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867Y1 -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 Google Patents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867Y1
KR200308867Y1 KR20-2003-0000138U KR20030000138U KR200308867Y1 KR 200308867 Y1 KR200308867 Y1 KR 200308867Y1 KR 20030000138 U KR20030000138 U KR 20030000138U KR 200308867 Y1 KR200308867 Y1 KR 2003088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ipe
heat exchanger
sealing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주
최완식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0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8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8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8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튜브(2)와 연통되는 한편 외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액관(4) 혹은 가스관(5)을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관(4) 혹은 가스관(5)의 수나사부(5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벽면에 암나사부(6c)를 갖으며 중앙에 개구부(6d)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6d)를 따라 경사부(6b)가 형성된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과; 상기 캡(6)의 개구부(6d)를 차폐하도록 스커트 형상을 갖는 한편 상기 캡(6)과 함께 상기 액관(4) 혹은 가스관(5)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밀봉부재(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은 에어컨에서 와 같이 냉각시스템을 완성을 위해 열교환기에 냉매관을 배관 할 때,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고 있는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을 그대로 적용하여 냉매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 냉매 배관시 불필요한 부품의 낭비를 방지함과 더불어 종래 별도로 플레어너트를 제공하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Sealing Structure Nitrogen Gas Injection of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on System}
본 고안은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의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는 기존 밀봉캡의 구조를 통상의 플레어너트 타입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시일링 패드의 형상을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 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에어컨의 냉각 시스템을 완성시켜 에어컨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열교환기에 냉매관을 배관 할 때,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고 있는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을 그대로 적용하여 냉매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은 부품의 낭비를 방지함과 더불어 종래 별도로 플레어너트를 제공하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는 전자제품으로는 에어컨을 비롯하여 냉장고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컨 및 냉장고는 모두가 냉동사이클이란 냉각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서, 냉동사이클이란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를 통해 증발기에서 기화시킴으로써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것을 말하며,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 중, 특히, 응축기 및 증발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이하에서는 에어컨에 채용되는 냉동사이클에 국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컨은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연속적으로 순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유입하여 이 공기를 증발기 측으로 통과시킴으로써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열을 빼앗겨 차갑게 되고, 이 차가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여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및 열교환기들은 각각 별도로 제조되며, 최종적인 조립공정에서 소정의 냉매관을 통해 압축기 및 열교환기들을 상호 연결한 후, 사이클 내에 냉매를 충전함으로써 하나의 에어컨을 완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에어컨은 공장으로부터 완제품의 출하시 각 요소 사이에 냉매관이 전부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에어컨의 설치 시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며, 완제품의 출하 전 응축기·증발기와 같은 열교환기, 또는 압축기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냉매관을 통해 일정 정도의 압력으로 에어를 주입하여 각 요소의 결함이나 냉매관의 결함 여부를 테스트한다.
