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330Y1 - 이마 받침 장치 - Google Patents

이마 받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330Y1
KR200308330Y1 KR20-2003-0000132U KR20030000132U KR200308330Y1 KR 200308330 Y1 KR200308330 Y1 KR 200308330Y1 KR 20030000132 U KR20030000132 U KR 20030000132U KR 200308330 Y1 KR200308330 Y1 KR 200308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vertical
arm
fore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수
Original Assignee
김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수 filed Critical 김주수
Priority to KR20-2003-0000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이마 전방에 받침 패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 또는 작업을 하는 자의 이마를 받쳐 주도록 한 이마 받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이마의 전방에서 이마를 받쳐 주는 받침 패드;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1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수직 이동구에 상기 받침 패드의 일측이 고정된 제 1아암; 및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2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수직 이동구가 상기 받침 패드의 타측을 후면에서 지지해 주는 제 2아암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위치 조정한 받침 패드에 이마를 대고 장시간 공부를 하게 되면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 등에 피로가 쌓이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이마 받침 장치{FOREHEAD SUPPORT DEVICE}
본 고안은 이마 받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 또는 작업을 하는 자의 이마를 받쳐 주도록 한 이마 받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기 편한 것, 앉아서 편한 것, 쓰기 편한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갖추어야만 좋은 설계가 된 의자로서 만족되는 것이나 그 기능성을 객관적으로 표시하는 적당한 방법이 없어 흔히, 시각과 촉각을 중심으로 하는 감각적인 느낌으로서 판단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그 외양의 화려함에 현혹되어 본래 의자의 기능성을 소홀히 해왔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실생활 속에 인체공학이 응용되어 의자에도 그 유용성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체공학은 인간이 만드는 기계나 도구는 인간이 쓰기 편하도록 설계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사상에서 출발된 학문인 것이다. 구미대륙에서는 의지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경험만으로도 좋은 의자를 만들었으나, 생활습관이 다르고 그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인체공학적 방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기능적으로 좋은 의자를 만들 수가 없었다.
요즈음 들어서 인체공학을 응용하여 의자의 기능성을 정량적(定量的)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인체공학을 응용한 의자가 공급되고 있다. 이것은 의자에 걸터앉는 기분을 지배하는 인자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서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의 골격구조에 맞추어 역학적인 인체 모델로 대치하여 의자와 신체와의 관계를 생각한다. 둘째, 인체를 계측하여 필요한 치수를 뽑아낸다. 세째, 자세와 피로감의 관계를 근육의 활동면에서 조사해 피로가 적은 조건을 찾아낸다. 네째, 동작분석의 자료에 따라 의자의 모양을 생각하는 등인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무시한 의자는 외양이 아무리 호화로워도 잠시만 앉아 있으면 피로해 지게 된다. 또한, 신체에 꼭 맞는 커브면과 연한 쿠션을 가진 것이 좋다고 하는 종래의 선입관 근래에 들어서는 정정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의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하고 있지만, 아무리 좋은 의자를 만들어 냈다고 하더라도 그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피로가 쌓이게 됨은 물론이다.
