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406Y1 - 차고조정식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차고조정식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406Y1
KR200309406Y1 KR2019980025808U KR19980025808U KR200309406Y1 KR 200309406 Y1 KR200309406 Y1 KR 200309406Y1 KR 2019980025808 U KR2019980025808 U KR 2019980025808U KR 19980025808 U KR19980025808 U KR 19980025808U KR 200309406 Y1 KR200309406 Y1 KR 200309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lower spring
outer cylinder
heigh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749U (ko
Inventor
금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25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40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쇽 업소버의 하부 스프링시트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차고가 임의로 조정되어지는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쇽 업소버(1)의 외통(2)에 단계적으로 높이가 변하는 홈부(7)가 상부에 형성되어진 시트 브라켓(5)을 부착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기 홈부(7)와 일치되는 다수개의 돌출턱(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3)는 쇽 업소버(1)의 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은 쇽업소버 외통(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길이가 다른 하부 스프링시트의 돌출턱(6)을 쇽 업소버(1)의 외통(2)에 결합된 시트 브라켓(5)의 홈부(7)에 적절히 결합함에 따라 스프링(4)장착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체의 높이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The height control type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쇽 업소버의 하부 스프링시트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차고가 임의로 조정되어지는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중에는 타이어를 통해 노면진동이 차체에 유입되는데, 타이어가 연결된 샤시부와 바디부 사이에는 스프링과 쇽 업소버가 구비되어져서 노면진동이 바디부에 되도록 적게 전달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과거에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이 서로 다른 부위에 별도로 설치되었었지만, 최근 많이 사용되는 독립현가방식에서는 쇽 업소버와 스프링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려는 경향이 크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쇽 업소버의 외통에 하부 스프링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여기서 보면,
쇽 업소버(1)의 외통(2) 하부에 스프링(4)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스프링시트(3)가 결합되어져 있는데,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3)는 그 내주면에서 상기 외통(2)과 용접 결합부(20)를 형성하면서 단단히 결합되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접결합은 강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결합위치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불편한 점이 많다.
가령, 차체에 짐을 많이 적재할 경우 스프링(4)이 크게 압축되므로 차고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 경우 만일 스프링(4)의 탄성계수를 변화시킬 수 있거나 스프링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면 차고를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겠으나, 위에서 언급한 종래 구조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구비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차고가 크게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고의 변화는 야간주행시 조사각도를 높여주게 되므로 맞은편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 피해를 주게 되며, 주행도중 부력을 많이 받는 주행자세가 되므로 조종안정성도 저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차고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지면 부풀어오르게 되는 공기 스프링등이 구비된 차고조정장치가 사용된 바 있으나, 이러한 차고조정장치들은 이들은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구비하여야 하는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널리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쇽 업소버의 하부 스프링시트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도 차고 조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쇽 업소버의 외통에 단계적으로 높이가 변하는 홈부가 상부에 형성되어진 시트 브라켓을 부착하고, 하부 스프링시트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기 홈부와 일치되는 다수개의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는 쇽 업소버의 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은 쇽업소버 외통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길이가 다른 하부 스프링시트의 돌출턱을 쇽 업소버의 외통에 결합된 시트 브라켓의 홈부에 적절히 결합함에 따라 스프링 장착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체의 높이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원 고안은 기구적인 결합만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제조경비도 저렴하도록 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원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쇽 업소버의 외통에 하부 스프링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쇽 업소버의 외통에 하부 스프링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쇽 업소버의 외통과 하부 스프링 시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중간모드로 차고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쇽 업소버의 외통과 하부 스프링 시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로우(low)모드로 차고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쇽 업소버의 외통과 하부 스프링 시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하이(high)모드로 차고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하부스프링시트가 쇽 업소버 외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6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쇽 업소버 2 : 외통
3 : 하부 스프링시트 4 : 스프링
5 : 시트 브라켓 6 : 돌출턱
7, 7' : 홈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쇽 업소버의 외통에 하부 스프링 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쇽 업소버의 외통과 하부 스프링 시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중간모드로 차고가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면, 그 외통(2) 하부에 스프링(4)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스프링시트(3)가 결합되어져 있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1)의 외통(2) 하부에 단계적으로 높이가 변하는 다수개의 홈부(7)가 상부에 형성되어진 시트 브라켓(5)이 부착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기 홈부(7)와 일치하는 형상으로된 다수개의 돌출턱(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3)가 쇽 업소버(1)의 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정될수 있도록 그 내경은 쇽업소버(1) 외통(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돌출턱(6) 및 홈부(7)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지는데, 적어도 2조이상으로 구성된다.
즉, 차고조정을 2단계로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돌출턱(6) 및 홈부(7)가 높이가 다른 2개가 1조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적어도 2조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지만, 차고조정을 하이(high), 미디움(medium), 로우(low)모드의 3단계로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턱(6) 및 홈부(7)가 높이가 다른 3개가 1조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홈부(7) 및 돌출턱(6)들은 모두 등피치간격으로 구성되어져있으므로, 한 피치씩 옮겨가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차고가 중간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하이(high)로 변경하려고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프링시트(3)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즉, 작업자는 상부 스프링시트(미도시함)을 먼저 해체하여 하부 스프링 시트(3)로부터 스프링(4)을 분리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돌출턱(6)중 가장 긴 것이 시트 브라켓(5)의 홈부(7)중 가장 짧은 것과 일치되어지도록 하부 스프링시트(3)를 들어서 옮겨끼운다음, 다시 스프링(4)과 상부 스프링시트를 전과 같이 결합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하부 스프링시트(3)의 결합위치가 전보다 높아져서 차고가 높아지게 되므로, 무거운 짐을 실어 낮아진 차고를 어느 정도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5)의 홈부(7)(7')와 이에 대응되는 돌출턱(6)(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되고 각각 동일한 곡률반경과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스프링시트(3)를 브라켓(5)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일 때마다 상기 홈부(7)(7')과 돌출턱(6)(6')간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스프링시트(3)의 좌, 우에 각각 형성된 돌출턱(6)(6')는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 반면에, 브라켓(5)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홈부(7)(7')는 동일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턱(6)(6')과 홈부(7)(7')간의 결합을 좌, 우 방향으로 미세 조정한 경우에 서로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좌측이 로우모드면 우측도 로우모드, 좌측이 하이모드면 우측도 하이모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스프링시트(3) 중앙에 형성된 구멍은 외통(2)의 직경보다 충분히 커서, 브라켓(5)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위치조정하더라도 간섭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홈부(7)(7')와 돌출턱(6)(6')에서의 간격이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아주 미세한 크기이므로 브라켓(5)과 하부스프링시트(3)간의 결합위치가 조정되더라도 스프링(4)과 하부스프링시트(3)간의 결합구조에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차고가 중간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로우(low)모드로 변경하려고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스프링시트(3)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즉, 작업자는 상부 스프링시트(미도시함)을 먼저 해체하여 하부스프링시트(3)로부터 스프링(4)을 분리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돌출턱(6)중 가장 긴 것이 시트 브라켓(5)의 홈부(7)중 가장 긴 것과 일치되어지도록 하부 스프링시트(3)를 들어서 옮겨끼운다음, 다시 스프링(4)과 상부 스프링시트를 전과 같이 결합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하부 스프링시트(3)의 결합위치가 전보다 낮아져서 차고가 낮아지게 되므로, 평탄한 도로를 고속으로 주행할 시에 안정된 주행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쇽 업소버(1)의 하부 스프링시트(2)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도 차고 조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쇽 업소버(1)의 외통(2)에 단계적으로 높이가 변하는 홈부(7)가 상부에 형성되어진 시트 브라켓(5)을 부착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기 홈부(7)와 일치되는 다수개의 돌출턱(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3)는 쇽 업소버(1)의 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은 쇽업소버 외통(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길이가 다른 하부 스프링시트의 돌출턱(6)을 쇽 업소버(1)의 외통(2)에 결합된 시트 브라켓(5)의 홈부(7)에 적절히 결합함에 따라 스프링(4)장착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체의 높이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원 고안은 기구적인 결합만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며, 제조경비도 저렴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2)

