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932Y1 - 열풍 건조기 - Google Patents

열풍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932Y1
KR200307932Y1 KR20-2002-0036841U KR20020036841U KR200307932Y1 KR 200307932 Y1 KR200307932 Y1 KR 200307932Y1 KR 20020036841 U KR20020036841 U KR 20020036841U KR 200307932 Y1 KR200307932 Y1 KR 200307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ing
air
burner
casing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대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6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 형상의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각 케이싱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일부분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를 갖는 열풍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버너가 배치된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의 공기공급부와; 상기 버너와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온 공기 중 일부분을 상기 각 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싱 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구를 통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열풍 건조기{Hot heater}
본 고안은, 열풍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부를 통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열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열풍 건조기란 가열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송풍하여 일정한 부분을 데우는 것으로써, 건설업체현장을 비롯하여, 콘크리트 양생, 내장재 건조, 농수산물 건조, 버섯하우스 멸균, 인쇄 건조, 가구 건조, 난방용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된다.
열풍 건조기는 버너를 이용하여 공기를 직접 가열한 후, 버너의 후방에 송풍팬을 마련하여 버너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열풍 건조기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하며, 여기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핵심이 되는 부분인 버너 영역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에는 종래의 열풍 건조기에서 버너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30)과 소정의 이격간격(H)을 가지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치된 내부케이싱(140)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케이싱(140)의 후방에는 팬구동모터(132)에 의해 회전가능한 송풍팬(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송풍팬(133)의 전방에는 일부분이 내부케이싱(140)에 삽입되게 장착되는 버너(1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134)가 장착된 내부케이싱(140)의 일측에는 버너(134)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버너삽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너삽입구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공급부(140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버너(134)가 점화되어 그 일단으로부터 화염이 분사되어 내부케이싱(140) 내의 공기가 가열되는 한편, 팬구동모터(132)에 의해 송풍팬(133)이 회전하면, 송풍팬(133)에 의한 공기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송풍팬(13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는 본체케이싱(130)과 내부케이싱(140) 사이의 이격간격(H)을 통해 이동하고, 나머지는 내부케이싱(140)의 타단에 형성된 공기공급부(140c)를 통해 내부케이싱(140) 내로 유입되어 버너(134)의 연소를 돕게 된다.
이 때, 송풍팬(133)으로부터의 공기가 직접 공기공급부(140c)로 향할 경우에는 별도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140) 내로 유입되어 버너(134)의 연소를 돕게 되나, 공기가 내부케이싱(140)의 판면에 부딪히게 된다면 공기는 다시 그 방향이 바뀌어 본체케이싱(130)과 내부케이싱(140) 사이의 이격간격(H)을 통해 이동하거나 이 영역에서 불어오는 공기와 충돌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열풍 건조기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133)으로부터 불어온 공기의 일부가 버너(134)가 배치된 내부케이싱(140)의 판면에 부딪힌 후 그 방향이 바뀌어 본체케이싱(130)과 내부케이싱(140) 사이의 이격간격(H)을 통해 이동하거나 혹은 이 영역에서 와류를 일으키고 있는 바, 공기공급부(140c)를 통해 내부케이싱(140) 내로 공기가 충분하게 유입되지 못하여 버너(134)의 연소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만일 버너(134)의 연소효율을 높이고자 공기공급부(140c)의 직경을 크게 하고 그 개수를 많이 형성하면, 본체케이싱(130)과 내부케이싱(140) 사이의이격간격(H)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양과 그 밀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열풍의 토출 압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이에, 공기공급부(140c)의 직경 및 개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송풍팬(133)으로부터의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부(140c)를 통해 내부케이싱(14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버너(134)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개선책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부를 통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열풍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풍 건조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풍 건조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버너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대응하는 종래의 열풍 건조기에서 버너 영역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름탱크 12 : 손잡이부
14 : 구름바퀴 20 : 연결몸체부
30 : 본체케이싱 33 : 송풍팬
34 : 버너 40 : 내부케이싱
40c : 공기공급부 50 : 공기안내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통 형상의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각 케이싱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일부분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를 갖는 열풍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버너가 배치된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의 공기공급부와; 상기 버너와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온 공기 중 일부분을 상기각 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싱 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안내부재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 상기 공기공급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에 배해 작은 지름을 가지고 상기 버너 측으로 배치되는 한편 단부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진행하는 공기의 가로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된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와 상기 축경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연결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확경부, 상기 축경부 및 상기 경사연결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제조상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기공급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을 상기 버너 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펀칭함으로써 버(Burr)가 전방을 향하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상기 내부케이싱으로 공기의 유입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풍 건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풍 건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열풍 건조기(1)는, 기름탱크(10)와, 기름탱크(10)의 상부에 마련되어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본체케이싱(30)과, 기름탱크(10) 및 본체케이싱(30) 사이에 마련된 연결몸체부(20)를 갖는다.