즉, 인체공학적 방법에 의하든 그러하지 않든지간에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학습자)는 의자의 등받이에서 등을 떨어뜨리고 고개를 어느 정도 숙이고 공부하기 때문에 목과 목부위의 어깨가 경직되어 뻐근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체의 목부분 경추골이 갖고 있는 구조와 상관없이 단순히 머리를 받쳐주기 위해 의자의 등받이 상단부에 단순히 형식적인 모양을 가진 받침대를 설치시킨 경우가 있는데, 이것 역시 효과가 그리 없어서 대분분의 사용자들에는 불필요한 것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이마 전방에 받침 패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의자에 장시간 앉아서 공부 또는 작업을 하는 자의 이마를 받쳐 주도록 한 이마 받침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마 받침 장치를 의자에 설치시킨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마 받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 패드 5 : 가로바
10, 12, 14, 16, 18, 20 : 링크 22 : 나사
24, 38 : 링 26, 40, 52, 62 : 조임부재
28, 30, 46, 56, 60 : 구멍 32 : 가이드대
34 : 세로 구멍 36, 42 : 이동부재
44, 54 : 접합판 48, 58 : 지지판
64 : 수평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는, 사용자 이마의 전방에서 이마를 받쳐 주는 받침 패드;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1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수직 이동구에 상기 받침 패드의 일측이 고정된 제 1아암; 및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2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수직 이동구가 상기 받침 패드의 타측을 후면에서 지지해 주는 제 2아암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마 받침 장치를 의자에 설치시킨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마 받침 장치는, 사용자 이마의 전방에서 이마를 받쳐 주는 받침 패드(1); 다수의 링크(10, 12, 14)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14)에 제 1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수직 이동구에 상기 받침 패드(1)의 일측이 고정된 제 1아암; 및 다수의 링크(16, 18, 20)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20)에 제 2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수직 이동구가 상기 받침 패드(1)의 타측을 후면에서 지지해 주는 제 2아암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그 받침 패드(1)는 내부를 관통하는 가로바(5)의 중앙부위를 감싼다. 그리고, 그 가로바(5)의 중앙부는 받침 패드(10)가 사용자의 이마를 보다 잘 받쳐 줄 수 있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형태를 취하고, 그 가로바(5)의 중앙부위를 감싸는 받침 패드(1)도 역시 그러한 형태를 취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그 받침 패드(10)와 가로바(5)의 형태를 다른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 1아암 및 제 2아암에 갖추어진 회동구는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둘중에서 제 1아암의 회동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제 1아암의 회동구는 각 링크의 결합부위(예컨대, 10과 12, 12와 14)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링크(12)의 내삽부위에 링크(14)의 끼움부측이 내삽될 때 그 링크(12)의 내삽부위의 구멍(28)에 그 링크(14)의 끼움부측의 구멍(30)이 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그 링크(12)의 구멍(28)과 링크(14)의 구멍(30)이 맞춰지게 되면 나사(22)가 일방향으로부터 그 맞춰진 구멍(28, 30)을 관통하고 타방향에서는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링(24) 및 조임부재(26)가 그 나사(22)에 끼워진 후 조여진다. 그조임부재(26)의 회전에 따른 나사(22)의 조여진 회전수에 의해 링크(12, 14)간의 회동이 쉽거나 어렵게 된다. 그 조임부재(26)는 그 나사(22)가 끼워지는 나사홈(도시 생략)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돕는 손잡이를 갖춘다.
그리고, 제 1아암의 종단 링크(14)에 설치된 제 1수직 이동구는, 그 종단 링크(14)의 끝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수직의 세로 구멍(34)이 형성된 가이드대(32); 일측이 그 세로 구멍(34)을 관통하여 빠져 나오고 타측은 상기 가로바(5)의 일측과 고정결합된 이동부재(36); 및 그 세로 구멍(34)을 관통하여 빠져 나온 이동부재(36)의 일측에 끼워지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링(38) 및 조임부재(40)로 구성된다. 그 조임부재(40)는 이동부재(36)의 일측이 끼워지는 나사홈(도시 생략)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돕는 손잡이를 갖춘다.
그리고, 제 2아암의 종단 링크(20)에 설치된 제 2수직 이동구는 그 제 1수직 이동구와 거의 유사한 구성이다. 다만 차이나는 점은 그 제 1수직 이동구의 이동부재(36)의 타측은 가로바(5)의 일측과 고정되었지만, 제 2수직 이동구의 이동부재(42)의 타측은 그 가로바(5)의 타측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가로바(5)의 타측 후면에 접하여 지지해 줌으로써 그 가로바(5)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해 준다는 것이 차이난다.
