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237Y1 - 재떨이 - Google Patents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237Y1
KR200308237Y1 KR20-2002-0037224U KR20020037224U KR200308237Y1 KR 200308237 Y1 KR200308237 Y1 KR 200308237Y1 KR 20020037224 U KR20020037224 U KR 20020037224U KR 200308237 Y1 KR200308237 Y1 KR 200308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ylinder
knob
ashtra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표
Original Assignee
이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표 filed Critical 이경표
Priority to KR20-2002-0037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78Ash-trays comprising two separatable parts, e.g. coaxial
    • A24F19/0085Ash-trays comprising two separatable parts, e.g. coaxial one of the parts being covering or clo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담배꽁초가 수납되고 하부에 방향통이 설치되는 통체와, 이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선회되는 캡 및 통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향통을 구비한 재떨이에 있어서, 상기 통체(1)에, 몸체(7)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턱(17)과, 이 고정턱(17)을 매개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털이부(23), 타공부(19)를 갖추고서 몸체(7) 일측에 형성된 격벽(21), 1쌍의 걸림턱(25) 및 스프링끼움턱(27)을 갖추고서 몸체(7) 측벽에 형성된 노브지지부(15) 및, 일측에 걸림홈(37)을 갖추고서 상기 노브지지부(15)에 축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끼움턱(27)에 설치되는 스프링(39)을 매개로 탄설된 노브(33)가 구비되고, 상기 캡(5)에, 몸체(40)를 매개로 형성된 연통구멍(50)과, 몸체(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밀폐단턱(52) 및, 몸체(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착부(48)가 구비되며, 이 캡(5)에 복수의 걸림돌기(64)를 갖추고서 상기 결착부(48)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보조캡(60)이 구비되어, 상기 노브(33)를 매개로 캡(5)를 잠금하여 닫히도록 하거나 해지하여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떨이{An Asy Tray}
본 고안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담배꽁초를 쉽게 비벼끌 수 있고 별도로 방향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을 높이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재떨이는 담배재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100)의 중앙부에 용기 윗쪽으로 돌출부(102)가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어, 이 돌출부(102)에 담배불을 비벼서 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같은 구조로 된 재떨이(104)는 담배불을 소화(燒火)하려면 돌출부(102)에 비벼주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이 따를 뿐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용기(100)내에서 담배꽁초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또 심한 악취로 인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이 1998년 4월 25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98-6655호가 있는 바, 이는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통체(110)의 상부에 패킹(112)을 사이에 두고 캡(114)이 끼워지고, 이 캡(114) 일측에 밀폐단턱(116)과 판스프링(118)을 구비한 캡덮개(120)가 핀(130)을 매개로 축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통체(110)의 하부에는 방향제수용부(140)가 형성된 방향제수용통(142)이 끼워지는 한편, 상기 캡덮개(114)에는 핀지지부(144)을 매개로 걸림편(146)이 설치되어, 캡덮개(114)가 닫혀진 상태에서 걸림편(146)을 누르면 판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캡덮개(120)가 핀(13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재떨이(150)는 피다 남은 담배를 비벼끌 수 있도록 된 것이 아니라 통체(110)에 담배전체를 수납하고서 캡덮개(120)를 닫으면 통체(110)내에서 담배꽁초가 연소하다가 통체(110)내부의 