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208Y1 - 배터리박스 - Google Patents

배터리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208Y1
KR200308208Y1 KR20020036411U KR20020036411U KR200308208Y1 KR 200308208 Y1 KR200308208 Y1 KR 200308208Y1 KR 20020036411 U KR20020036411 U KR 20020036411U KR 20020036411 U KR20020036411 U KR 20020036411U KR 200308208 Y1 KR200308208 Y1 KR 200308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auxiliary terminal
groov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3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재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Priority to KR2002003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Y02E60/12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지정된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소정의 배터리 수용공간 및 배터리의 (+), (-) 극에 접촉되어 회로기판에 형성된 (+), (-) 전원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 단자 및 (-) 단자가 배터리 수용공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배터리박스에 있어서, (+) 단자의 소정 길이 앞단에 형성되어 소정 각도까지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 단자와 병렬 연결되어 통전시키는 보조 단자를 포함하고, 보조 단자는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소정 두께의 결합침을 수용하는 힌지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용 손잡이; 및 장착되는 배터리의 (+) 극과 대응되게 몸체에 형성된 접촉 철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배터리박스에 특정 사이즈의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보조 단자를 더 구비하여 지정된 특정 크기의 배터리(예컨대, 스틱형 충전 배터리)는 물론 이보다 작은 특정 배터리(예컨대, AAA 크기의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박스{Battery box}
본 고안은 배터리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카세트 플레이어, 리모콘 등)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특정 배터리(예컨대, AAA 또는 AA 크기의 일회용 알카라인 배터리, 스틱형 충전 배터리 등)를 사용하며, 배터리박스에 배터리가 수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박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배터리의 수납공간 및 배터리의 (+), (-) 극을 연결하기 위한 (+) 단자 및 (-) 단자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박스(100)의 구성도로서, 스틱형 충전 배터리(130)를 사용하는 mp3 플레이어(100)의 배터리박스(120)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100)는 mp3 플레이어(100)의 전체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를 집적시킨 회로기판(110)과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지정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박스(120)가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박스(120)에는 지정된 배터리[즉, 스틱형 충전 배터리(130)]의 (+), (-) 극을 연결하기 위한 (+) 단자(121) 및 (-) 단자(미도시)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130)가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터리박스(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배터리박스 커버(미도시)를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결합부(122)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현된 배터리박스는 일정한 규격으로 고정되어 설계되었기 때문에 특정 크기의 지정된 배터리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정된 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경우에는 충전을 하거나 특정 크기의 지정된 배터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개의 배터리박스를 구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출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경우, 스틱형 충전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박스 및 특정 크기의 배터리(예컨대,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박스를 구비하여 스틱형 충전 배터리가 모두 소모된 경우 알카라인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두 개의 배터리박스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크기가 방대해지고 제작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배터리박스에 특정 사이즈의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보조 단자를 더 구비하여 지정된 특정 크기의 배터리(예컨대, 스틱형 충전 배터리)는 물론 이보다 작은 특정 배터리(예컨대, AAA 크기의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배터리박스의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의 정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에 스틱형 충전 배터리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에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보조 단자 221: (+) 단자
222:(-) 단자 223: 커버결합부
224: 안내턱 225: 결합유도턱
225a: 제1 힌지공 225b: 제2 힌지공
226: 힌지홈 227: 전선 통과홈