그리고, 테스트가 완료되면 제품의 이송 중 온도변화에 대응하도록 냉매관을 통해 질소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채운 상태로 출하하게 되는데, 에어컨의 냉매관을 통해 질소가스를 채운 후에는 각 냉매관의 단부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질소가스를 주입하는 이유는, 냉각시스템 내에서 시스템의 안정화와 더불어 에어컨의 성능저하 방지를 위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냉각시스템 내로 공기가 유입되면 냉매의 응축 및 기화불량이 야기되고, 이로 인해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려 그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응축기나 증발기 등의 열교환기 내에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그 내부가 산화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단품으로 제조되어 에어컨의 설치 시 별도로 연결되는 열교환기의 경우, 에어컨을 최종적으로 조립 설치하기 전에 열교환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열교환기 내부의 부식을 방지함과 더불어 리크(Leak)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열교환기 내부에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출하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품으로 제조된 열교환기에서 질소가스를 주입한 후 냉매관 단부를 밀봉하는 데 있어서, 각 냉매관의 단부 측을 플라이어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1차 집어준 후 단부를 마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밀봉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보통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컨의 냉매관 밀봉방법은 순전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신뢰성이 좌우되는 것으로, 미숙한 작업자일 경우 밀봉작업 도중 질소가스가 많이 누출됨은 자명하고 아무리 숙련자라 해도 어느 정도의 질소가스 누출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으며, 밀봉작업이 여러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내부의 질소가스 압력에 따라 마개가 이탈될 우려도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 상기와 같은 질소가스 주입 후 밀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도 보다 완전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한 방식으로 밀봉캡과 밀봉부재인 고무재로 이루어진 시일링 패드를 이용한 방식이 제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밀봉캡과 시일링 패드를 이용한 밀봉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통상적인 열교환기(11)(여기서는 증발기를 예로 하고 있음)는 상호 지그재그 식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로 냉매가 순차적으로 흐르는 다수열의 튜브(12)와, 튜브(12)의 진행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튜브(12)들의 외면에서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기 위해 마련된 다수의 방열핀(1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1)의 일측에는 복수의 냉매관(14,15)이 각각 노출되어 있는데, 하나의 냉매관(이하, "액관(14)"이라 함)은 도시 않은 응축기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냉매관(이하, "가스관(15)"이라 함)은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액관(14) 및 가스관(15) 모두는 튜브(12)와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열교환기(11)의 출하 시 상기 액관(14)이나 가스관(15)을 통해 질소(N2)가스가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질소가스가 충전을 위해 액관(14) 및 가스관(15)의 단부는 각각 밀봉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11)는 별도로 제작되어 기타 구성요소들과 관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냉각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 바, 그 튜브(12)내에는 공기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가스가 충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관(14) 혹은 가스관(15)의 선단에는 튜브(12)의 내부를 공기로부터 밀폐하기 위한 황동 재질의 밀봉캡(16)이 각각 결합된다.
이 밀봉캡(16)은 열교환기(11)의 액관(14) 또는 가스관(15)의 외주에 나사 결합되며, 액관(14) 또는 가스관(15)과 통하는 질소가스 주입구멍(17b)을 갖는 몸체(17) 및 이 몸체(17)의 나사구멍(17a)에 삽입되어 액관(14) 또는 가스관(15)을 외부와 차폐시키는 고무재의 시일링 패드(18)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캡(16)의 몸체(17) 외주에는 액관(14) 또는 가스관(15)에 대한 용이한 결합 및 분해를 위해 복수의 미끄럼 방지돌기(17c)들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일링 패드(18)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자체 탄성에 의해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고무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일링 패드(18)의 일측면에는 상기 몸체(17)의 질소가스 주입구멍(17b)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돌기(19)가 형성되는데, 이 돌기(19)는 시일링 패드(18)의 두께를 증가시켜 미세구멍 형성 시 시일링 패드(18)에 보다 확실한 복원탄성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그 밀폐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으면서 상호 조립되는 밀봉캡(16)과 시일링 패드(1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캡(16)의 질소가스 주입구멍(17b)을 통해 주사기(20)등으로 가스관(15)에 질소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열교환기(11)의 튜브(12)내에 산화방지용 질소가스를 충전하게 된다.
