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755Y1 - 페트병 - Google Patents

페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755Y1
KR200309755Y1 KR20-2003-0001861U KR20030001861U KR200309755Y1 KR 200309755 Y1 KR200309755 Y1 KR 200309755Y1 KR 20030001861 U KR20030001861 U KR 20030001861U KR 200309755 Y1 KR200309755 Y1 KR 200309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ottle
beverage
straw
out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기
Original Assignee
박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기 filed Critical 박순기
Priority to KR20-2003-0001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등을 담는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페트병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컵에 따를 때 외부 공기가 페트병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벌컥거려 음료수가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페트병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배출구를 구비한 페트병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은 배출구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빨대를 조립시켜 공기유입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빨대조립공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트병{A PET bottle}
본 고안은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병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컵에 따를 때 외부 공기가 페트병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벌컥거려 음료수가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나 음료수의 포장용기로 페트병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페트병은 다양한 용량의 몸체의 정부에 배출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 밀봉뚜껑을 장착시킨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트병은 음료수를 따르기 위하여 페트병을 기울이면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배출구를 모두 차단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패트병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이와 같이 페트병내로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면 페트병내의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게 되지만 음료수가 액체이므로 외부의 공기압에 의해 음료수에 의해 차단된 배출구를 뚫고 외부공기가 페트병내로 유입되게 되어 음료수는 계속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외부공기가 페트병내로 음료수를 뚫고 유입될 때 배출되는 음료수가 순간적으로 배출량이 크게 줄었다 다시 다량으로 배출되면서 벌컥거림이 발생되면서 음료수가 튀게되어 주변에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페트병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컵에 따를 때 외부 공기가 페트병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벌컥거려 음료수가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페트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배출구를 구비한 페트병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은 배출구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빨대를 조립시켜 공기유입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빨대조립공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빨대조립공에 빨대를 조립시키기 전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빨대조립공에 빨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페트병 11: 배출구
12: 빨대조립공 13: 빨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빨대조립공에 빨대를 조립시키기 전의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의 빨대조립공에 빨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10)은 배출구(11)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빨대조립공(12)을 일체로 갖는다.
상기 빨대조립공(12)은 상기 배출구(11)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부의 단부면에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페트병(10)은 페트병(10)의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배출구(11)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빨대조립공(12)에 빨대(13)를 조립시킨 후 빨대조립공(12)이 윗쪽에 위치되도록 한 후 페트병(10)을 기울이면 상기 배출구(11)를 통하여 페트병(10)내의 음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공기는 상기 빨대(13)를 통하여 페트병(10)내로 원활하게 유입됨으로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동시에 음료수의 흐름이 끊어짐이 없이 페트병(10)을 기울이는 만큼 정속으로 배출됨으로 음료수가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음료수를 따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빨대(13)는 뚜껑제거 후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빨대조립공(12)에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고, 고장에서부터 상기 빨대조립공(12)에 빨대(13)와 같은 튜브를 조립시켜 상태로 추고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페트병에 담겨져 있는 음료수를 컵에 따를 때 외부 공기가 페트병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음료수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벌컥거려 음료수가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배출구를 구비한 페트병에 있어서, 상기 페트병(10)은 배출구(11)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빨대(13)를 조립시켜 공기유입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빨대조립공(12)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
KR20-2003-0001861U 2003-01-21 2003-01-21 페트병 KR200309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61U KR200309755Y1 (ko) 2003-01-21 2003-01-21 페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61U KR200309755Y1 (ko) 2003-01-21 2003-01-21 페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755Y1 true KR200309755Y1 (ko) 2003-04-08

Family

ID=4940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61U KR200309755Y1 (ko) 2003-01-21 2003-01-21 페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7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91B2 (en) Pour spout with drip supressing feature
CN101238036B (zh) 液体容器
US7918363B2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RU2420442C2 (ru) Разливные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апитков
AU2006225322A1 (en) A new closure device for a bottle
US5449098A (en) Fluid flow controller for bottle
WO2006095649A1 (ja) 注ぎ口器具及び容器
US5819994A (en) Flow control cap
KR200309755Y1 (ko) 페트병
US20060163187A1 (en) Drinking container with one way valve
JP2005518317A (ja) 水等の液体飲料用の容器に用いられるフィッティング部材
US11278828B1 (en) Filtration pouring spout or bottled liquids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JP3132849U (ja) 缶容器用注ぎ具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JPH07237657A (ja) 容器の口部構造並びに容器用口栓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KR200256775Y1 (ko) 용기
US20100126956A1 (en) Bottle with Sealing Insert
JP2005231686A (ja) 注出口部材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EP1378485A1 (en) Container closure with tap and floating vent
EP1334915A1 (en) A moulded plastics container
KR200212611Y1 (ko) 프라스틱재질의 병뚜껑
KR200313985Y1 (ko) 음료의 배출이 용이한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