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396Y1 -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96Y1
KR200310396Y1 KR20-2003-0000664U KR20030000664U KR200310396Y1 KR 200310396 Y1 KR200310396 Y1 KR 200310396Y1 KR 20030000664 U KR20030000664 U KR 20030000664U KR 200310396 Y1 KR200310396 Y1 KR 20031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led substrate
led
traffic ligh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일
Original Assignee
박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일 filed Critical 박은일
Priority to KR20-2003-0000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을 LED 기판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값이 저렴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상기 LED 기판은 일측 및 타측이 일부 절개된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정면에는 다수개의 LED 소자가 배열되어있고, 그 배면에는 상기 LED 소자의 단자를 끼우기 위해 상기 LED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 상기 삽입공을 통해 튀어나온 상기 LED 소자의 단자와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전기회로배선; 및 상기 전기회로배선으로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을 봉지재에 의해 몰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TRAFFIC SIGNAL LAMP USING LED SUBSTRATE}
본 고안은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을 LED 기판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값이 저렴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등(信號燈)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강, 초록, 오랜지색의 3가지이며, 대개 빨강색등(이하, '적색등'아라 함)은 정지신호, 초록색등(이하, '녹색등'이라 함)은 진행신호, 오렌지색등(이하, '황색등'이라 함)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황색등은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이러한 신호등에는 크게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신호등과 LED를 이용한 신호등이 있다. 그러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교통신호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통신호등(1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좌측으로부터 적색신호등(11), 황색신호등(12), 방향표시등(13), 녹색신호등(14)으로 구성된다.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교통신호등(10a)은 신호등을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25)에 고정되는 하우징(21), 광원(23), 반사경(22) 및 커버(26)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은 반구형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반구형 구조의 내부에는 반사경(22)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21)의 타측 주변부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5)에 마련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21)이 베이스 플레이트(25)에 고정된다.
주로 전구가 사용되는 광원(23)은 하우징(21)의 일측 중앙부에 제공된 소켓 어셈블리(24)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21) 내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21)의 일측 중앙부에는 소정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버(26)는 교통 신호등(10)의 신호에 따라 광원(23)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적색, 녹색 또는 황색의 색상 가운데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투과시킨다. 즉, 교통 신호등(10)이 황색을 표시할 경우에는, 커버(26)는 황색 광만을 투과시키는 필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21) 및 커버(26)는 고무로 이루어진 링(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5)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교통 신호등은 주로 전구가 사용되는 광원(23)에서 방사되는 광의 밝기가 낮은 동시에 필터인 커버(26)를 통하여 색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태양과 같이 밝은 빛 아래에서는 약간만 먼 거리에서도 교통 신호등에 표시되는 교통 신호를 용이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통 신호등은 전구를 사용한 광원(23)이 고장이 났을 경우 전구를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전력 소비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 대신에 LED를 사용한 교통 신호등이 개발되었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다른 교통신호등에 사용되는 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하, 'LED 기판'이라 함)(3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LED 기판(30)은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정면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LED 소자(31)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소자(31)에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저항(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LED 소자(31)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인가부(32)가 체결 수단(33)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LED 기판(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LED 기판(30)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에 나사(도시되지 않음)로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LED 기판(30)을 사용한 종래의 교통 신호등은 상기 LED 기판(30)이 고장이 났을 경우 다른 LED 기판으로 교체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신호등 전부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LED 기판(30)을 사용한 종래의 교통 신호등은 전류제한용으로 사용되는 저항(34)이 다수개의 LED 소자(31)에 각각 접속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많은 저항 부품들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비싸고 