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26Y1 -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26Y1
KR200270426Y1 KR2020010039227U KR20010039227U KR200270426Y1 KR 200270426 Y1 KR200270426 Y1 KR 200270426Y1 KR 2020010039227 U KR2020010039227 U KR 2020010039227U KR 20010039227 U KR20010039227 U KR 20010039227U KR 200270426 Y1 KR200270426 Y1 KR 200270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tube
contro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영옥
Original Assignee
길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영옥 filed Critical 길영옥
Priority to KR2020010039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팔걸이대(12)가 결합되고 저부에 끼움관(11)이 형성된 지지관(10)과, 지지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삽입공(9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레스트(90)와, 등받이판(20)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너트관(21)에 밀착 설치되고 양측에 통공(41)이 형성된 브라켓(40)과, 이 브라켓(40)의 통공(41)과 일치되는 통공(31) 및 중앙에 환홈(33)이 형성되어 환홈(33)의 내측에 지지관(10)의 저부가 수용된 상태로 볼트(32)에 의해 브라켓(4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과, 상기 지지관(10)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부 내측에 지지관(10)의 끼움관(11)이 결합되어 지지관(10)의 움직임을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결합된 스프링(S)과, 스프링(S)의 저부에 설치되고 스프링(S)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S)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어구(50)와, 제어구(50)의 저부가 체결되는 체결공(61)이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 상,하단에 조절공(62)이 형성된 연결봉(60)과, 중앙에 슬라이드공(71)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조절나사(74)의 볼트관이 삽입되는 장공(73)이 형성되어 슬라이드공(71)의 내측에 연결봉(60)이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환설되며 상기 조절나사(74)의 조절고정에 의해 등받이판(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관(70)과, 조절관(70)이 환설된 상태로 연결봉(60)의 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공(81) 및 일측에 고정공(82)이 형성되어 시트 저부에 설치된 등받이지지대(100)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손잡이(101)의 볼트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80)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판의 한정된 움직임을 극복하여 등받이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로 경직된 상반신의 피로를 용이하게 풀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고안 의자를 이용하여 간단한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Apparatus to control angle of the back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가 설치된 등받이판의 한정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상반신이 움직일 수 있는 폭을 확대함으로서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로 경직된 상반신의 피로를 용이하게 풀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의자는 의자의 등받이가 상반신에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반신이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제작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등받이가 분할 구성된 기능성의자의 등받이 지지에 사용되며 상반신과 등받이가 유연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구조의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출원번호 20-1999-23769,20-1999-23771) 및 그 외에 이와 관련한 내용을 다수 안 출한 바 있다.
이러한 의자등받이용 지지구는 간단한 구조로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분할구성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더욱 안정되게 하고 특히 등받이의 긴밀한 밀착구조를 의자의 안락감을 극대화 시키는 한편, 등받이 지지구에 의해 기능성 의자의 기능을 일층강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유의 효과가 인정되어 현재 업무용 및 학습용의자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는 분할된 의자의 등받이가 상반신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여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업무나 학습을 위해 바른자세로 앉아있을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되나 오히려 의자에 장시간 앉아 용무를 보게되면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통상 의자에서 일어나 간단한 스트레칭 등으로 경직된 신체를 근육을 수시로 이완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법은 반드시 의자에서 일어나 움직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자칫 업무나 학습분위기를 깨뜨릴 우려을 안고 있으며 간단한 휴식과 스트레칭을 위해 현재의 장소를 이탈해야 하는 등 주위의 여건도 고려해보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가 설치된 등받이판의 한정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상반신이 움직일 수 있는 폭을 확대함으로서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로 경직된 상반신의 피로를 용이하게 풀어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팔걸이대가 결합되고 저부에 끼움관이 형성된 지지관과, 지지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지지관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레스트와, 등받이판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너트관에 밀착 설치되고 양측에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통공과 일치되는 통공 및 중앙에 환홈이 형성되어 환홈의 내측에 지지관의 저부가 