즉, 주사기(20)의 실린더(cylinder:21)내에 질소가스를 흡입하고, 밀봉캡(16) 몸체(17)의 질소가스 주입구멍(17b)에 끼워진 시일링 패드(18)의 돌기(19)에 주사기(20)의 바늘(23)을 꽂아 관통시킨 뒤, 주사기(20)의 피스톤(piston:22)을 누름으로써, 그 실린더(21)내의 질소가스를 가스관(15)을 통해 열교환기(11)의 튜브(12)내로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사기(20) 바늘(23)의 침투시 시일링 패드(18)는 그 자체 탄성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바늘(23)의 삽입구멍을 형성하게 되고, 충전 완료 후 바늘(23)을 빼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바늘(23)의 침투시 형성한 삽입구멍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은 밀봉 구조를 취하게 되면, 종래에 비해 보다 완전하게 질소가스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 밀봉 또한 완벽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컨 설치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질소가스가 충전되어 단품 형태로 제공되는 열교환기(11, 여기서는 증발기를 의미함)를 조립 설치할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1)의 액관(14)과 가스관(15)에 각각 전체적으로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냉매라인 즉, 소정의 냉매관을 연결 배관함으로써 응축기와 압축기 등과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 액관(14)과 가스관(15)을 통해 각각 응축기와 압축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냉매관을 연결 배관하고자 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플레어식 관이음(flared type pipe joint)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관이음 방식은 일측 냉매관(25)의 단부를 원뿔 모양으로 넓혀서 접속하는 결합 방식으로, 플레어너트(24;flare nut)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 상기 밀봉캡(16)으로 밀봉되어 있는 액관(14)과 가스관(15)을 각각 냉매관(25)으로 연결할 때에는 상기 밀봉캡(16)의 구조가 플레어너트(24)와는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액관(14)과 가스관(15)을 밀봉하고 있는 밀봉캡(16) 및 시일링 패드(18)를 제거하여 버리고, 플레어식 관이음에 사용 가능한 별도의 플레어너트(24)를 사용해야만 하고, 이와 같은 조립 작업을 대비하여 종래 단품의 열교환기(11)를 제공할 때, 상기 액관(14)과 가스관(15)의 일측에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타이로 별도의 플레어너트(24)를 묶어서 공급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처럼 밀봉캡(16) 및 시일링 패드(18)를 적용하여 열교환기(11)에 질소를 충전하고 밀봉하는 타입에서는 최종적으로 열교환기(11)를 조립하여 에어컨의 냉각시스템을 완성하고자 할 때, 상기 황동 재질의 밀봉캡(16)이 불필요한 부품으로 남게되어 버려지게 되고, 별도의 플레어너트(24)를 상기 밀봉캡(16) 자리에 교체하여 냉매관(25) 설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부품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품의 열교환기(11)를 제공할 때에도 냉매 배관 작업을 고려하여 별도의 플레어너트(24)를 공급해야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로 플레어너트(24)를 상기 액관(14)이나 가스관(15) 일측에 묶어서 제공해야만 되고, 이로 인한 작업 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는 상기 밀봉캡의 구조를 통상의 플레어너트 타입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시일링 패드의 형상을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 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에어컨의 냉각 시스템을 완성시켜 에어컨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열교환기에 냉매관을 배관 할 때,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고 있는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을 그대로 적용하여 냉매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은 부품의 낭비를 방지함과 더불어 종래 별도로 케이블 타이로 묶어서 플레어너트를 제공하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밀봉캡 및 시일링 패드가 구비된 열교환기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2는 도 1에 확대 도시한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열교환기에서 질소가스 주입방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종래 일반적인 플레어식 관이음 방식에 따른 플레어너트로 가스관과 냉매관을 연결 배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가스관 단부에 밀봉부재 및 캡이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밀봉부재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관의 단부에 밀봉부재 및 캡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열교환기 2 : 튜브
3 : 방열핀 4 : 액관
5 : 가스관 6 : 캡
6b : 경사부 6d : 개구부
7 : 밀봉부재 7b : 스커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튜브와 연통되는 한편 외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액관 혹은 가스관을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관 혹은 가스관의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벽면에 암나사부를 갖으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된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과; 상기 캡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스커트 형상을 갖는 한편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액관 혹은 가스관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은 내벽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기존 플레어너트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캡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한편 