228: 손잡이 수용홈 229: 보조 배터리 안착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정된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소정의 배터리 수용공간 및 배터리의 (+), (-) 극에 접촉되어 회로기판에 형성된 (+), (-) 전원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 단자 및 (-) 단자가 배터리 수용공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배터리박스에 있어서, (+) 단자의 소정 길이 앞단에 형성되어 소정 각도까지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 단자와 병렬 연결되어 통전시키는 보조 단자를 포함하고, 보조 단자는 몸체와;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소정 두께의 결합침을 수용하는 힌지와;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용 손잡이; 및 장착되는 배터리의 (+) 극과 대응되게 몸체에 형성된 접촉 철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220)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220)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220)의 정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를 mp3 플레이어(200)에 적용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렇지만,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는 mp3 플레이어(2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는 지정된 배터리[즉, 스틱형 충전 배터리]의 (+), (-) 극을 연결하기 위한 (+) 단자(221) 및 (-) 단자(222)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가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터리박스(2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배터리박스 커버(미도시)를 결합시키기 위한 커버결합부(223)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박스(220)는 후술하는 보조 단자(230)의 이동 위치를 지정하는 안내턱(224)이 (+) 단자(221)의 소정 길이 앞단에 형성되고, 제1 힌지공(225a)이 관통되어 있고 보조 단자(230)가 소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그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결합유도턱(225)이 (+) 단자(221)의 소정 길이 앞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보조 단자(230)의 힌지(232)를 수용하는 힌지홈(226)이 결합유도턱(225)의 힌지공(225a)과 연직선상에 형성된다. 또한, 배터리박스(220)의 배면에는 힌지홈(226)과 연직선상에 관통되어 결합침(240)을 수용하는 제2 힌지공(225b)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힌지공(225b)의 일측 상단에는 결합침(240)에 연결되어 보조 단자(230)를 도통시키기 위한 전선을 통과시켜 회로기판(210)의 전원 단자에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 통과홈(227)이 관통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제2 힌지공(225b)과 전선 통과홈(227)은 소정의 홈을 형성하여 전선이 외부로 도출되지 않고 밀착 고정되도록 전선 가이드홈(227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단자(230)는 몸체(231)와 소정 두께의 결합침(240)을 수용하는 힌지(232)가 몸체(231)의 일단에 형성되고 이동용 손잡이(233)가 몸체(231)의 타단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몸체(231)의 소정 위치에는 보조 배터리(예컨대,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의 (+) 극과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요홈(23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요홈(234a)에 의해 대응되게 형성된 접촉 철홈(234b)이 보조 배터리의 (+) 극과 접촉된다. 또한, 결합유도턱(225)의 앞단에는 보조 단자(230)를 접었을 때 보조 단자의 이동용 손잡이(233)를 수용하기 위한 손잡이수용홈(228)이 형성되고, 배터리박스(220)의 밑면에는 보조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고 보조 배터리가 보조 단자(230) 및 (-) 단자(222)에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보조 배터리 안착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조 단자(230) 및 결합침(240)은 전도성이 있는 도체(예컨대, 구리)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에 대한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조립과정의 설명에 앞서, 배터리박스의 (+) 및 (-) 단자는 회로기판(210)의 (+) 및 (-) 전원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보조 단자(230)의 힌지(232)를 힌지홈(226)에 위치시키고 제1 힌지공(225a), 힌지홈(226) 및 제2 힌지공(225b)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일치시킨다. 다음에, 결합침(240)을 제2 힌지공(225b), 힌지홈(226), 제1 힌지공(225a)순으로 삽입시켜 보조 단자(230)를 힌지 결합시킨다. 그 후, 전선의 외피를 피복시켜 전선심 일단을 삽입된 결합침(240)의 일단[즉, 제2 힌지공(225b)측]에 연결(예컨대, 납땜)시키고, 전선심 타단을 회로기판(210)에 형성된 (+) 전원 단자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 단자(221)와 보조 단자(230)는 회로기판(210)의 (+) 단자와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보조 단자(230)는 결합침(240)과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보조 단자(230)는 소정 각도[즉, 안내턱(223)에서 손잡이 수용홈(227)까지의 90도]까지 절첩 가능하다.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220)에 스틱형 충전 배터리(300)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고안에 따른배터리박스(220)에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400)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mp3 플레이어(200)에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를 구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mp3 플레이어(200)는 스틱형 충전 배터리(300)가 기본 배터리이고,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400)가 보조 배터리라고 가정하고, 스틱형 충전 배터리(300)가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400)보다 소정 길이만큼 길다고 가정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에 스틱형 충전 배터리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결합방법과 마찬가지로, 스틱형 충전 배터리(300)의 (+) 및 (-) 극을 배터리박스(220)의 (+) 및 (-) 단자(221, 222)에 결합시킨다. 이 때, 보조 단자(230)는 손잡이 수용홈(228)에 위치시킨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에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즉, 보조 배터리)(40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 수용홈(228)에 위치한 보조 단자(230)를 안내턱(224)까지 이동시키고, 보조 배터리(400)의 (+) 및 (-) 극을 보조 단자(230)의 접촉 철홈(234b) 및 배터리박스(220)의 (-) 단자(222)에 결합시킨다.