수용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브라켓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관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부 내측에 지지관의 끼움관이 결합되어 지지관의 움직임을 자유로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스프링과, 스프링의 저부에 설치되고 스프링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어구와, 제어구의 저부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상면에 형성되고 측면 상,하단에 조절공이 형성된 연결봉과, 중앙에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조절나사의 볼트관이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드공의 내측에 연결봉이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환설되며 상기 조절나사의 조절고정에 의해 등받이판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관과, 조절관이 환설된 상태로 연결봉의 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공 및 일측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시트 저부에 설치된 등받이지지대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손잡이의 볼트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이 포함되어 구성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어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조절관에 의해 의자 등받이를 평상시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7a,7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의자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관 11 : 끼움관
12 : 팔걸이대 20 : 등받이판
21 : 너트관 30 : 지지편
31,41 : 통공 32 : 볼트
33 : 환홈 40 : 브라켓
50 : 제어구 51 : 수용홈
52 : 각도제어봉 53 : 결합부
54 : 볼트관 60 : 연결봉
61 : 체결공 62 : 조절공
70 : 조절관 71 : 슬라이드공
72 : 확개부 73 : 장공
74 : 조절나사 80 : 고정편
81 : 지지공 82 : 고정공
90 : 헤드레스트 91 : 삽입공
100 : 지지대 101 : 고정손잡이
본 고안은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팔걸이대(12)가 결합되고 저부에 끼움관(11)이 형성된 지지관(10)과, 지지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삽입공(9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레스트(90)와, 등받이판(20)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너트관(21)에 밀착 설치되고 양측에 통공(41)이 형성된 브라켓(40)과, 이 브라켓(40)의 통공(41)과 일치되는 통공(31) 및 중앙에 환홈(33)이 형성되어 환홈(33)의 내측에 지지관(10)의 저부가 수용된 상태로 볼트(32)에 의해 브라켓(4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과, 상기 지지관(10)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부 내측에 지지관(10)의 끼움관(11)이 결합되어 지지관(10)의 움직임을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결합된 스프링(S)과, 스프링(S)의 저부에 설치되고 스프링(S)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S)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어구(50)와, 제어구(50)의 저부가 체결되는 체결공(61)이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 상,하단에 조절공(62)이 형성된 연결봉(60)과, 중앙에 슬라이드공(71)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조절나사(74)의 볼트관이 삽입되는 장공(73)이 형성되어 슬라이드공(71)의 내측에 연결봉(60)이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환설되며 상기 조절나사(74)의 조절고정에 의해 등받이판(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관(70)과, 조절관(70)이 환설된 상태로 연결봉(60)의 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공(81) 및 일측에 고정공(82)이 형성되어 시트 저부에 설치된 등받이지지대(100)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손잡이(101)의 볼트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80)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판(20)의 유동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여 의자에 장시간 앉아 용무를 보던 사용자가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의자에서 일어나거나 현재 위치를 이탈하지 아니하더라도 의자 등받이에 간단히 기대어 상반신의 피로를 용이하게 풀어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등받이판(20)의 각도조절 수단은 등받이판(20)의 움직임에 대하여 제어구(50)의 각도제어봉(52)이 일정한 회전반경을 갖으며 동작됨에 따르는 것이며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한 원상복귀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의자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및 의자다리의 구조 또한 분할된 등받이가 결합된 등받이판(20) 등의 기본적인 의자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다만 본 고안은 팔걸이대(12)를 시트의 양측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이를 절곡 구성하여 등받이판(2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관(10)에 결합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팔걸이대(12)의 양쪽을 파지하여 상반신을 등받이에 편안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상반신을 움직임을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관(10)은 브라켓(40)과 지지편(30)에 의해 등받이판(20)에 견고히 고정되는 바, 브라켓(40)을 등받이판(20)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너트관(21)에 밀착시킨 다음 지지편(30)의 환홈(33)에 지지관(10)의 저부를 끼워 넣은 후 볼트(32)로 일치된 브라켓(40) 및 지지편(30)의 통공(31,41)을 통해 체결하는 것으로 지지관(10)을 등받이판(20)에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한편, 지지관(10)의 저부에는 지지관(10)의 끼움관(11)이 스프링(S)의 상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등받이판(20) 및 양측 팔걸이대(12)가 결합된 지지관(10)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고 있다.
