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82Y1 - 탁상용 앨범구조 - Google Patents

탁상용 앨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82Y1
KR200166182Y1 KR2019990016321U KR19990016321U KR200166182Y1 KR 200166182 Y1 KR200166182 Y1 KR 200166182Y1 KR 2019990016321 U KR2019990016321 U KR 2019990016321U KR 19990016321 U KR19990016321 U KR 19990016321U KR 200166182 Y1 KR200166182 Y1 KR 200166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sheets
album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김등환
Original Assignee
김동주
김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김등환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19990016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위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앨범에 여러장의 사진을 보관하면서 낱장지를 넘겨 원하는 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낱장지 정면과 배면에 사진과 함께 수납된 달력 또는 메모지에 의해 책상의 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탁상용 앨범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삼각형상의 받침판지(1) 상단과 여러장의 낱장지 상단을 스프링철선으로 결합하여 낱장지를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한 탁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낱장지의 정면과 배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비닐지를 씌우거나 합지를 부착하여 낱장지의 정면 또는 배면과 비닐지 또는 합지의 사이로 작은사진, 큰사진, 중간사진 및 달력과 메모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탁상용 앨범구조{Structure of photograph album for a table}
본 고안은 책상위에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앨범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위에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달력 등과 같이 상단을 철선으로 연결하여 한 장씩 넘겨 볼 수 있도록 하고, 넘겨지는 각 장의 정면과 배면에는 사진이나 달력 및 메모지를 삽입하여 책상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탁상용 앨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많은 사람들은 사무실 책상위의 잘보이는 곳에 가족 사진을 놓고 근무를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가족사진을 보면서 근무를 하면 즐거운 마음과 책임감을 가지고 근무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업무능률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책상위에 사진을 놓으려면 탁상용 액자를 구입하여 사진을 액자에 끼운 후 세워놓거나 책상위의 유리판 아래에 끼워 놓아야 하는 것이므로 여러장의 사진을 앨범타입으로 동시에 보관할 수 없고, 이에 따라 탁상용 액자나 유리판 아래 끼워진 사진만을 보면서 근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사진보관방법 중에서 책상위면과 유리판 사이에 사진을 보관하는 방법은 책상위에 유리판이 놓여 있지 않으면 활용할 수 없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유리판의 아래에 사진을 바르게 놓으려면 유리판을 들고 그 밑으로 사진을 넣어야 하는 것이므로 사진을 보관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엇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진보관방법 중에서 탁상용 액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사진을 액자에 꽂거나 책상위에 세워 놓기는 편리하지만 하나의 액자에 하나의 사진만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가족이 함께 찍은 사진을 탁상용 액자에 넣어 놓지 않으면 가족들 모두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사진보관방법은 단순하게 사진을 책상 위에 놓는 것이므로 탁상용 달력 등은 별도로 책상위에 올려 놓아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책상의 본래 활용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책상위에 놓고 사용하는 탁상용 달력 등과 같이 삼각형상의 받침판지와 여러장의 낱장지들 상단을 스프링형태의 철선으로 연결하여 한 장씩 넘겨 볼 수 있도록 하고, 넘겨지는 각 장의 정면과 배면에는 사진이나 달력 및 메모지를 삽입하여 책상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러장의 사진을 탁상용 앨범에 보관하면서 낱장지를 넘겨 원하는 사진을 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낱장지 정면과 배면에 사진과 함께 수납된 달력 또는 메모지에 의해 책상의 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탁상용 앨범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받침판지 2 : 스프링철선
3, 3', 3″, 30, 30' : 낱장지 4, 4', 4″, 40, 40' : 비닐지
5 : 통공 6 : 융착부
7 : 작은사진 7' : 큰사진
7″ : 중간사진 8 : 달력
31, 31' : 접착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삼각형상의 받침판지(1) 상단과 여러장의 낱장지(3)(3')(3″) 상단을 스프링철선(2)으로 결합하여 낱장지를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한 탁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낱장지(3)(3')(3″)의 정면과 배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비닐지(4)(4')(4″)를 씌워서 낱장지(3)(3')(3″)의 정면 또는 배면과 비닐지(4)(4')(4″)의 사이로 작은사진(7)과 큰사진(7') 및 중간사진(7″)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은사진(7)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낱장지(3)는 상단으로부터 2/3정도의 위치에 통공(5)을 형성하고, 그 통공(5)의 위치에 해당하는 정면과 배면의 비닐지(4)를 융착시켜 융착부(6)를 형성함으로서 넓은 공간에는 작은사진(7)을 삽입하고, 좁은 공간에는 달력(8)이나 메모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여러장의 낱장지(3)(3')(3″) 상단을 삼각형상의 받침판지(1)에 스프링철선(2)으로 결합하여 통상의 탁상용 달력 등과 같이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여러장의 낱장지(3)(3')(3″) 정면과 배면에 비닐지(4)(4')(4″)를 구비하여 그 낱장지(3)(3')(3″)의 정면 또는 배면과 비닐지(4)(4')(4″)의 사이에 작은사진(7)과 큰사진(7') 및 중간사진(7″)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낱장지(4)(4')(4″)를 넘기면 언제나 원하는 사진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작은사진(7)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낱장지(3)에는 상단으로부터 2/3정도의 위치에 통공(5)을 형성하고, 그 통공(5)의 정면과 배면측 비닐지(4)를 고주파융착시켜 경계위치를 형성함으로서 넓은쪽에는 작은사진(7)을 삽입하고, 좁은쪽에는 달력(8)이나 메모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책상위에 별도로 달력 등을 놓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책상의 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받침판지(1)에 스프링철선(2)에 의해 상단이 결합되는 여러장의 낱장지(30)(30') 정면과 배면에 접착층(31)(31')을 구성하여 그 접착층(31)(31')에 작은사진(7), 큰사진(7'), 중간사진(7″) 및 달력(8) 등을 부착한 후 비닐지(40)(40')를 덮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착식 탁상용 앨범 역시 상기와 같이 여러장의 낱장지(30)(30') 정면과 배면에 보고 싶은 여러장의 사진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원하는 사진을 간편하게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로서,
받침판지(1)에 스프링철선(2)에 의해 상단이 결합되는 여러장의 낱장지(300)(300')(300″) 정면과 배면에 중앙부분이 개방된 합지틀(400)(400')(400″)을 부착하여 그 합지틀(400)(400')(400″)에 작은사진(7), 큰사진(7'), 중간사진(7″) 및 달력(8)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간이 액자형 합지틀(400)(400') (400″) 탁상용 앨범 역시 상기와 같이 여러장의 낱장지(300)(300')(300″) 정면과 배면에 보고 싶은 여러장의 사진들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원하는 사진을 간편하게 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들과 같은 탁상용 앨범은 통상적인 앨범과 같이 원하는 사진을 간편하게 삽입해 놓거나 다른 사진으로 바꾸어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삼각형상의 받침판지에 상단이 결합되는 낱장지의 정면과 배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비닐지를 씌워서 낱장지의 정면 또는 배면과 비닐지의 사이로 작은사진, 큰사진, 중간사진 및 달력과 메모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책상위에 여러장의 사진을 보관하면서 낱장지를 넘겨 원하는 사진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낱장지 정면과 배면에 사진과 함께 수납된 달력 또는 메모지에 의해 책상의 활용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삼각형상의 받침판지(1) 상단과 여러장의 낱장지(3)(3')(3″) 상단을 스프링철선(2)으로 결합하여 낱장지를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한 탁상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낱장지(3)(3')(3″)의 정면과 배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비닐지(4)(4')(4″)를 씌워서 낱장지(3)(3')(3″)의 정면 또는 배면과 비닐지(4)(4')(4″)의 사이로 작은사진(7)과 큰사진(7') 및 중간사진(7″)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탁상용 앨범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은사진(7)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 낱장지(3)는 상단으로부터 2/3정도의 위치에 통공(5)을 형성하고, 그 통공(5)의 위치에 해당하는 정면과 배면의 비닐지(4)를 융착시켜 융착부(6)를 형성하여 그 융착부(6)를 경계로한 넓은 공간에는 작은사진(7)을 삽입하고, 좁은 공간에는 달력(8)이나 메모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탁상용 앨범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낱장지(3)(3')(3″)들의 정면과 배면에 접착층(31)(31')을 형성하여 작은사진(7), 큰사진(7'), 중간사진(7″) 및 달력 등을 접착층(31)(31')에 부착한 후 그 비닐지(40)(40')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탁상용 앨범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러장의 낱장지(300)(300')(300″) 정면과 배면에 중앙부분이 개방된 합지틀(400)(400')(400″)을 부착하여 그 합지틀(400)(400')(400″)에 작은사진(7), 큰사진(7'), 중간사진(7″) 및 달력(8)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탁상용 앨범구조.
KR2019990016321U 1999-08-10 1999-08-10 탁상용 앨범구조 KR200166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321U KR200166182Y1 (ko) 1999-08-10 1999-08-10 탁상용 앨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321U KR200166182Y1 (ko) 1999-08-10 1999-08-10 탁상용 앨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82Y1 true KR200166182Y1 (ko) 2000-02-15