그리고, 제 1아암의 링크(10)의 하단에는 구멍(46)이 형성된 접합판(44)이 고정설치되고, 그 접합판(44)에는 착탈구가 결합되어 의자와 제 1아암간의 착탈을 가능하게 해 준다. 즉, 그 접합판(44)에 결합되는 착탈구는 그 구멍(46)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구멍(50)이 형성된 지지판(48), 및 의자의 등받이의 왼쪽 측부를 중간에 두고 상호 대향된 접합판(44)과 지지판(48)의 구멍(46, 50)을 관통하여 조여주는 스크류와 같은 조임부재(52)로 구성된다. 그 조임부재(52)의 머리부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48)은 고무 패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아암의 링크(16)의 하단에도 역시 구멍(56)이 형성된 접합판(54)이 고정설치되고, 그 접합판(54)에는 착탈구가 결합되어 의자와 제 2아암간의 착탈을 가능하게 해 준다. 즉, 그 접합판(54)에 결합되는 착탈구는 그 구멍(56)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구멍(60)이 형성된 지지판(58), 및 의자의 등받이의 오른쪽 측부를 중간에 두고 상호 대향된 접합판(54)과 지지판(58)의 구멍(56, 60)을 관통하여 조여주는 스크류와 같은 조임부재(62)로 구성된다. 그 조임부재(62)의 머리부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58)은 고무 패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1아암 및 제 2아암의 각 링크(10, 12, 14, 16, 18, 20)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만, 그 제 1아암 및 제 2아암의 각 링크(10, 12, 14, 16, 18, 20)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링크(10, 12, 14, 16, 18, 20)의 중단부위를 벨로스(bellows) 형태로 하여 길이조절을 한다. 다른 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아암에서는 링크(10)만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제 2아암에서는 링크(16)만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링크(10, 16)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10c, 16c)이 천공된 외부 링크(10a, 16a) 및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공(10d, 16d)이 천공된 내부 링크(10b, 16b)로 세분하고 그 외부 링크(10a, 16a)가 내부 링크(10b, 16b)의 외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하며 적정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상호 일치된 걸림공에 걸림 바(10e, 16e)를 끼워 현 위치를 고정시키게 하여 길이조절을 한다.
물론, 상기 예에서와 같이 링크(10, 16)만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겠지만, 모든 링크(10, 12, 14, 16, 18, 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링크(10)와 링크(16)에는 수평바(64)가 끼워져서 제 1아암과 제 2아암간의 고정성을 부여한다. 물론, 그 수평바(64)는 착탈가능하고 길이조절도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마 받침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제 1아암 및 제 2아암을 의자의 등받이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제 1아암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지지판(48)의 구멍(50)에 조임부재(52)를 끼운 후에 그 지지판(48)을 의자의 등받이 일측 하부에 대고, 제 1아암의 링크(10) 하단의 접합판(44)을 그 지지판(48)에 대향되도록 의자의 등받이 일측(왼쪽) 하부에 댄 후에 조임부재(52)를 그 지지판(48)의 구멍(50)과 접합판(44)의 구멍(46)을 관통시키면서 조여준다. 그 조임부재(52)를 이용한 조임에 의해 제 1아암을 의자의 등받이 일측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2아암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지지판(58)의 구멍(60)에 조임부재(62)를 끼운 후에 그 지지판(58)을 의자의 등받이 타측 하부에 대고, 제 2아암의 링크(16) 하단의 접합판(54)을 그 지지판(58)에 대향되도록 의자의 등받이 타측(오른쪽) 하부에 댄 후에 조임부재(62)를 그 지지판(58)의 구멍(60)과 접합판(54)의 구멍(56)을 관통시키면서 조여준다. 그 조임부재(62)를 이용한 조임에 의해 제 2아암을 의자의 등받이 타측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및 제 2아암을 의자의 등받이 후면에 각각 부착시킨 후에는 링크간에 설치된 회동구 및 수직 이동구를 조작하여 받침 패드(1)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먼저, 링크(10)와 링크(12) 사이에 설치된 회동구, 링크(12)와 링크(14) 사이에 설치된 회동구, 링크(16)와 링크(18) 사이에 설치된 회동구, 링크(18)와 링크(20) 사이에 설치된 회동구를 조작하여 받침 패드(1)의 위치를 일차적으로 적당하게 설정한다. 즉, 링크간에 접해 있는 나사(22)를 조이고 있는 조임부재(26)를 적당히 풀어서 링크(12, 14, 18, 20)의 회동이 가능하게 한 후에 어느 정도 적당한 위치를 잡게 되면 그 조임부재(26)를 조여서 링크(12, 14, 18, 20)의 회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 1아암의 종단 링크(14) 끝단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대(32)의 세로 구멍(34)에 끼워져 있는 이동부재(36)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받침 패드(1)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한다. 