질소가스 충전을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의 경사부 내측에 배치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의 본체부 및 상기 스커트부는 탄성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의 가스관 단부에 밀봉부재 및 캡이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부분 확대도 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밀봉부재의 확대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스관의 단부에 밀봉부재 및 캡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기술 내용을 채용한 경우 종래 기술에서 병기한 도면부호를 그대로 병기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열교환기(1)는, 통상적인 종래의 열교환기(11)와 마찬가지로, 상호 지그재그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튜브(2)와, 튜브(2)의 진행방향에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방열핀(3)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의 일측에는 튜브(2)와 연통되면서 응축기와 연결되는 액관(4) 및 압축기와 연결되는 가스관(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액관(4) 및 가스관(5)의 단부는 질소가스 주입을 위해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가스관(5)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가스 주입을 위해 밀봉하는 상기 가스관(5)의단부 영역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5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관(5)의 말단에는 수나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관(5)의 단부에는 소위, 플레어너트(Flare Nut) 타입을 갖는 캡(6)이 결합된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캡(6) 자체를 플레어너트 타입이라고 기술하여 기존의 밀봉캡(16)을 변경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종래 에어컨의 냉매순환라인을 구성하기 위해 냉매관(25)을 배관할 때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하던 기존의 플레어너트(24; Flare Nut) 그대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종래에 사용하던 플레어너트(24)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그 명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캡(6)이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캡(6)은 몸체부(6a)와, 몸체부(6a)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경사부(6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부(6a)의 내벽면에는 가스관(5)에 형성된 수나사부(5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6c)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개구부(6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6d)는 질소가스 충전을 위한 통로로 활용된다.
한편, 상기 가스관(5)과 캡(6) 사이에는 캡(6)의 개구부(6d)를 차폐하는 한편 캡(6)과 가스관(5)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밀봉부재(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재(7)는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캡(6)의 개구부(6d) 및 가스관(5) 내의 개구를 차폐하는 한편 질소가스 충전을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본체부(7a)와, 본체부(7a)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캡(6)의 경사부(6b) 내측에 배치되는 스커트부(7b)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밀봉부재(7)의 본체부(7a) 및 스커트부(7b)는 탄성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7)는 예를 들어,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자체 탄성에 의해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7)가 캡(6)과 함께 가스관(5)에 결합된 후,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사기 바늘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밀봉부재(7)의 본체부(7a)를 통해 가스관(5) 내에 질소가스를 충전시킨 다음, 주사기 바늘을 빼면, 실질적으로 본체부(7a)에는 미세한 구멍이 생길 수밖에 없으나, 밀봉부재(7)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한 구멍은 자체 탄성에 의해 소멸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질소가스의 충전 통로로 이용되는 한편, 캡(6)과 함께 가스관(5)에 결합되는 밀봉부재(7)의 형상을 종래 플레어너트(24) 혹은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경하여 마련함으로써, 밀봉부재(7)가 캡(6)과 함께 일체로 가스관(5)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의 도 6에서 보면, 밀봉부재(7)의 본체부(7a)가 비교적 두껍고 스커트부(7b)는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7a)가 비교적 두꺼워 주사기 바늘을 꽂아서 질소가스를 충전 한 후 주사기 바늘을 뽑았을 때 충분히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7b)는 종래 기술에서 전술한 냉매관(25) 배관 시 냉매관(25)의 일측을 확관하여 플레어식 관이음을 할 때 냉매관(25)의 확관된 경사부 형상에 동일하게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을 사용하여 밀봉함으로써, 냉매관(25) 배관 시 종래와 같이 밀봉캡(16)을 버리고 별도의 플레어너트(24)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을 그대로 플레어식 관이음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 밀봉캡(16)의 구조를 종래 사용하던 플레어너트(24)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 구조로 변경함과 동시에 이 캡(6) 구조에 대응하는 밀봉부재(7)를 마련함으로써, 단품으로 제공되는 열교환기(1)를 에어컨과 같이 냉각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해 압축기에 연결되는 냉매관(25)에 배관할 때, 