산소가 소진되면 자연소화되도록 된 것이어서 여러명이 동시에 재떨이를 이용할 때에는 담배꽁초가 완전히 소화될 때까지 연기가 유출될 수 밖에 없고, 이를 방지하려면 캡덮개(120)를 일정시간동안 덮어주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이 따른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담배를 비벼끌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통체 상부에 별도로 방향제 수용부가 구비되어 담배불을 신속히 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방향제 수용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성도 향상시키도록 된 재떨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담배꽁초가 수납되고 하부에 방향제수용통이 설치되는 통체와, 이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선회되는 캡을 구비한 재떨이에 있어서, 상기 통체에,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턱과, 이 고정턱을 매개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털이부, 타공부를 갖추고서 몸체 일측에 형성된 격벽, 1쌍의 걸림턱 및 스프링끼움턱을 갖추고서 몸체 측벽에 형성된 노브지지부 및, 일측에 걸림홈을 갖추고서 상기 노브지지부에 축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끼움턱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매개로 탄설된 노브가 구비되고, 상기 캡에, 몸체를 매개로 형성된 연통구멍과, 몸체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밀폐단턱 및,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착부가 구비되며, 이 캡에 복수의 걸림돌기를 갖추고서 상기 결착부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보조캡이 구비되어, 상기 노브를 매개로 캡을 잠금하여 닫히도록 하거나 해지하여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떨이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사시도,
도 3은 종래 사용예에 따른 재떨이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재떨이의 분리사시도,
도 5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재떨이의 사용상태사시도,
1 --- 통체, 3 --- 방향제수용통,
5 --- 캡, 7,40,62,70 --- 몸체,
9 --- 요홈, 11,42 --- 핀끼움구멍,
12,43 --- 스프링지지턱, 15 --- 노브지지부,
17 --- 고정턱, 19 --- 타공부,
21 --- 격벽, 23 --- 털이부,
25 --- 걸림턱, 27 --- 스프링끼움턱,
29,35 --- 핀끼움구멍, 31,54 --- 핀,
33 --- 노브, 37 --- 걸림홈,
39,56 --- 스프링, 44 --- 브라켓트,
46 --- 걸림편, 48 --- 결착부,
50 --- 연통구멍, 52 --- 밀폐단턱,
60 --- 보조덮개, 64 --- 걸림돌기,
66 --- 손잡이, 72 --- 돌기,
74 --- 필터꽂이, 76 --- 공기유통구멍,
80 --- 재떨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떨이의 분해사시도로써,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담배꽁초가 수용되는 통체(1)와, 이 통체(1) 하부에 끼워지는 방향제수용통(3) 및, 통체(1) 상부에 축선회되도록 설치된 캡(5)을 구비하는 한편, 이 캡(5)은 통체(1)에 후술되는 걸림편(46)과 노브(37)등을 구비한 개폐수단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원터치방식으로 캡(1)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체(1)는 몸체(7) 상부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9)과, 핀끼움구멍(11) 및 스프링지지턱(12)을 갖추고서 몸체(7)의 외부면 상부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트(13), 이 브라켓트(13)와 대향되는 부분에 돌출형성된 노브지지부(15), 몸체(7)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턱(17) 및, 타공부(19)를 갖추고서 몸체(7)의 하부면에 형성된 격벽(21)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고정턱(17)에는 몸체(7) 내벽면과 동일반경을 이루는 털이부(23)가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타공부(19)는 담배꽁초는 걸려지고 방향제의 향은 통과되도록 적정간격의 메시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어 방향제수용통(3)에 방향제를 집어넣으면 통체(1)내부에 담겨있던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혼합되면서 악취를 최대한 희석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브지지부(15)는 한쪽 끝부분이 대략 삼각단면을 이루면서 다른쪽 방향으로 갈수록 완만해지는 형상을 하고서 몸체(7)의 외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데, 삼각단면을 이루는 부분에는 1쌍의 