즉, 그 이동부재(36)를 조이고 있는 조임부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이동부재(36)의 조임을 해제시킨 후에 그 이동부재(36)를 세로 구멍(34)내에서 수직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그 조임부재(4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이동부재(36)의 현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후, 제 2아암의 종단 링크(20) 끝단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대의 세로 구멍에 끼워져 있는 이동부재(42)를 상기 이동부재(36)의 수직이동과 같은 방법으로 수직으로 이동시켜 그 이동부재(42)의 타측이 그 받침 패드(1)를 관통한 가로바(5)의 타측 후면에 접하도록 하여 그 가로바(5)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받침 패드(1)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는 중에 그 받침 패드(1)에 이마를 대고 공부하게 되면 목과 목부위의 어깨가 경직되는 비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받침 패드(1)를 위치시킨 후에 공부를 하다가 그 받침 패드(1)의 위치를 재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링크간에 설치된 회동구를 조작하거나 수직 이동구를 조작하게 되면 새로운 위치로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공부를 마친 후에는 착탈구의 조임부재(52, 62)를 조작하여 그 의자의 등받이 부착된 제 1아암 및 제 2아암을 부착해제시키면 제 1 및 제 2아암을 의자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이마 받침 장치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적용시켜 설명하였는데, 등받이가 작아서 등받이가 아닌 팔걸이에 고정시켜야 될 정도의 의자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즉, 팔걸이에 고정시켜야 될 정도의 의자에 본 고안을 적용시킬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10)의 접합판(44)을 그 링크(10)의 최하 끝단부에 설치(예컨대,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볼 베어링을 사용하여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링크(16)의 접합판(54)을 그 링크(16)의 최하 끝단부에 설치(예컨대,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볼 베어링을 사용하여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 그 링크(10)의 접합판(44)을 한쪽(왼쪽) 팔걸이의 일면에 대고 지지판(48)을 그 한쪽 팔걸이의 타면에 대어 그 접합판(44)과 지지판(48)을 조임부재(52)로 조여준다. 그리고, 반대쪽 링크(16)의 접합판(54)을 다른쪽(오른쪽) 팔걸이의 일면에 대고 지지판(58)을 그 다른쪽 팔걸이의 타면에 대어 그 접합판(54)과 지지판(58)을 조임부재(62)로 조여준다.
그리고, 각 링크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를 볼 베어링으로 구성시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링크(10)와 가이드대(32)의 결합부위 및 링크(20)와 가이드대(42)의 결합부위를 볼 베어링으로 구성시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면 의자의 폭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의 의자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링크(12, 14)간의 결합구조에 대해 볼 베어링으로 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러한 것으로서 상술한 다른 부분에도 볼 베어링 결합구조가 적용됨은 물론이다. 한편으로, 각 링크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를 볼 베어링 구조로 하지 않고, 톱니바퀴 형상의 회동구로 하여 링크가 전후로 회동되게 할 수도 있다. 즉, 톱니바퀴 형상의 회동구로 할 경우 예컨대 링크(12)와 링크(14)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링크(12)의 일측에는 톱니바퀴 형상의 부재를 설치하고 그에 대향되는 링크(14)의 일측에는 그 톱니바퀴 형상의 부재를 감싸면서 톱니바퀴와 치합되는 원형 홈을 형성시키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받침 패드(1)를 가로바(5)의 중앙부위를 감싸도록만 구성시켰는데, 그 가로바(5)의 중앙부위를 감싸면서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아예 가로바(5)와 이동부재(36) 사이를 볼 베어링으로 구성시켜 가로바(5)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가로바(5)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데, 그 가로바(5)가 좌우로 늘어날 수 있게 하여 그 가로바(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도 4에서, 링크(14, 20)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진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물론, 도 1 내지 도 3에서의 링크(14, 20)도 역시 도 4의 링크(14, 20)에서와 같이 유선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치 조정한 받침 패드에 이마를 대고 장시간 공부를 하게 되면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 등에 피로가 쌓이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매우 편하게 공부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구 및 수직 이동구에 의해 받침 패드의 위치 조절이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이마를 받칠 수 있는 받침 패드의 기능을 더욱 살릴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아암의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유용성 및 편리성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의자에도 적절하게 사용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5)

  1. 사용자 이마의 전방에서 이마를 받쳐 주는 받침 패드;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1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수직 이동구에 상기 받침 패드의 일측이 고정된 제 1아암; 및
    다수의 링크 및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회동구를 갖추고, 종단 링크에 제 2수직 이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수직 이동구가 상기 받침 패드의 타측을 후면에서 지지해 주는 제 2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패드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가로바의 중앙부위를 감싸고, 상기 가로바의 일단은 상기 제 1수직 이동구에 고정되고, 상기 가로바의 타단은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 2수직 이동구의 지지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암의 종단 링크에 설치된 제 1수직 이동구는, 상기 종단 링크의 끝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수직의 세로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대; 일측이 그 