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703Y1 -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703Y1
KR200309703Y1 KR20-2002-0039316U KR20020039316U KR200309703Y1 KR 200309703 Y1 KR200309703 Y1 KR 200309703Y1 KR 20020039316 U KR20020039316 U KR 20020039316U KR 200309703 Y1 KR200309703 Y1 KR 200309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guide
wound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훈 filed Critical 신정훈
Priority to KR20-2002-0039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등에 내부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본체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 하부로는 상단이 와이어에 연결되고 하부로는 전구가 구비된 승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 설치공간내에는 구동원인 정역모터와 이 정역모터와 축상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와이어가 감김되어지는 드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체에 연결된 와이어가 본체부 중앙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룸과 동시에 설치공간의 측부상에 고정된 드럼상에 감김되도록 중앙에는 제1안내풀리가 설치되고 측부상에는제2안내풀리가 설치된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제2안내풀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드럼상에 좌우움직이면서 감김될 시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회전체를 마련하되, 상기 안내회전체는 좌우측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 사이에 위치하고 와이어가 편중되지 않도록 중간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은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회전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축상결합되고, 안내회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된 와이어 정렬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와이어가 드럼상에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Lighting lamp}
본 고안은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드럼상에 감김될 시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여 드럼상에 정렬된 상태로 감김될 수 있도록 한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 공장의 천정, 체육관 및 도로의 가로등에는 일명 고소조명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전구의 제한된 수명에 의하여 주기적 또는 고장에 의하여 수시로 전구를 교환함께 아울러 호텔로비등에 설치되는 고소 조명등은 주기적으로 청소작업도 해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고소 조명등은 전구가 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는 그 구성 특징상전구의 청소 및 교환을 위해서는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작업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지상에서의 작업보다 불편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감전및 추락등의 고소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또한 부대장비 사용에 따른 정비비가 증가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제반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조명이 다수 안출되었으며, 이러한 고소조명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천정부위에 고정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1)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구(3)가 구비된 승강체(4)와, 상기 승강체(4)의 상측부에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상기 본체부(1)의 내부 설치공간상에 부설된 드럼(6)상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긴상태로 구비되는 와이어(2)와, 상기 와이어(2)를 드럼(6)상에서 풀림 및 감김함으로서 승강체(4)를 승하강시키도록 드럼(6)에 축상결합된 정역모터(5)로서 그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의 내부 설치공간상에는 승강체(4)에 일측단이 연결된 와이어(2)가 본체부(1) 중앙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룸과 동시에 설치공간의 측부상에 고정된 드럼(6)상에 감김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1안내풀리(7)가 설치되고 측부상에는 제2안내풀리(8)가 설치되어 와이어의 방향전환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소조명은 지상에 구비된 유선버튼이나 무선 리모콘등을 사용하여 정역모터(5)를 구동시키고, 이 정역모터(5)의 동력을 전달받은 드럼(6)이 와이어(2)를 풀어줌으로서 승강체(4)가 지상으로 하강되어 전구(3)의 교환작업이나 내부 청소 및 수리작업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조명은, 와이어정렬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하강된 승강체(4)가 승강될시 좌우움직이면서 드럼(6)상에 감김되는 와이어(2)는, 도2에서 보는바와 같이 드럼(6)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초기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감김되다가 이후 밀집되게 감김되며, 다시 역으로 와이어(2)는 드럼의 타측에서 일측을 향해 감김되는데 이때에도 초기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감김되다가 밀집되게 감김됨으로서 와이어(2)가 서로 엉키어 감기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드럼(6)의 일정부위에 편중 감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와같이 드럼(6)상에 감기된 와이어(2)는 후에 승강체(4)를 하강시키고자 할 시 풀리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드럼과 제2안내풀리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드럼상에 감김될 시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여 드럼상에 정렬된 상태로 감김될 수 있도록 한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정렬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이는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도4a 내지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부 2 ; 와이어
3 ; 전구 4 ; 승강체
5 ; 정역모터 6 ; 드럼
7 ; 제1안내풀리 8 ; 제2안내풀리
10 ; 안내회전체 11 ; 방지턱
12 ; 경사면 20 ; 지지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드럼과 제2안내풀리의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드럼상에 좌우움직이면서 감김될 시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회전체를 마련하되, 상기 안내회전체는 좌우측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지턱과, 상기 방지턱 사이에 위치하고 와이어가 편중되지 않도록 중간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은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회전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축상결합되고, 안내회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정렬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이는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4a 내지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고안의 고소조명 승하강장치도, 천정등에 내부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본체부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 하부로는 상단이 와이어에 연결되고 하부로는 전구가 구비된 승강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내에는 구동원인 정역모터와 이정역모터와 축상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와이어가 감김되어지는 드럼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체에 연결된 와이어가 본체부 중앙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룸과 동시에 설치공간의 측부상에 고정된 드럼상에 감김되도록 중앙에는 제1안내풀리가 설치되고 측부상에는 제2안내풀리가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조명 승하강장치는, 와이어가 드럼상에 감김될 시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여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3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6)과 제2안내풀리(8)의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2)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회전체(10)와, 상기 안내회전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상기 안내회전체(10)는 와이어(2)가 드럼(6)상에 좌우움직이면서 감김될 시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중간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은 경사면(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경사면(12)의 좌우측은 와이어(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지턱(11)이 형성된 것이며, 이는 와이어(2)의 이송력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안내회전체(1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안내회전체(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안내회전체(10)에 축상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정렬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강된 승강체(4)가 승강될 시 좌우움직이면서 드럼(6)상에 감김되는 와이어(2)는 도3에 보는바와 같이 지지대(20)에 축상 결합되어 있는 안내회전체(10)의 원활할 안내를 받음으로서, 와이어(2)는 드럼(6)의 좌우측으로 정렬되게 감김된다.