물론, 이와같이 스프링(S)에 의한 지지는 지지관(10)의 유동폭을 확대할 수 있으나 의자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스프링(S)의 저부에 일단이 스프링(S)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S)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어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구(50)는 내부에 개방된 상면 중앙과 연하는 수용홈(51)이 형성되어 이에 일단에 각도제어봉(52)이 연결된 볼타입 결합부(53)가 수용되며 저부 중앙에 연결봉(60)의 체결공(61)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관(54)이 돌설되어 구성된구조로 각도제어봉(52)의 움직임에 대하여 결합부(53)가 수용홈(5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어구(50)는 내측에 형성된 원형의 수용홈(51)과 일치하는 볼타입 결합부(53)가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53)와 일체로 형성된 각도제어봉(52)의 움직임에 대하여 결합부(53)가 수용홈(51)의 내주연에서 일정한 회전반경을 갖으며 회전되기 때문에 등받이판(20)이 결합된 지지관(10)의 움직임에 대하여 순응하여 이와 동시에 움직이게 되며 등받이에서 상반신을 이격시키게 되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판(20)이 수직의 상태로 자연스럽게 복귀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그에 따른 탄력에 의해 적은 힘으로 상반신의 스트레칭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구(50)의 저부에는 제어구(50)의 저부가 체결되는 체결공(61)이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 상,하단에 조절공(62)이 형성된 연결봉(60)이 결합되어 제어구(50)의 지지는 물론 제어구(50)를 포함한 상부의 구성이 안정되게 지지 될 수 있도록 연결봉(60)의 저부가 시트 저부에 설치된 등받이지지대(100)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손잡이(101)의 볼트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80)의 고정공(82)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수직상으로 구성된 헤드레스트(90),지지관(10),제어구(50),연결봉(60) 등의 구성뿐 아니라 팔걸이대(20) 및 등받이가 결합된 등받이판(20)의 지지를 양호히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결봉(60)의 외주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환설되며 조절나사(74)의 조절고정에 의해 등받이판(20)을 전,후방으로의 이동만을 허용하기위한 조절관(70)이 환설되는 바, 본 고안 조절관(70)은 슬라이드공(71)의 상면 외주연을 일측으로 확장시킨 확개부(72) 및 측면에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등받이판(20)의 유동폭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관(70)의 상,하 이동에 의한 조절고정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로서 평상시 의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는 조절관(70)에 의한 조절나사(70)의 고정이 연결봉(60)의 저부 조절공(62)에 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스프링(S)의 상반부 일체가 제어구(50)의 각도제어봉(52)의 움직임에 대하여 자유로이 움직이게 되는 상태이며 도 6은 본 고안 조절관에 의해 의자 등받이판을 평상시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도 5에서와는 달리 조절관(70)을 연결봉(60)의 상부쪽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절나사(74)의 볼트관을 연결봉(60)의 상부 조절공(62)에 체결하여 조절관(70)의 확개부(72)에 의해 등받이판(20)의 전,후 이동도 가능하도록 한 상태이기 때문에 평상시와 같은 의자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제어구(50)의 각도제어봉(52)에 대한 이동도 조절관(70)의 확개부(72) 폭 내에서만이 이동가능해지는 상태이므로 의자의 등받이판(20) 지지를 안정되게 하여 업무나 학습을 위한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a,7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의자의 측면구성도로서 본고안은 등받이판(20)이 전,후는 물론 좌,우 방향으로 제어구(50)를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며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에 상반신을 편안하게 밀착시켜 움직이고자 하는 방향으로 상반신을 자유자재로 움직여 줄 수 있도록함으로서 상반신의 피로를 의자에 앉은 상태로 즉시 해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 의자는 헬스용 의자로도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조절관(70)의 선택적인 조절에 의해 등받이판(20)의 유동폭을 작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제반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등받이판의 한정된 움직임을 극복하여 등받이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로 경직된 상반신의 피로를 용이하게 풀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고안 의자를 이용하여 간단한 스트레칭 등의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부 