걸림턱(25)이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원형으로 스프링끼움턱(27)이 형성되는 한편, 측면에는 핀끼움구멍(29)이 형성되어 이 핀끼움구멍(29)에 끼워지는 핀(31)을 매개로 후술되는 노브(33)가 축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노브(33)는, 양측에 형성된 핀끼움구멍(35)과,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37)을 갖추고서 상기 핀(31)을 매개로 노브지지부(15)에 축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는바, 즉, 이 노브(33)는 상기 스프링끼움턱(27)을 매개로 스프링(39)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부(37) 내측으로 걸림턱(25)이 수용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노브(33)를 누르면 노브(33)가 핀(31)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스프링(39)을 압축시키게 되므로 노브(33)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39)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5)에는 몸체(40)의 외주면 일측에 핀끼움구멍(42)과 스프링지지턱(43)을 갖춘 브라켓트(44)가 구비되고, 이 브라켓트(44)와 대향되는 부위에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걸림편(46)이 형성되며, 몸체(40)의 내주면에는 1쌍의 결착부(48)가 형성되는 한편, 몸체(40)의 중앙부위에는 복수의 연통구멍(50)이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밀폐단턱(52)이 돌출형성되어, 캡(5)을 닫으면 밀폐단턱(52)이 요홈(9)에 끼워져 통체(1)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체(1)에 형성된 브라켓트(13)와 캡(5)에 형성된 브라켓트(44)가 각각의 핀끼움구멍(11,42)에 동시에 끼워지는 핀(54)을 매개로 축선회가능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지지턱(12,43)을 매개로 바이어스스프링(56)이 탄발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써 캡(5)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캡(5)에 지속적으로 탄발력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5)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결착부(48)를 매개로 보조덮개(60)가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이 보조덮개(60)에는 몸체(62)의 외주면에 1쌍의 걸림돌기(64)가 형성되고, 몸체(62)의 중앙에는 손잡이(66)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40)에 형성되는 공간에 방향제를 집어넣은 다음 보조덮개(60)를 끼워 회전시키면 걸림돌기(64)가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잠궈지게 됨에 따라 방향제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 털이부(23)에는 호형을 이룬 몸체(70) 상부에 걸쳐 배열형성된 복수의 돌기(72)와, 몸체(70)의 상부 일측에 연결형성된 필터꽂이(74)가 구비되는데, 이 필터꽂이(74)는 대략 원추형을 이루고서 한쪽 끝부분에 공기유통구멍(76)이 형성되어 필터꽂이(74)에 담배를 꽂았을 때 공기유통구멍(76)을 통해 자연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담배불이 꺼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재떨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담배꽁초나 담뱃재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노브(33)를 손으로 눌러 걸림편(46)이 걸림홈(37)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바이어스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캡(5)이 핀(54)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축선회되면서 통체(1)가 개방되는데, 이때 스프링지지턱(12,43)이 서로 맞닿게 됨에 따라 캡(5)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열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노브(33)를 누르면 노브(33)가 핀(31)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스프링(39)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편(46)이 걸림홈(37)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바이어스스프링(56)의 탄발력으로 캡(5)이 순간개방되는데, 이때 노브(33)는 걸림턱(25)을 매개로 유격발생이 방지되므로 예기치 않은 외부충격등으로 노브지지부(15)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통체(1)가 개방되면 털이부(23)에 형성된 돌기(72)를 이용해서 담뱃재를 털거나 비벼끌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터꽂이(74)에 피다남은 담배를 꽂아둘 수도 있다.
