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879Y1 - 전화통화기록부 - Google Patents

전화통화기록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879Y1
KR200309879Y1 KR20-2003-0002005U KR20030002005U KR200309879Y1 KR 200309879 Y1 KR200309879 Y1 KR 200309879Y1 KR 20030002005 U KR20030002005 U KR 20030002005U KR 200309879 Y1 KR200309879 Y1 KR 200309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front cover
rear cover
cover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이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창 filed Critical 이기창
Priority to KR20-2003-0002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통화기록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통화기록부를 데스크 캘린더 형태로 구성하여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스크 캘린더 그대로 사용하고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할 때에는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통화기록부의 방치에 따른 분실의 소지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전화통화기록부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1)을 포함하는 상부측 지철부(2)에 하방 양측으로 삼각 형태를 이루는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의 하부는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 각각에 일체로 절첩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서로 중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 외측면에 캘린더부(7)가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전화통화기록부의 방치에 따른 분실의 소지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통화기록부{Telephone coversation recording book}
본 고안은 전화통화기록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통화기록부를 데스크 캘린더 형태로 구성하여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스크 캘린더 그대로 사용하고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할 때에는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통화기록부의 방치에 따른 분실의 소지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 전화통화기록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통화기록부는 전화통화내용을 기록하는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을 책으로 엮어 만든 것으로서, 통상 업종 홍보 및 광고를 위한 전단지 및 쿠폰과 함께 결합 구성되는 것이며, 이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다.
즉, 종래의 전화통화기록부는 양면 표지로써 전면커버(100)와 후면커버(2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면커버(100)와 후면커버(200) 사이에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300)이 지철부(400)에 의해 전면커버(100) 및 후면커버(200)와 함께 결합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화통화기록장(300)은 다수의 통화기록칸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각각의 통화기록칸은 성명, 날짜와시간, 전화온곳을 기입하고, 전화요망, 다시함, 안부전화, 방문예정을 표시하며, 메모를 할 수 있는 여백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어 통화시 부재중이었던 상대방에게 통화내용이 기록된 통화기록칸을 절취선을 따라 뜯어 건네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화통화기록부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 보관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분실의 소지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사용시 다시 그 방치된 전화통화기록부를 일일이 찾아 사용해야만 되는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화통화기록부를 데스크 캘린더 형태로 구성하여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스크 캘린더 그대로 사용하고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할 때에는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통화기록부의 방치에 따른 분실의 소지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을 포함하는 상부측 지철부에 하방 양측으로 삼각 형태를 이루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하부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각각에 일체로 절첩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서로 중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바닥면 및 제2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와 제1 바닥면 외측면에 캘린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철부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캘린더부는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와 제1 바닥면에 대해서 가로방향의 문자 및 숫자 배열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캘린더부는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와 제1 바닥면에 대해서 세로방향의 문자 및 숫자 배열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철부에 다수장의 월간 캘린더가 전면커버의 외측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펼친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전화통화기록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전화통화기록장 2:지철부
2A:스프링 3:전면커버
4:후면커버 5:제1 바닥면
6:제2 바닥면 7:캘린더부
8:월간 캘린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및 펼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측 지철부(2)에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1)과 상기 전화통화기록장(1)의 전.후방측으로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가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는 지철부(2)의 하방으로 삼각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철부(2)는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를 서로 연이어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연결부에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1)을 부착 고정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의 하부는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 각각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에 의해 상호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바닥면(5)은 후면커버(4)와 분리되어 있고 전면커버(3)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이며, 제2 바닥면(6)은 전면커버(3)와 분리되어 있고 후면커버(4)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이들은 전면커버(3)와 제1 바닥면(5), 후면커버(4)와 제2 바닥면(6) 사이의 절첩선(8)에 의해 접고 펼침이 가능하며,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 각각의 외측면에는 캘린더부(7)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캘린더부(7)는 4월 간격, 즉 1월에서 4월까지는 전면커버(3)에 형성되고, 5월에서 8월까지는 제1 바닥면(5)에 형성되며, 9월에서 12월까지 후면커버(4)에 형성되는 식으로 3면에 4월씩 1년 12월이 인쇄 및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이 서로 중첩되어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의 하부를 지지하는 삼각형태에서 상기 캘린더부(7)의 문자 및 숫자는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에 대해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여 세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상시 데스크 캘린더로써 사용되는 것이며, 전화통화내용을 기록하거나 주요 전화번호를 찾는 전화통화기록부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로 중첩되었던 제1 바닥면(5)과 제2 바닥면(6)을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의 안쪽으로 접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이 서로 분리된 전화통화기록부의 형태를 갖도록 한 것에 의해 사용되어 지는 것이며, 사용후에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삼각형태를 갖추어 데스크 캘린더의 용도로써 사용 및 보관되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1)을 포함하는 지철부(2)에 상기 전화통화기록장(1)의 전.후방측으로 구비되는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는 하부측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철부(2)는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전화통화기록장(1)에 다수의 구멍을 연속적으로 뚫어 코일형태의 스프링(2A)을 끼워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캘린더부(7)는 월별로 각각 낱장으로 구성된 다수의 월간 캘린더(9)를 스프링(2A) 형태의 지철부(2)에 함께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월간 캘린더(9)는 전면커버(3)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화통화기록부를 데스크 캘린더 형태로 구성하여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스크 캘린더 그대로 사용하고 전화통화기록부를 사용할 때에는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전화통화기록부를 방치에 함에 따른 분실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전화통화기록부를 데스크 캘린더로써 사용 및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데스크 캘린더 구입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Claims (5)