즉, 기본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 단자(230)를 접힌 상태로 유지하고,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 단자(230)를 펼친 상태로 유지한다. 본 고안의 배터리박스(220)의 (+) 단자 및 보조 단자는 회로기판(210)의 (+) 전원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고, (-) 단자는 공통 단자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스틱형 충전 배터리와 AAA 크기의 알카라인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박스를 예시하였지만, 배터리박스의 크기 및 보조 단자의 결합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박스에 의하면, 하나의 배터리박스에 특정 사이즈의 배터리를 연결시키는 보조 단자를 더 구비하여 지정된 특정 크기의 배터리(예컨대, 스틱형 충전 배터리)는 물론 이보다 작은 특정 배터리(예컨대, AAA 크기의 배터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정된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소정의 배터리 수용공간 및 상기 배터리의 (+), (-) 극에 접촉되어 회로기판에 형성된 (+), (-) 전원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 단자 및 (-) 단자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배터리박스에 있어서,
    상기 (+) 단자의 소정 길이 앞단에 형성되어 소정 각도까지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 단자와 병렬 연결되어 통전시키는 보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단자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소정 두께의 결합침을 수용하는 힌지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용 손잡이; 및
    장착되는 배터리의 (+) 극과 대응되게 상기 몸체에 형성된 접촉 철홈으로 이루어진 배터리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에는
    상기 (+) 단자의 소정 길이 앞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단자의 이동 위치를 지정하는 안내턱과;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 힌지공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보조 단자가 소정 위치에 결합되도록 그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결합유도턱과;
    상기 결합유도턱의 제1 힌지공과 연직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단자의 힌지를 수용하는 힌지홈과;
    상기 힌지홈과 연직선상에 관통된 제2 힌지공과;
    상기 제2 힌지공의 일측에 관통되어 전선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전선 통과홈과;
    상기 결합유도턱의 앞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단자의 이동용 손잡이를 수용하기 위한 손잡이 수용홈과;
    특정 배터리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특정 배터리가 지정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특정 배터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침은 도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힌지공, 힌지홈 및 제1 힌지공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보조 단자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결합침의 일단은 상기 (+) 단자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자는 지정된 배터리를 장착할 때 상기 손잡이 수용홈에 위치하고, 상기 지정된 배터리보다 소형의 보조 배터리를 장착할 때 상기 안내턱에 위치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의 (+) 극과 상기 보조 단자의 접촉 철홈을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박스.
KR20020036411U 2002-12-05 2002-12-05 배터리박스 KR200308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6411U KR200308208Y1 (ko) 2002-12-05 2002-12-05 배터리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6411U KR200308208Y1 (ko) 2002-12-05 2002-12-05 배터리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208Y1 true KR200308208Y1 (ko) 2003-03-26

Family

ID=494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36411U KR200308208Y1 (ko) 2002-12-05 2002-12-05 배터리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432B2 (ja) 円筒形電池を内蔵可能な携帯式電源装置
US5157318A (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US6644984B2 (en) Plug assembly with spring loaded contact terminals
JP3173283U (ja) 電気コネクタ
WO2014029103A1 (zh) 电子烟装置
WO2013189052A1 (zh) 电子烟盒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US5254927A (en) Battery charger with appliance plug socket
KR100572178B1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CN113571827A (zh) 电池包结构
KR200308208Y1 (ko) 배터리박스
CN201741650U (zh) 动力电池熔断器
JP2002247775A (ja) 充電用置き台
CN218241737U (zh) 一种断路器的接线端子
TWM567488U (zh) Battery connector integrally formed with battery positioning seat and conductive terminal
CN216600015U (zh) 一种耳机和耳机组件
JPH0218520Y2 (ko)
JP2877749B2 (ja) プリント基板を内蔵する小型電気機器
TWM517940U (zh) 具有樞轉結構的充電裝置
TWI575841B (zh) 具有樞轉結構的充電裝置
CN210724286U (zh) 充电装置及吸尘器
CN202159783U (zh) 电池连接器
JP3625618B2 (ja) 充電器
JP2004063442A (ja) 端子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バッテリ
KR970000298Y1 (ko) 무선전화기 송수화기 셋트의 충전단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