세로 구멍을 관통하여 빠져 나오고 타측은 상기 가로바의 일측과 고정결합된 이동부재; 및상기 세로 구멍을 관통하여 빠져 나온 이동부재의 일측에 끼워지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아암의 종단 링크에 설치된 제 2수직 이동구는, 상기 종단 링크의 끝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수직의 세로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대; 일측이 그 세로 구멍을 관통하여 빠져 나오고 타측은 상기 가로바의 타측 후면에 접하여 상기 가로바를 지지해 주는 이동부재; 및 상기 세로 구멍을 관통하여 빠져 나온 이동부재의 일측에 끼워지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아암의 회동구는, 상호 결합하는 링크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에 끼워져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나사를 조이는 조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아암의 하단에는 구멍이 형성된 접합판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아암은 그 접합판과 결합하는 착탈구에 의해 의자의 등받이 양 측부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구는, 상기 접합판의 구멍과 동일한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지지판, 및 상기 접합판의 구멍과 상기 지지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조여주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암 및 제 2아암의 각 링크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암의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 1아암의 종단 링크와 제 1수직 이동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도 볼 베어링이 구성되어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아암의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 2아암의 종단 링크와 제 2수직 이동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도 볼 베어링이 구성되어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패드는 상기 가로바의 중앙부위를 감싸면서 회전되고, 상기 가로바는 좌우로의 길이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가로바는 좌우로의 길이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아암의 종단 링크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암의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아암의 링크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설치된 회동구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 받침 장치.
KR20-2003-0000132U 2003-01-03 2003-01-03 이마 받침 장치 KR200308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2U KR200308330Y1 (ko) 2003-01-03 2003-01-03 이마 받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132U KR200308330Y1 (ko) 2003-01-03 2003-01-03 이마 받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330Y1 true KR200308330Y1 (ko) 2003-03-26

Family

ID=4940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32U KR200308330Y1 (ko) 2003-01-03 2003-01-03 이마 받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3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7862A (zh) * 2019-01-03 2019-03-29 刘汉云 一种便携式头部托架
KR102384012B1 (ko) 2021-08-06 2022-04-08 이승우 이마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7862A (zh) * 2019-01-03 2019-03-29 刘汉云 一种便携式头部托架
KR102384012B1 (ko) 2021-08-06 2022-04-08 이승우 이마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US11445827B1 (en) 2021-08-06 2022-09-20 Seungwoo Lee Chair with forehead r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4794A1 (en) Armrest assembly
KR20060027454A (ko) 운동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WO1997026810A1 (fr) Support pour dossier et assise de siege
US7703724B2 (en) Device for reducing repetitive injury with improved multi-axis mounting
US20070289599A1 (en) Anterior support device
JP417646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308330Y1 (ko) 이마 받침 장치
JP2007244703A (ja) 腕や肩の運動装置
KR101044429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US6676581B1 (en) Stretching device for furniture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RU22901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поля земли на организм человека
JP2006271497A (ja) フットレスト付き折畳みチェア
JP2004181179A (ja) 椅子の肘掛け
US20050143235A1 (en) Training device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CN209750414U (zh) 人体工学健康坐具
KR200437560Y1 (ko) 지압 기능을 갖는 의자용 목받침
IL275370A (en) Folding backrest
KR200321840Y1 (ko) 다목적 헬스 의자
KR200270426Y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88620B1 (ko) 학습 및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자세 교정 장치
KR200379986Y1 (ko) 허리운동용 의자
CN215193551U (zh) 一种颈背放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