또한, 통체(1)내에 담배꽁초를 수납하고 나서 캡(5)을 닫을 때에는 캡(5)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걸림편(46)이 걸림홈(37)에 다시 걸려지게 하면 되고, 이 같이 걸림편(46)이 걸림홈(37)에 걸려지게 되면 밀폐단턱(48)이 요홈(9)에 삽입되어지면서 통체(1)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므로 통체(1)내의 담배꽁초에 남은 불씨가 통체(1)내의 잔존산소가 완전히 소진할 때까지 타다가 완전히 소화되게 되고, 꽁초에서 나는 연기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제수용통(3)내에 방향제를 수납시켜 놓으면 방향제 향이 타공부(19)를 통과하여 통체(1)내에 담겨있던 담배꽁초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혼합되므로써 악취를 죄대한 희석 또는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이후 다시 담배를 피기위해 캡(5)을 개방했을 때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캡(5)에 방향제를 수용하게 되면 연통구멍(50)을 통해 방향제의 향이 외부로 새어나오게 됨에 따라 재떨이(80)외에 방향제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의 목적을 명확하게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써 예컨대 휴지통이나 각종 사물 보관을 위한 보관함등에도 유추적용할 수 있고, 당해 분야의 전문가라면 이상에서 기술하였고 후술되는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담배를 비벼끌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별도로 캡에 방향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담배불을 신속히 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방향제 수용통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담배꽁초가 수납되고 하부에 방향제수용통이 설치되는 통체와, 이 통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선회되는 캡이 구비된 재떨이에 있어서,
    상기 통체(1)에, 몸체(7)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턱(17)과, 이 고정턱(17)을 매개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털이부(23), 타공부(19)를 갖추고서 몸체(7) 일측에 형성된 격벽(21), 1쌍의 걸림턱(25) 및 스프링끼움턱(27)을 갖추고서 몸체(7) 측벽에 형성된 노브지지부(15) 및, 일측에 걸림홈(37)을 갖추고서 상기 노브지지부(15)에 축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끼움턱(27)에 설치되는 스프링(39)을 매개로 탄설된 노브(33)가 구비되고,
    상기 캡(5)에, 몸체(40)의 일부에 형성된 연통구멍(50)과, 몸체(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밀폐단턱(52) 및, 몸체(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착부(48)가 구비되며,
    이 캡(5)에 복수의 걸림돌기(64)를 갖추고서 상기 결착부(48)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보조캡(60)이 구비되어,
    상기 노브(33)를 매개로 캡(5)을 닫아 통체(1)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털이부(23)에, 몸체(70)에 배열형성된 복수의돌기(72)와, 몸체(70)의 일측에 연결형성된 필터꽂이(74)가 구비되고, 이 필터꽂이(74)의 일측에 공기유통구멍(7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5)이 통체(1)에 브라켓트(13,44)와 이 브라켓트를 힌지연결하는 핀(54)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에는 스프링(56)이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13,44)에 각각 스프링지지턱(12,43)이 형성되어 캡(5)의 개방각도가 규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떨이.
KR20-2002-0037224U 2002-12-13 2002-12-13 재떨이 KR200308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24U KR200308237Y1 (ko) 2002-12-13 2002-12-13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24U KR200308237Y1 (ko) 2002-12-13 2002-12-13 재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237Y1 true KR200308237Y1 (ko) 2003-03-26

Family

ID=4933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24U KR200308237Y1 (ko) 2002-12-13 2002-12-13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25B1 (ko) * 2016-03-18 2017-11-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이동식 재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25B1 (ko) * 2016-03-18 2017-11-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이동식 재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36282A1 (en) Compartmentalized cigarette snuffer and receptacle
KR200308237Y1 (ko) 재떨이
US6161549A (en) Ash tray
JP2649780B2 (ja) タバコケース
US5918736A (en) Cigarette package with extinguishing caps
KR200193968Y1 (ko) 재떨이
EP0601644A1 (en) Cigarette snuffer
KR900000616B1 (ko) 재 털 이
KR200178086Y1 (ko) 재떨이
JPH10155470A (ja) 携帯用タバコ処理箱
KR20140101913A (ko) 휴대용 흡연장치
KR200154361Y1 (ko) 담배케이스
KR200226469Y1 (ko) 방향제가 부설된 휴대용 재떨이
KR200162634Y1 (ko) 다용도 담배 케이스
KR200280973Y1 (ko) 재떨이
KR200354516Y1 (ko) 금연용 다기능 재떨이
JP3053797U (ja) 灰 皿
KR930002212Y1 (ko) 휴대용 휴지통의 구조
KR200346459Y1 (ko) 휴대용 재떨이
KR200218029Y1 (ko) 방향제가 혼입된 휴대용 재떨이
KR200273146Y1 (ko) 담뱃불 소화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950007936Y1 (ko) 재떨이
KR20100076841A (ko) 담배케이스
KR960009543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담배케이스
KR20020051054A (ko) 방향제가 부설된 휴대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