질소가스 주입을 위해 상기 캡(6)과 밀봉부재(7)로 밀봉된 구조에서 상기 밀봉부재(7)만을 제거하여 버리고, 상기 캡(6) 자체를 플레어너트(24)처럼 그대로 사용하여 플레어식 관이음 방식으로 냉매관(25)을 연결 배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에어컨의 최종 조립을 위해 냉매관(25)을 배관할 때, 불필요한 밀봉캡(16)을 제거해 버림으로써, 부품을 낭비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별도로 케이블타이에 플레어너트(24)를 묶어서 제공하던 방식을 개선하여 플레어너트(24) 혹은 플레어너트(24)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상기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6)을 밀봉 부위에 사용한 후 냉매관(25) 배관 작업 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종래 필요로 하던 케이블타이로 플레어너트(24)를 묶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는 기존 밀봉캡의 구조를 통상의 플레어너트 타입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시일링 패드의 형상을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 형상에 대응할 수 있게 변경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에어컨의 냉각 시스템을 완성시켜 에어컨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열교환기에 냉매관을 배관 할 때, 액관과 가스관을 밀봉하고 있는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을 그대로 적용하여 냉매 배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은 부품의 낭비를 방지함과 더불어 종래 별도로 플레어너트를 제공하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튜브와 연통되는 한편 외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액관 혹은 가스관을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액관 혹은 가스관의 수나사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벽면에 암나사부를 갖으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따라 경사부가 형성된 플레어너트 타입의 캡과;
    상기 캡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스커트 형상을 갖는 한편 상기 캡과 함께 상기 액관 혹은 가스관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벽면에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배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기존 플레어너트를 그대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캡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한편 질소가스 충전을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캡의 경사부 내측에 배치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KR20-2003-0000138U 2003-01-03 2003-01-03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KR2003088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8U KR200308867Y1 (ko) 2003-01-03 2003-01-03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8U KR200308867Y1 (ko) 2003-01-03 2003-01-03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867Y1 true KR200308867Y1 (ko) 2003-03-28

Family

ID=494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38U KR200308867Y1 (ko) 2003-01-03 2003-01-03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8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21B1 (ko) * 2013-11-18 2015-05-19 박재홍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07070B1 (ko) * 2014-07-03 2016-03-29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용 플레어 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21B1 (ko) * 2013-11-18 2015-05-19 박재홍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07070B1 (ko) * 2014-07-03 2016-03-29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이엔씨 에어컨 냉매 배관의 누설 검사용 플레어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832B2 (ja) 冷凍サイクル用配管継手
KR101375718B1 (ko) 냉매관의 연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983157B1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KR20080080179A (ko) 바이트형 관 접속 구조, 관 조인트, 밸브, 폐쇄 밸브, 냉동사이클 장치, 급탕 장치, 바이트형 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CN104956173A (zh) 配备有蓄冷部的换热器及其制造方法
KR200308867Y1 (ko) 냉각시스템용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을 위한 시일링 구조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1178900B1 (ko) 에바코어 압력테스트용 파이프 연결밸브
CN106915220A (zh) 一种汽车空调用接头
JP2008256091A (ja) 配管継手
US7823395B2 (en) Universal coupling device
KR200309859Y1 (ko) 열교환기의 질소 충전 확인용 캡 구조
CN201715140U (zh) 一种气体连接管的连接结构
JP2009074619A (ja) 配管継手
KR100346634B1 (ko)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US20080283227A1 (en) Oil cooler fitting assembly
CN210034699U (zh) 密封装置及具有其的制冷系统管路
KR100216472B1 (ko) 에어컨의 열교환기용 밀봉캡
JP2009197919A (ja) 配管継手の製造方法
KR102062153B1 (ko)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KR101409165B1 (ko) 오일쿨러
CN206329830U (zh) 密封装置
JP2008286371A (ja) 流路継手
KR101065743B1 (ko) 에어컨용 알루미늄 피복관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