  1. 그 외통(2) 하부에 스프링(4)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스프링시트(3)가 결합되어져 있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1)의 외통(2) 하부에 단계적으로 높이가 변하는 다수개의 홈부(7)가 상부에 형성되어진 시트 브라켓(5)이 부착되고, 하부 스프링시트(3)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기 홈부(7)와 일치하는 형상으로된 다수개의 돌출턱(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 스프링시트(3)가 쇽 업소버(1)의 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은 쇽업소버(1) 외통(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6) 및 홈부(7)는 높이가 단계적으로 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지되 적어도 2조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모두 등피치 간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2019980025808U 1998-12-21 1998-12-21 차고조정식쇽업소버 KR200309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08U KR200309406Y1 (ko) 1998-12-21 1998-12-21 차고조정식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08U KR200309406Y1 (ko) 1998-12-21 1998-12-21 차고조정식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49U KR20000012749U (ko) 2000-07-15
KR200309406Y1 true KR200309406Y1 (ko) 2003-09-19

Family

ID=4933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08U KR200309406Y1 (ko) 1998-12-21 1998-12-21 차고조정식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4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749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793B1 (ko) 차축 클램프 조립체 탑 패드와 에어 스프링 설치 조립체
US7182354B2 (en) Bushing
KR100680389B1 (ko) 휠얼라인먼트 및 차고 조절장치
KR200309406Y1 (ko) 차고조정식쇽업소버
KR100312560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
KR101220341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070066010A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서스펜션
KR100398184B1 (ko) 가변 레버비를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0122032Y1 (ko) 현가장치의 구조
KR100503342B1 (ko) 차량용 캠버 컨트롤 서스펜션
CN221302275U (zh) 一种汽车底盘高度传感器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20070104053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222422B1 (ko) 자동차의 토우변화 방향 조절방법
KR10053508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징 비틀림 방지 구조
KR100513741B1 (ko) 전방 현가장치의 하측 스프링 시트 구조
KR10026019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31003Y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설치 구조
KR10042733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20030024378A (ko) 듀얼 어퍼아암을 갖는 후륜 멀티 서스펜션
KR0140766Y1 (ko) 유압 부싱을 이용한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326661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
KR10132871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100023347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