연결몸체부(20)와 본체케이싱(30)의 일측에는 열풍 건조기(1)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용 손잡이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2)는 파지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 중앙영역이 연결몸체부(20)에 고정되고, 단부는 본체케이싱(30)의 상부로 노출된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케이싱(30)의 상부로 노출된 파이프를 잡고 열풍 건조기(1)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열풍 건조기(1)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풍 건조기(1)의 위치 이동을 위해 기름탱크(10)의 하부에는 복수의 구름바퀴(14)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름바퀴(14)는 전방에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전륜(14a)과, 전륜(14a)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한편 전륜(14a)의 후방에 배치되고 360° 회전가능한 후륜(14b)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열풍 건조기(1)는 그 위치 이동이 매우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연결몸체부(20)의 측부에는 후술할 버너(34)를 점화 혹은 소화시키기 위한 버너스위치(21)와, 버너스위치(21)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후술할 팬구동모터(32)를 온오프(On/Off)시키는 모터스위치(22)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몸체부(20)의 일측에는 팬구동모터(32) 및 버너(3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2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몸체부(20) 내에는 하부에 마련된 기름탱크(10) 내의 기름을 버너(34)로 전달하는 펌프(24)가 마련되어 있다. 펌프(24)는 기계식이나 전자식의 어느 것을 채용하더라도 무관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전자식 펌프(24)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펌프(24)에 의해 기름이 버너(34)로 전달되는 라인에는 기름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체케이싱(30)은 그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폐쇄된 원기둥 형상을가지며, 개방된 일단은 가열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열풍토출구(30a)로 이용된다. 열풍토출구(30a)에 대향된 본체케이싱(30) 내에는 별도의 브래킷(31)에 의해 고정된 팬구동모터(32)가 마련되어 있으며, 팬구동모터(32)의 회전축에는 송풍팬(33)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33)의 전방에는 점화시 화염을 발생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버너(34)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에 각종 회로박스(34a)가 부착된 건 타입의 버너(34)를 채용하고 있다.
송풍팬(33)의 전방 본체케이싱(30) 내에는 본체케이싱(30)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케이싱(40)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케이싱(40)의 일단에는 가열공기가 토출되는 가열공기토출구(40a)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버너(34)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버너삽입구(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버너삽입구(40b)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공급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버너(34)는 기름탱크(10) 내의 기름을 원료로 하여 점화되어 내부케이싱(40) 내의 공기를 가열하지만 점화되어 화염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산소를 함유한 공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복수의 공기공급부(40c)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공기공급부(40c)로는 송풍팬(33)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 중 일부가 통과하여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송풍팬(33)으로부터의 공기가내부케이싱(40)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40c)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펀칭된 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송풍팬(33)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가 공기공급부(40c)를 통해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되는 한편, 버너(34)가 점화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면 내부케이싱(40) 내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된 후에는 전방의 가열공기토출구(40a)를 향해 토출된다. 토출된 후에는 송풍팬(33)으로부터 내부케이싱(40)과 본체케이싱(30) 사이의 이격간격을 통해 전방으로 향하던 공기와 합쳐진 후, 열풍으로 변화하여 열풍토출구(30a)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토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싱(40)의 타측에 복수의 공기공급부(40c)를 형성하는 형식만으로는 이 영역에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내부케이싱(40) 내에 원하는 양만큼의 공기를 공급할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버너(34)와 내부케이싱(40) 사이에 송풍팬(33)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와류발생 없이 내부케이싱(40) 내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부재(50)를 더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공기안내부재(50)는, 내부케이싱(40)의 타단 공기공급부(40c)의 외측에 결합되는 확경부(50a)와, 확경부(50a)에 배해 작은 지름을 가지고 버너(34) 측으로 배치되는 한편 단부가 송풍팬(33)으로부터 진행하는 공기의 가로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된 축경부(50b)와, 확경부(50a)와 축경부(50b)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연결부(50c)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확경부(50a), 축경부(50b) 및 경사연결부(50c)는 스테인레스나 철재질을 가지고 일체로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공기안내부재(50)를 고정시키고 팬구동모터(32)를 통해 송풍팬(33)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송풍팬(33)에 의해 공기는 내부케이싱(40)의 타단으로 향한다. 송풍팬(33)으로부터의 공기가 직접 공기공급부(40c)로 향할 경우에는 별도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40)으로 향한다.
그러나, 공기가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부딪히게 된다면 공기는 다시 송풍팬(33) 측으로 그 방향이 바뀔 수밖에 없는데, 이처럼 공기의 진행 방향이 바뀌더라도 공기는 다시 축경부(50b)에 부딪혀 재차 진행방향이 바뀌게 됨으로써 해당하는 공기공급부(40c)를 통해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서는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부딪혀 내부케이싱(40)과 본체케이싱(30)간의 이격간격으로 향할 수밖에 없었던 공기의 일부분을 공기안내부재(50)라는 구성에 의해 다시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34)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풍 건조기(1)의 작동과정에 대해 일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버너스위치(21)를 통해 버너(34)가 점화되어 그 일단으로부터 화염이 분사되도록 한 후, 이와 동시에 모터스위치(22)를 통해 팬구동모터(32)를 온(On)시킨다. 팬구동모터(32)에 의해 송풍팬(33)이 회전하면, 송풍팬(33)에 의한 공기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송풍팬(33)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는 본체케이싱(30)과 내부케이싱(40) 사이의 이격간격(H)을 통해 이동하고, 나머지는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형성된 공기공급부(40c)로 향한다.