Family

ID=1958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321U KR200166182Y1 (ko) 1999-08-10 1999-08-10 탁상용 앨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1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27A (ko) * 2019-12-06 2021-06-16 최정원 탁상용 점착 메모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27A (ko) * 2019-12-06 2021-06-16 최정원 탁상용 점착 메모보드
KR102331815B1 (ko) * 2019-12-06 2021-11-25 최정원 탁상용 점착 메모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2848A1 (en)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JP2007058152A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その展示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6439611B1 (en) File folder, box and panel designed with pre-perforated holes, grooves and slots
US6003901A (en) Combined photo album and picture frame and an easel therefor
KR200166182Y1 (ko) 탁상용 앨범구조
US11484115B2 (en) Deployable stand assemblies with folding hinges and related methods
JP2007058181A (ja) 自立可能な平板状物の製造方法
JP2014051000A (ja) カレンダー
US5073059A (en) Visual display supporting structure
KR200415835Y1 (ko) 물품 지지구
KR200494086Y1 (ko) 탁상용 달력 멀티확장형 스탠드
KR102317801B1 (ko) 앨범테이블
KR200195718Y1 (ko) 사진첩 기능을 갖는 달력
JP3223640U (ja) 卓上カレンダー
KR200436966Y1 (ko) 지지구가 설치된 물품 거치대
KR200206448Y1 (ko) 탁상용 달력
KR200341391Y1 (ko) 사진첩 겸용 캘린더
KR200427836Y1 (ko) 다기능 절첩식 캘린더
KR200303616Y1 (ko) 다용도 탁상용 카렌다
KR200303617Y1 (ko) 다용도 탁상용 카렌다
KR930001294Y1 (ko) 탁상용 카렌다 겸용 앨범
KR200303630Y1 (ko) 다기능을 가지는 탁상달력
KR200358786Y1 (ko) 절첩식 물품 지지대
JP3138135U (ja) 写真帳保持具
KR200257233Y1 (ko) 멜로디액자가부설된졸업앨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