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206Y1 - 높낮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0206Y1 KR200310206Y1 KR20-2003-0000413U KR20030000413U KR200310206Y1 KR 200310206 Y1 KR200310206 Y1 KR 200310206Y1 KR 20030000413 U KR20030000413 U KR 20030000413U KR 200310206 Y1 KR200310206 Y1 KR 2003102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support
- connection pipe
- hole
- fit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 A47B2220/003—Height-adjustable feet or glider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적은 회전수로도 원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중이 큰 가구나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누구나 수월하게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연결관과 외부면에 상기 상부연결관에 형성된 숫나사와 반대방향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연결관 및 상기 상부연결관과 하부연결관의 사이에 조절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구가,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를 하부에 형성한 상부지지구의 하부에 끼워짐과 동시에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를 상부에 형성한 하부지지구의 상부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나 가전제품의 하부에 설치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적은 회전수로도 원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중이 큰 가구나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누구나 수월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나 가전제품 등을 배치할 때 바닥이 수평하지 못하여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중심이 기우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가구나 가전제품의 하부에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구는 접지판의 상부중앙에 종형의 볼트가 고정되고, 상기 볼트가 가구나 가전제품의 하부에 끼워진 것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지판을 회전시켜 볼트의 노출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절구는 접지판의 회전시, 접지판의 하부가 바닥에 밀착되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회전을 시키기가 어려우며, 가구나 가전제품의 하중으로 인하여 볼트와 접지판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가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67532호 ‘가구용 높낮이 조절구’(이하, ‘선등록고안’이라 함)는 하체의 상면 중앙에 높낮이 조절시 상체의 회전을 저지하여 승강을 돕는 안내봉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봉의 외곽에는 조절링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조절링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외향 걸림턱을 형성하며, 내주면에 속나사를 부여하고 내주면의 하단 둘레에 결합홈을 형성한 조절링을 하체에 얹어서 그 결합홈에 걸림턱을 끼워 결합하며, 받침판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의 외주면에 상기 속나사에 체결하는 겉나사를 형성하고 실린더의 내면은 상기 안내본에 부합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안내봉에 맞춘 다음 조절링을 틀어서 조립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고안은 조절링의 회전력이 상체의 상부방향으로만 절달되기 때문에 원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절링의 회전수가 많아지게 되고, 가구나 가전제품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조절링을 회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부나 노약자들은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회전수로도 원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중이 큰 가구나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누구나 수월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결합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지지구 1' : 하부지지구
2 : 조절구 3 : 조입구
4 : 삽입구 11, 11' : 삽입관
12, 12' : 연결부 13 : 끼움부
21 : 조절손잡이 22 : 상부연결관
22' : 하부연결관 23 : 삽입부
41 : 관통봉 42 : 걸림부
111, 111' : 관통공 112 : 걸림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는, 외부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연결관과 외부면에 상기 상부연결관에 형성된 숫나사와 반대방향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연결관 및 상기 상부연결관과 하부연결관의 사이에 조절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구가,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를 하부에 형성한 상부지지구의 하부에 끼워짐과 동시에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를 상부에 형성한 하부지지구의 상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는 상기 조절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지구의 상부에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구의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는 걸림턱과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지지구의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의 상부에는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 조절구의 사용상태도이다.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회전시키는 조절구(2)는, 외부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연결관(22)과 외부면에 상기 상부연결관(22)에 형성된 숫나사와 반대방향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연결관(22') 및 상기 상부연결관(22)과 하부연결관(22')의 사이에 조절손잡이(21)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21)는 쥐어지는 부분에 엠보싱을 주어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형태로는 원판형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판형 등의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2)의 상부연결관(22)에는 가구나 가전제품에 부착되는 상부지지구(1)를 끼우되, 상기 상부지지구(1)의 하부에는 내부면에 상기 상부연결관(22)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12)를 형성하여 끼움과 동시에, 상기 조절구(2)의 하부연결관(22')에는 내부면에 상기 하부연결관(22')의 외부면에 형성된 숫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12')를 상부에 형성한 하부지지구(1')를 끼움으로써, 상기 조절구(2)가 회전될 때, 상부지지구(1)와 하부지지구(1')가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조절구(2)를 우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부지지구(1)와 밑판(5)은 위쪽으로, 하부지지구(1')와 바닥(6)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조절구(2)를 좌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부지지구(1)와 밑판(5)은 아래쪽으로, 하부지지구(1')와 바닥(6)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5a 및 도 5b는 편의상 조절구(2)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바닥(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절구(2)와 상부지지구(1) 및 밑판이 이동하는 것임은 당연하다.