양측에 절곡 형성된 팔걸이대(12)가 결합되고 저부에 끼움관(11)이 형성된 지지관(10)과, 지지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삽입공(91)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헤드레스트(90)와, 등받이판(20)의 배면 중앙에 고정된 너트관(21)에 밀착 설치되고 양측에 통공(41)이 형성된 브라켓(40)과, 이 브라켓(40)의 통공(41)과 일치되는 통공(31) 및 중앙에 환홈(33)이 형성되어 환홈(33)의 내측에 지지관(10)의 저부가 수용된 상태로 볼트(32)에 의해 브라켓(4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과, 상기 지지관(10)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부 내측에 지지관(10)의 끼움관(11)이 결합되어 지지관(10)의 움직임을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결합된 스프링(S)과, 스프링(S)의 저부에 설치되고 스프링(S)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S)의 회전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합된 제어구(50)와, 제어구(50)의 저부가 체결되는 체결공(61)이 상면에 형성되고 외주 상,하단에 조절공(62)이 형성된 연결봉(60)과, 중앙에 슬라이드공(71)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조절나사(74)의 볼트관이 삽입되는 장공(73)이 형성되어 슬라이드공(71)의 내측에 연결봉(60)이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환설되며 상기 조절나사(74)의 조절고정에 의해 등받이판(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절관(70)과, 조절관(70)이 환설된 상태로 연결봉(60)의 저부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공(81) 및 일측에 고정공(82)이 형성되고 시트 저부에 설치된 등받이지지대(100)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손잡이(101)의 볼트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80)이 포함되어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구(50)는 내부에 개방된 상면 중앙과 연하는 수용홈(51)이 형성되어 이에 일단에 각도제어봉(52)이 연결된 볼타입 결합부(53)가 수용되고 저부 중앙에 연결봉(60)의 체결공(61)에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관(54)이 돌설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관(70)은 슬라이드공(71)의 상면 외주연을 일측으로 확장시킨 확개부(72)를 형성하여 등받이판(20)의 유동폭 조절을 가능하게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2020010039227U 2001-12-19 2001-12-19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70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27U KR200270426Y1 (ko) 2001-12-19 2001-12-19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27U KR200270426Y1 (ko) 2001-12-19 2001-12-19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990A Division KR20030050541A (ko) 2001-12-19 2001-12-19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26Y1 true KR200270426Y1 (ko) 2002-04-03

Family

ID=7311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27U KR200270426Y1 (ko) 2001-12-19 2001-12-19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35B1 (ko) * 2009-03-24 2011-07-27 주식회사 다원산업 등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235B1 (ko) * 2009-03-24 2011-07-27 주식회사 다원산업 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267B2 (en) Ergonomic saddle chair
JPS6399809A (ja) 椅子
US7488278B2 (en) Exercise furniture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120045523A (ko) 기능성 좌판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200270426Y1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US20040009860A1 (en) Stretching device for furniture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077053B1 (ko)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030050541A (ko) 의자 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JP2004181179A (ja) 椅子の肘掛け
KR20090082162A (ko) 복합 탄력 지지 허리받이 의자
KR100459987B1 (ko) 보조등받이가 설치된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200443595Y1 (ko)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KR200325982Y1 (ko) 의자 등받이 연결부재
KR200336016Y1 (ko) 의자
KR20110067613A (ko) 상체 운동기능을 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