  1. 다수의 전화통화기록장(1)을 포함하는 상부측 지철부(2)에 하방 양측으로 삼각 형태를 이루는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가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의 하부는 전면커버(3)와 후면커버(4) 각각에만 절첩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서로 중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바닥면(5) 및 제2 바닥면(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 외측면에 캘린더부(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철부(2)는 스프링(2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부(7)는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에 대해서 가로방향의 문자 및 숫자 배열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부(7)는 전면커버(3) 및 후면커버(4)와 제1 바닥면(5)에 대해서세로방향의 문자 및 숫자 배열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
  5.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철부(2)에 다수장의 월간 캘린더(9)가 전면커버(3)의 외측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통화기록부.
KR20-2003-0002005U 2003-01-22 2003-01-22 전화통화기록부 KR200309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05U KR200309879Y1 (ko) 2003-01-22 2003-01-22 전화통화기록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05U KR200309879Y1 (ko) 2003-01-22 2003-01-22 전화통화기록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879Y1 true KR200309879Y1 (ko) 2003-04-08

Family

ID=4933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005U KR200309879Y1 (ko) 2003-01-22 2003-01-22 전화통화기록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8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9879Y1 (ko) 전화통화기록부
KR101491027B1 (ko) 벽걸이와 탁상용 겸용 달력
US4288935A (en) Display book apparatus
KR200270590Y1 (ko) 메모지 겸용 탁상용 카렌다
KR100763447B1 (ko) 달력
JP2002127657A (ja) アルバム台紙
JP3172420U (ja) 追記型日めくりメモリ
KR200411624Y1 (ko) 다이어리 겸용 탁상용 캘린더
KR200274945Y1 (ko) 포스트잇이 부착된 노트
KR200427828Y1 (ko) 탁상용 캘린더
JP3078048U (ja) 卓上カレンダー
KR200167300Y1 (ko) 지역정보지 겸용 달력
KR20040086635A (ko) 책표지 구조
KR100971037B1 (ko) 탁상용 달력
KR200416435Y1 (ko) 달력
KR200308297Y1 (ko) 전화통화기록부
KR200164092Y1 (ko) 독서대를구비한노트
KR200194004Y1 (ko) 광고를 겸한 통화 기록부
KR200375127Y1 (ko) 메모지용 링 바인더
KR200341725Y1 (ko) 광고기능을 갖춘 메모판식 카렌다
KR200166182Y1 (ko) 탁상용 앨범구조
KR200371958Y1 (ko) 그림책 겸용 일력
KR200408779Y1 (ko) 탁상용 카렌다
KR200427470Y1 (ko) 다이어리 겸용 탁상 메모 캘린더
KR20220027645A (ko) 플래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