고장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LED 기판(30)을 사용한 종래의 교통 신호등은 상기 LED 기판(30)의 배면이 전자 부품들을 납땜한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나 빗물,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쇼트나 단락이 발생하여 고장이 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할로겐램프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을 LED 기판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값이 저렴한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LED 기판의 배면을 실리콘 등으로 몰딩 처리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통신호등의 구성도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내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다른 교통신호등에 사용되는 LED 기판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하우징
120 : 차광부재 130 : 렌즈 플레이트
200 : LED 기판 210 : LED 소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교류(AC) 전원이 인가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을 입력하여 온도 변화에도 일정한 전압을 제 3 노드로 출력하는 서미스터;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제 4 노드와 제 5 노드로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부; 및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른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상기 LED 기판은 일측 및 타측이 일부 절개된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정면에는 다수개의 LED 소자가 배열되어있고,
그 배면에는 상기 LED 소자의 단자를 끼우기 위해 상기 LED 기판을 관통하여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 상기 삽입공을 통해 튀어나온 상기 LED 소자의 단자와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전기회로배선; 및 상기 전기회로배선으로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을 봉지재에 의해 몰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의 LED 소자는 각각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지재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입력 회로부는 교류(AC) 전원이 인가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을 입력하여 온도 변화에도 일정한 전압을 제 3 노드로 출력하는 서미스터; 및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LED 소자로 공급하는 브리지 정류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 하우징(110), 차광부재(120), 렌즈 플레이트(130), LED 소자(210)가 구비된 LED 기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중앙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삽입홀(표기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내로 원활하게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홀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에 장착되는 상기 차광 부재(120), 상기 렌즈 플레이트(130) 및 LED 기판(200)은 각각 상기 하우징(1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20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200)은 일측 및 타측이 일부 절개(200a)(200b)된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정면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LED 소자(210)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LED 기판(200)의 배면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소자(210)의 단자를 끼우기 위해 상기 LED 기판(200)을 관통한 다수개의 삽입공{납땜(222)이 형성된 부분으로 도시하지 못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LED 소자(21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회로배선(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튀어나온 상기 LED 소자(210)의 단자와 상기 전기회로배선(221)이 납땜(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회로배선(221)으로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회로부(230)와 배선(2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상기 LED 기판(200)은 상기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 위를 실리콘(240)으로 몰딩 처리하여 외부로부터 기판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본 고안에 의한 상기 LED 기판(200)은 수분이나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회로가 단락 또는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 원형으로 구성된 의한 LED 기판(200)의 일측 및 타측이 일부 절개(200a)(200b)된 이유는 기존의 교통신호등의 하우징(110)에 형성된 기판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의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절개하였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설치된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LED 기판(200)을 끼워서 장착함으로써 기존의 교통신호등에 본 고안의 LED 기판(200)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200)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AC) 전원이 인가되는 노드 1, 2(Nd1)(Nd2)와, 상기 노드 1(Nd1) 및 상기 노드 2(Nd2) 사이에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NR)와, 상기 노드 1(Nd1) 및 노드 3(Nd3) 사이에 접속된 서미스터(thermistor)(SR)와, 상기 노드 3(Nd3) 및 상기 노드 2(Nd2)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노드 4, 5(Nd4)(Nd5)로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부(D1-D4)와, 상기 노드 4(Nd4) 및 노드 5(Nd5)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LED 소자(LED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너다이오드(ZNR)는 상기 노드 1(Nd1) 및 상기 노드 2(Nd2)의 전류가 급격하게 변하더라도 상기 제너다이오드(ZNR)의 양단의 