)의 끝단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 내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스커트부재(70)는 일면에 걸림돌기(71)가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내에 형성되는 설치구멍(45)에 끼워 결합되어 장착되는 것이며, 끝단은 케이싱부재(10)의 전방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홈(14)에 삽입되어 이 지지홈(14)에서 빠지지 않도로 고정되는 것이다.
즉, 이동부재(40)의 전방에 고정되는 작업자가 노브부재(50)를 회전하여 이동부재(40)를 전, 후로 이동시켜 초점을 조정할 경우 이 이동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자바라스커트부재(70)가 접혔다 펴지면서 이동부재(40)와 케이싱부재(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으로 빛이 유입되어 촬상소자(20)에 가해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상을 모니터에서 더욱 선명하고 뚜렷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촬상소자가 고정되는 이동부재에 구비된 래크가 피니언과 맞물려 노브부재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동부재를 전, 후로 이동시켜 랜즈와 촬상소자의 초점을 조정하므로서 래크의 길이에 따라 폭넓은 초점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노브부재가 회전되는 범위에 따라 일정한 거리로 이동부재가 전, 후로 이동하므로 더욱 미세하고 정밀한 초점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의 상을 모니터에서 더욱 선명하고 뚜렷하도록 초점 조정이 가능하여 상품성과 작업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전방에 렌즈(11)가 장착되는 경통부(12)를 구비한 케이싱부재(10)와;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 렌즈(11)의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렌즈(11)에 맺힌 상을 인지하는 촬상소자(20)와;
    상기 촬상소자(20)가 연계되어 이 촬상소자(20)에 맺힌 상을 영상신호로 처리하는 회로기판(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 내부에는 일측에 소정길이를 가지는 래크(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소자(20)가 고정되어 전, 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0)를 설치하고, 일면에 상기 이동부재(40)의 래크(41)에 맞물리는 피니언(51)이 구비된 노브부재(50)를 래크(41)와 피니언(51)이 맞물리고 회전가능하게 케이싱부재(10)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부재(50)는 타면에 소정의 폭을 가지는 걸림홈(52)이 원형으로 반복형성되고, 이 걸림홈(52)에는 일단이 케이싱부재(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끝단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된 탄성걸림부재(60)의 걸림턱(61)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의 전면에는 접을 수 있는 다수의 주름부가 반복형성된 소정길이의 자바라스커트부재(70)가 장착되고, 이 자바라스커트부재(70)의 끝단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KR20-2003-0000525U 2003-01-08 2003-01-08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KR200310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25U KR200310860Y1 (ko) 2003-01-08 2003-01-08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525U KR200310860Y1 (ko) 2003-01-08 2003-01-08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861A Division KR100647267B1 (ko) 2004-03-12 2004-03-12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860Y1 true KR200310860Y1 (ko) 2003-04-18

Family

ID=4940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525U KR200310860Y1 (ko) 2003-01-08 2003-01-08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8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3667B (zh) 具有可旋轉透鏡鏡筒的成像設備
US7307663B2 (en) Video surveillance camera
CN104115064B (zh) 半球型相机
US7546028B2 (e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image pickup device
US7515815B2 (en) Imaging device ha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er
KR0150980B1 (ko) 카메라
JP4572780B2 (ja) 撮像装置
JP2007072067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KR100647267B1 (ko)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TWI649610B (zh) 鏡頭傳動機構及其攝影裝置
KR200310860Y1 (ko)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KR20110062388A (ko) 줌 렌즈 시스템
US866535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n which image pickup element is movable in optical axis direction
KR20120095241A (ko) 카메라 장치
JP2008141231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KR200288749Y1 (ko) 시시디 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JP7254888B2 (ja) レンズ装置、撮像装置および支持部材
JP2906911B2 (ja) ビデオカメラ
KR200368749Y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WO2020004158A1 (ja) 撮像装置
KR20240051762A (ko) Cctv카메라의 상기렌즈조절기술
US6879446B1 (en) Viewfinder mechanism
JP2004343613A (ja) フランジバック調整機構
KR200342500Y1 (ko) 다 렌즈 카메라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