만약, 상기 하부지지구(1')가 바닥(6)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구(2)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하부지지구(1')가 조절구(2)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구(2)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부(23)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지구(1)의 상부에는 끼움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구(1)의 연결부(12)에는 상기 삽입부(23)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11)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11)의 하부에는 걸림턱(112)과 관통공(111)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지지구(1')의 연결부(12')에는 상기 삽입부(23)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11')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11')의 상부에는 관통공(111')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111)(111')을 관통하는 사각 기둥의 관통봉(41)과 상기 걸림턱(112)에 걸리는 걸림부(42)가 일체로 형성된 삽입구(4)를 상기 상부지지구(1)의 끼움부(13)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상부지지구(1)와 하부지지구(1')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봉(41)의 형태는 사각기둥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구(1)를 밑판(5)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제약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지지구(1)가 고정될 위치에 관통공(511)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13)의 상부내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후, 하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조임구(3)를 상기 관통공(511)을 관통하여 끼움부(13)에 견고히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조임구(3)를 설치하여 끼움부(13)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적은 회전수로도 원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중이 큰 가구나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누구나 수월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외부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연결관(22)과 외부면에 상기 상부연결관(22)에 형성된 숫나사와 반대방향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연결관(22') 및 상기 상부연결관(22)과 하부연결관(22')의 사이에 조절손잡이(21)가 일체로 형성된 조절구(2)가,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12)를 하부에 형성한 상부지지구(1)의 하부에 끼워짐과 동시에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부(12')를 상부에 형성한 하부지지구(1')의 상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조절구(2)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삽입부(23)를 형성하며,상기 상부지지구(1)의 상부에는 끼움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구(1)의 연결부(12)에는 상기 삽입부(23)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11)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11)의 하부에는 걸림턱(112)과 관통공(111)을 형성하며,상기 하부지지구(1')의 연결부(12')에는 상기 삽입부(23)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삽입관(11')을 형성하되, 상기 삽입관(11')의 상부에는 관통공(111')을 형성하며,상기 관통공(111)(111')을 관통하는 관통봉(41)과 상기 걸림턱(112)에 걸리는 걸림부(42)가 일체로 형성된 삽입구(4)가 상기 상부지지구(1)의 끼움부(13)의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구.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끼움부(13)의 상부내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며, 하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조임구(3)가 상기 끼움부(13)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0413U KR200310206Y1 (ko) | 2003-01-07 | 2003-01-07 | 높낮이 조절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0413U KR200310206Y1 (ko) | 2003-01-07 | 2003-01-07 | 높낮이 조절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0206Y1 true KR200310206Y1 (ko) | 2003-04-10 |
Family
ID=4933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0413U KR200310206Y1 (ko) | 2003-01-07 | 2003-01-07 | 높낮이 조절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020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517B1 (ko) | 2006-01-24 | 2008-03-20 | 김정식 | 다용도 받침대 |
KR101513267B1 (ko) * | 2015-01-30 | 2015-05-11 | (주)인퍼스 |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
KR102007118B1 (ko) * | 2018-02-12 | 2019-08-02 | 김진국 |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가구 |
-
2003
- 2003-01-07 KR KR20-2003-0000413U patent/KR2003102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517B1 (ko) | 2006-01-24 | 2008-03-20 | 김정식 | 다용도 받침대 |
KR101513267B1 (ko) * | 2015-01-30 | 2015-05-11 | (주)인퍼스 |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
KR102007118B1 (ko) * | 2018-02-12 | 2019-08-02 | 김진국 |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가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6969B2 (en) | Toilet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 |
US7963567B2 (en) |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 |
TWI845662B (zh) | 錨固裝置 | |
KR200310206Y1 (ko) | 높낮이 조절구 | |
BRPI1101038A2 (pt) | conjunto de conexão do riser e conjunto de saliência | |
KR200456712Y1 (ko) |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 |
CN104832510B (zh) | 一种管连接装置 | |
KR101460790B1 (ko) | 가로등용 가로등주 암의 각도 조정장치 | |
CN2618030Y (zh) | 一种方便调节的投影机吊架 | |
KR100742531B1 (ko) | 수도전 고정구 | |
KR20200006394A (ko) |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KR200415828Y1 (ko) | 수전용 클램프 구조 | |
KR200439858Y1 (ko) |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매직 죠인트 구조물 지지대 | |
KR101789581B1 (ko) | 행거용 지주 | |
KR101608487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펌프용 받침대 | |
KR101368593B1 (ko) | 양변기 배수구 연결장치 | |
KR200340988Y1 (ko) |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 |
KR101055953B1 (ko) | 도어용 하부 힌지 조립체 | |
JP4094820B2 (ja) | マンホール等用足掛具の取付構造 | |
CN105113853B (zh) | 快装门锁及其安装方法 | |
KR20090042695A (ko) |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 |
CA2663867C (en) |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 |
KR102441154B1 (ko) | 거푸집 지지용 포스트 | |
KR19980081546A (ko) | 파이프행거 | |
KR200310207Y1 (ko) | 높낮이 조절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