이 때, 송풍팬(33)으로부터의 공기가 직접 공기공급부(40c)로 향할 경우에는 별도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되어 버너(34)의 연소를 돕게 된다. 그러나, 만일, 공기가 내부케이싱(40)의 타단에 부딪히게 된다면 공기는 다시 송풍팬(33) 측으로 그 방향이 바뀔 수밖에 없으나, 이 영역에 공기안내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바, 그 진행 방향이 바뀐 공기는 다시 축경부(50b)에 부딪혀 재차 진행방향이 바뀌게 됨으로써 해당하는 공기공급부(40c)를 통해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공기공급부(40c)를 통해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도 공기공급부(40c)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펀칭된 형태로 되어 버(40d, Burr)가 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은 더욱 원활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버너(34)의 연소효율은 상당히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내부케이싱(40) 내로 연소에 필요한 만큼의 공기가 제공되고 버너(34)가 점화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면 내부케이싱(40) 내에서 공기는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된 후에는 전방의 가열공기토출구(40a)를 향해 토출된다.
토출된 후에는 송풍팬(33)으로부터 내부케이싱(40)과 본체케이싱(30) 사이의 이격간격(H)을 통해 전방으로 향하던 공기와 합쳐진 후, 열풍으로 변화하여 열풍토출구(30a)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토출된다. 이에, 콘크리트 양생, 내장재 건조,농수산물 건조, 버섯하우스 멸균, 인쇄 건조, 가구 건조, 난방용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송풍팬(33)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부(40c)를 통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4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34)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도 1에 보면, 본체케이싱(30)이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손잡이부(12)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기름탱크(10)가 하부에 위치한 열풍 건조기(1)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사상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불과한 바, 도 1과 같은 형상을 가지지 않은 열풍 건조기일지라도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음은 두 말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안내부재(50)를 그 위치별로 확경부(50a), 축경부(50b) 및 경사연결부(50c)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따르지 않고 내부케이싱(40)의 타면에 축경부(50b) 및 경사연결부(50c)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기안내부재(50)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 중 적당량이 와류발생 없이 공기공급부를 통해 용이하게 내부케이싱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너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열풍 건조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통 형상의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배치된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각 케이싱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일부분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케이싱 내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를 갖는 열풍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버너가 배치된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의 공기공급부와;
    상기 버너와 상기 내부케이싱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온 공기 중 일부분을 상기 각 공기공급부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싱 내로 안내하는 공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부재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 상기 공기공급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에 배해 작은 지름을 가지고 상기 버너 측으로 배치되는 한편 단부가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진행하는 공기의 가로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된 축경부와;
    상기 확경부와 상기 축경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 상기 축경부 및 상기 경사연결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공급부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일면을 상기 버너 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펀칭함으로써 버(Burr)가 전방을 향하는 볼록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 건조기.
KR20-2002-0036841U 2002-12-10 2002-12-10 열풍 건조기 KR200307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41U KR200307932Y1 (ko) 2002-12-10 2002-12-10 열풍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41U KR200307932Y1 (ko) 2002-12-10 2002-12-10 열풍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932Y1 true KR200307932Y1 (ko) 2003-03-20

Family

ID=4940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841U KR200307932Y1 (ko) 2002-12-10 2002-12-10 열풍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9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46B1 (ko) 2007-03-20 2008-01-07 이상호 직화방식 선박도장 건조장치
KR100872804B1 (ko) 2008-07-22 2008-12-09 최혁순 직화식 선박용 도장 건조기
KR20220167007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팬직 열풍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46B1 (ko) 2007-03-20 2008-01-07 이상호 직화방식 선박도장 건조장치
KR100872804B1 (ko) 2008-07-22 2008-12-09 최혁순 직화식 선박용 도장 건조기
KR20220167007A (ko) 2021-06-11 2022-12-20 주식회사 팬직 열풍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91118A (en) Snow melter
KR200307932Y1 (ko) 열풍 건조기
KR20180038295A (ko) 솜사탕 제조장치
KR100520226B1 (ko)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KR100937409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JP2001193918A5 (ko)
US3048215A (en) Burner for boilers and the like
KR200394941Y1 (ko) 열풍기용 버너
KR960705174A (ko) 증기 발생기(steam generator)
KR100481233B1 (ko) 회전식 소각로용 소각물 투입장치
KR200455382Y1 (ko) 아스콘 가열기용 버너장치
KR101477167B1 (ko)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KR200243261Y1 (ko) 소각로의 에어 공급장치
KR200397529Y1 (ko) 멸치자숙기용 오일버너
JP2011136237A (ja) 加熱送風装置
KR200266784Y1 (ko)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100873121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1733768B1 (ko) 다목적 급배기관
KR100869503B1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100405242B1 (ko)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254345Y1 (ko) 회전 온풍기
JP2008307220A (ja) 加熱送風装置
JP3635008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20040008284A (ko) 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
KR0143691B1 (ko) 오일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