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551Y1 - 다축바퀴 - Google Patents

다축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551Y1
KR200307551Y1 KR20-2002-0037394U KR20020037394U KR200307551Y1 KR 200307551 Y1 KR200307551 Y1 KR 200307551Y1 KR 20020037394 U KR20020037394 U KR 20020037394U KR 200307551 Y1 KR200307551 Y1 KR 200307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axis
wheel
obstacles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37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adapt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축바퀴에 관한 것이며, 일정 회전 경만을 갖는 기존 바퀴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보다 큰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바퀴로 운반수단의 회전 중심축과 일정한 거리에 작은 바퀴를 정다각형 형태로 설치하여 평지 운행시에는 지면에 닿아 있는 작은 바퀴에 의해 주행하고 작은 바퀴의 반경보다 큰 장애물(돌출물, 차로 인도 경계석, 계단 등) 통과 시에는 회전반경을 크게 하여 운반수단의 수직 무게중심 변화량을 극소화하므로 써 적은 동력으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근거리 운반수단 또는 동력에 의한 운반수단 등에 쉽게 장착하여 장애물 통과 시 밋밋한 경사로나 평지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축바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며엥 따른 다축바퀴는, 중심 축과 일정한 거리를 갖으면 정다각형 형태로 축의 구성이 가능하고 운반수단의 축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브라켓트와; 상기의 브라켓트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 수 있는 정지 장치와; 상기의 브라켓트에 장착되는 작은 바퀴; 경우에 따라 상기 작은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축바퀴는, 일반 단축 바퀴로 주행이 불가능한 계단, 경계석, 장애물 등을 힘들이지 않고 주행하므로 고가의 설치 물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필요 없으므로, 기존의 계단을 통한 물류이동으로 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계석등의 장애물을 쉽게 통과하므로운반수단이 도로 경계석을 통과하지 못해 생기는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축바퀴{Multi shaft wheel}
본 발명은 다축바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회전 경만을 갖는 기존 바퀴와는 달리 필요에 따라 보다 큰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바퀴로 운반수단의 회전 중심축과 일정한 거리에 작은 바퀴를 정다각형 형태로 설치하여 평지 운행 시에는 지면에 닿아 있는 작은 바퀴에 의해 주행하고 작은 바퀴의 반경보다 큰 장애물(돌출물, 차로 인도 경계석, 계단 등) 통과 시에는 다축바퀴 전체가 회전, 회전반경을 크게 하여 운반수단의 수직 무게 중심 변화량을 극소화하므로써 적은 동력으로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근거리 운반수단 또는 동력에 의한 운반수단 등에 쉽게 장착하여 장애물 통과 시 밋밋한 경사로나 평지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축바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도구에 사용하는 바퀴의 경우 장애물을 통과하려면 장애물의 높이 만큼 운반도구의 무게중심이 수직으로 이동하여야 만 하는데 이때 무게 중심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거나 많은 힘을 주어도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반수단에 속도를 주어 장애물을 통과시키거나 많은 인원의 인력으로 장애물을 통과하는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으나 장애물이 연속적이거나 운반수단의 무게가 무거우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석의 높이를 낮추거나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다라 종래 기술에 따른 운반수단에 의한 장애물 통과시의 운반수단 무게 중심의 변화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단축바퀴가 적용된 운반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바퀴(10)이 운반수단(100)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 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5에 일반적인 단축바퀴가 적용된 운반수단으로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운반수단의 축 중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30)을 일반바퀴가 적용된 운반수단의 축 중심 궤적(11)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축 중심 궤적(11)중 세로 방향으로 표시된 부분 때문에 운반수단이 계단에 오르거나 내려올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다른 단축바퀴는 일반적인 운송수단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식의 단축바퀴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된 장애물 또는 계단과 같은 연속장애물을 주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수단의 전복,과도한 견인력 등의 문제로 부수 장치, 즉 계단을 밋밋한 경사로로 수정, 경계석의 높이 수정,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수단에 장착된 바퀴를 다축으로 설치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장애물을 널빤지 등의 다른 장비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된 수직장애물 즉 계단 등을 오르고 내려가는데 있어 계단을 평탄화 하거나 하는 등의 부수 조치 없이 운반장치가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숭레 따른 일반적인 바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바퀴가 장착된 운반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가 장착된 운반도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운반도구가 장애물 통과시 중심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가 장착된 운반도구가 장애물 통과시 중심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바퀴가 장착된 운반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를 장착한 운반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다축바퀴 어셈블러 10 : 일반바퀴