즉, 와이어(2)가 드럼(6)의 일측인 B부분에 감김될 시에는, 먼저 와이어(2)는 안내회전체(10)의 경사면(12) 부위 중 중간보다 낮은 가장자리의 경사면(12) 부위인 B'로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드럼(6)의 B부분에 감김되며, 이후 안내회전체(10)의 경사면(12)을 따라 와이어(2)는 소정의 위치(와이어가 감김되어질 드럼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먼저 안내되어진 후 드럼(6)에 감김됨으로서 편중됨이 없이 정렬된 상태로 감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드럼과 제2안내풀리사이에 설치되어, 드럼상에 와이어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와이어 정렬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와이어가 드럼에 감김될 시 일정부위에 편중됨이 없이 정렬되게 감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나아가 이와같이 정렬되게 감긴 와이어는 드럼이 풀림동작을 행할시에 오동작에 대한 예방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천정등에 내부에 설치공간을 가지는 본체부(1)가 고정되고, 상기 본체부(1)하부로는 상단이 와이어(2)에 연결되고 하부로는 전구(3)가 구비된 승강체(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의 설치공간내에는 구동원인 정역모터(5)와 이 정역모터(5)와 축상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와이어(2)가 감김되어지는 드럼(6)이 설치되는 한편 승강체(4)에 연결된 와이어(2)가 본체부(1) 중앙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룸과 동시에 설치공간의 측부상에 고정된 드럼(6)상에 감김되도록 중앙에는 제1안내풀리(7)가 설치되고 측부상에는 제2안내풀리(8)가 설치된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6)과 제2안내풀리(8)의 사이에 설치되고, 와이어(2)가 드럼(6)상에 좌우움직이면서 감김될 시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와이어(2)를 원활하게 안내하는 안내회전체(10)를 마련하되, 상기 안내회전체(10)는 좌우측에 와이어(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방지턱(11)과, 상기 방지턱(11) 사이에 위치하고 와이어(2)가 편중되지 않도록 중간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은 경사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회전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축상결합되고, 안내회전체(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2002-0039316U 2002-12-31 2002-12-31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0309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316U KR200309703Y1 (ko) 2002-12-31 2002-12-31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316U KR200309703Y1 (ko) 2002-12-31 2002-12-31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313A Division KR20040062378A (ko) 2003-06-10 2003-06-10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703Y1 true KR200309703Y1 (ko) 2003-04-23

Family

ID=4940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316U KR200309703Y1 (ko) 2002-12-31 2002-12-31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JP2004518245A (ja) 昇降機能を持つ高所照明灯設備
KR200326792Y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0309703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100679998B1 (ko)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40062378A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100602613B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20100084765A (ko) 승강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KR100537289B1 (ko) 고소 조명 승하강장치에서의 승하강체 자동 승하강 방법
KR200227951Y1 (ko) 자동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
KR200309705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승강체 회전방지구조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07996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 캐리어 안전 고정장치
KR100283680B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제어시스템
KR200364533Y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1503584B1 (ko) 일정구간만 조명을 켜서 승하강할 수 있는 조명 승강장치
KR200309700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승강체 회전방지장치
KR200341932Y1 (ko) 고소 조명등의 접속단자
KR200309704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동모터 정지장치
KR200364114Y1 (ko)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0516416B1 (ko) 행거용 조명기
KR200309702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승강체 회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