전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서미스터(thermistor)(SR)는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저항기로, 주위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LED 소자(LEDn)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부(D1-D4)는 상기 노드 3(Nd3) 및 상기 노드 2(Nd2)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노드 4, 5(Nd4)(Nd5)로 출력하도록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200)은 교류 전원(AC)의 인가시 상기 제너다이오드(ZNR)에 의해 입력 전원이 변화하더라도 상기 노드 1, 2(Nd1)(Nd2)의 양단의 전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도 상기 서미스터(SR)에 의해 상기 LED 소자(LEDn)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소자(LEDn)는 상기 브리지 정류회로부(D1-D4)를 통해 전파 정류된 신호를 입력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소자(LEDn)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LED 소자가 몇 개 고장이 나더라도 전체적으로 동작하는데는 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와 같이, 상기 LED 기판(200)을 구성하는 전자 부품의 수가 종래의 LED 기판에 비해 훨씬 적으므로 제품의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기존의 할로겐 램프 대신에 LED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소전류와 소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누전 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종래의 교통신호등을 LED 기판으로 교체할 경우 신호등의 본체를 전부 교체하지 않더라도, 할로겐 램프를 빼낸 후에 본 고안의 LED 기판만을 간단히 끼워 넣으면 되기 때문에 신호등의 교체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은 LED 기판의 배면을 실리콘 등으로 몰딩 처리하기 때문에, 수분이나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회로가 단락 또는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 있어서,
    교류(AC) 전원이 인가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을 입력하여 온도 변화에도 일정한 전압을 제 3 노드로 출력하는 서미스터;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제 4 노드와 제 5 노드로 출력하는 브리지 정류회로부; 및
    상기 제 4 노드와 상기 제 5 노드 사이에 병렬로 접속된 다수개의 LED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2.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은 일측 및 타측이 일부 절개된 원형의 구조를 가지며,
    그 정면에는 다수개의 LED 소자가 배열되어있고,
    그 배면에는 상기 LED 소자의 단자를 끼우기 위해 상기 LED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 상기 삽입공을 통해 튀어나온 상기 LED 소자의 단자와 납땜에 의해 연결된 전기회로배선; 및 상기 전기회로배선으로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입력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회로기판을 봉지재에 의해 몰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LED 소자는 각각 병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 회로부는,
    교류(AC) 전원이 인가되는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을 입력하여 온도 변화에도 일정한 전압을 제 3 노드로 출력하는 서미스터; 및
    상기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노드의 신호를 입력하여 전파 정류한 신호를 상기 다수개의 LED 소자로 공급하는 브리지 정류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KR20-2003-0000664U 2003-01-09 2003-01-09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KR200310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64U KR200310396Y1 (ko) 2003-01-09 2003-01-09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64U KR200310396Y1 (ko) 2003-01-09 2003-01-09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396Y1 true KR200310396Y1 (ko) 2003-04-21

Family

ID=4940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664U KR200310396Y1 (ko) 2003-01-09 2003-01-09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3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679B1 (en) Led light bulb
US7661852B2 (en) Integrated LED bulb
US20070153518A1 (en) LED bulb
US20050276063A1 (en) Wedge-based lamp with LED light engine and method of making the lamp
US7750576B2 (en) Light string with external resistor unit
US20130328482A1 (en) Led light bulb with failure indication and color change capability
US8517583B2 (en) Loaded LED bulbs for incandescent/fluorescent/neon/xenon/halogen bulbs replacement in load sensitive applications and more
US20080048566A1 (en) Coin shaped light-emitting device and coin shaped spotlight comprising same
KR200310396Y1 (ko) 엘이디 기판을 사용한 교통신호등
US9000672B2 (en) Connector with surge protection structure
US10237935B2 (en) Emission control device,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unit, and lighting fixture
KR100797148B1 (ko) 엘이디 조명 모듈의 연결장치
KR20090114680A (ko) Led 모듈 및 led 모듈을 사용하여 조립된 led램프
CN212691659U (zh) 车辆用照明装置及车辆用灯具
JP2004063237A (ja) 発光ダイオード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60021165A (ko) 엘이디 조명등용 인쇄회로기판 패턴과 이를 이용한 엘이디 인쇄회로기판 및 엘이디 조명기기
JP2013203373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JP2003109403A (ja) 装飾電球装置
JP2012123945A (ja) 光源モジュール、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778788B1 (ko) 조명 구조물용 램프장치 제조방법
CN212812093U (zh) 一种酶标仪用多波长led灯
JP2016054069A (ja) 車両用灯具の点灯回路、車両用灯具の光源ユニット、車両用灯具
JPS59206874A (ja) 発光表示装置
US20190186725A1 (en) Universal Light Emitting Device
KR200434174Y1 (ko) 엘이디 조명 모듈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