20 : 동력축 100, 200 : 운반수단 일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바퀴는, 바퀴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운반수단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회전축과 일정한 거리를 갖으며 정다각형 형태로 축의 구성이 가능한 브라켓트와; 상기의 브라켓트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 수 있는 정지장치와; 상기의 브라켓트에 장착되는 작은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에 의한 운반수단의 경우 상기 작은 바퀴에 동력을 진행코자 하는 방향과 역전하여 전달하는 기어장치와 상기의 브라켓트에 진행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계단 등을 내려올 때 가속도 발생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상기 브라켓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가 구비된 운반수단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바퀴가 적용된 운반수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다축바퀴는 전체모양을 유지하는 브라켓트(2)가 운반수단(100)의 회전축(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트(2)에는 회전중심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각형 형태로 작은 바퀴(3)가 마련되며 작은 바퀴는 회전 가능한 회전축(4)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2)와 운반수단의 회전중심축(21)의 상대운동시에는 속도를 조절하는 브레이크(미도시)가 마련 될 수 있다.
평지 주행 시에는 지면에 닿아 있는 작은 바퀴(3)를 이용하여 주행하고 돌출물에 생기면 다축바퀴(1) 전체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장애물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며 중심축의 변화 궤적(12)과 같이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기존의 일반바퀴를 사용하는 인력에 의한 운반수단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가 장착된 장애자용 전동 휠체어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가 장착된 전동 휠체어(200 ')은, 동력축(20)에 다축바퀴(1)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다축바퀴(1)의 작은 바퀴(3)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한다.
상기 본체(200)의 전방 바퀴는 다축바퀴(1)가 장착가능하며 주행방향에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편심 회동부(201)가 마련되고 다축바퀴가 결합된다.
이로써 평지 주행 시에는 작은 바퀴(3)가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돌출물이 생겨 작은 바퀴의 회전에 저항이 생기면 다축바퀴(1) 전체가 동력축(2)과 다축바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계단 등을 쉽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마련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다축바퀴는, 일반 단축 바퀴로 주행이 불가능한 계단, 경계석, 장애물 등을 힘들이지 않고 주행 할 수 있어 고가의 설치물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이 필요 없으므로 기존의 계단을 통한 물류이동으로 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계석등의 장애물을 쉽게 통과하므로 운반수단이 도로 경계석을 통과하지 못해 생기는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으로 돌출된 장애물 및 계단을 주행할 수 있는 다축바퀴에 있어서, 운반수단의 회전축에 장착가능하며 회전 중심축과 일정한 거리에 작은 바퀴를 정다각형형태로 구성토록 하는 브라켓트에 작은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바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가 운반수단의 중심 축과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거나 멈출 수 있는 브레이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바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트에 장착된 작은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작은 바퀴가 외력에 의해 정지되었을 때 브라켓트 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바퀴.
KR20-2002-0037394U 2002-12-16 2002-12-16 다축바퀴 KR200307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94U KR200307551Y1 (ko) 2002-12-16 2002-12-16 다축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94U KR200307551Y1 (ko) 2002-12-16 2002-12-16 다축바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551Y1 true KR200307551Y1 (ko) 2003-03-20

Family

ID=4940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394U KR200307551Y1 (ko) 2002-12-16 2002-12-16 다축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5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9260B2 (en) 2015-04-20 2019-04-16 Soongsil University Research Consortium Techno-Park Transformable wheel
KR20200083296A (ko) * 2018-12-31 2020-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9260B2 (en) 2015-04-20 2019-04-16 Soongsil University Research Consortium Techno-Park Transformable wheel
KR20200083296A (ko) * 2018-12-31 2020-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 로봇
KR102318157B1 (ko) 2018-12-31 2021-10-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117B2 (en) Obstacle traversing mobile robot
US115775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versing vertical obstacles
KR100478371B1 (ko) 계단, 경사로, 험로 주행장치
US3533483A (en) Vehicle with vertically angularly adjustable asymmetrical wheeled frames
CN101534782A (zh) 用于台阶和障碍物的轮椅
US20080319621A1 (en) Running Mechanism for a Passenger Boarding Brid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021907B2 (ja) 走行装置
CN1861333A (zh) 自主翻转式履带式机器人行走驱动装置
KR200307551Y1 (ko) 다축바퀴
CN105818849B (zh) 载重爬楼运输机
KR20040052259A (ko) 다축바퀴
CN109998804B (zh) 一种双履带自适应爬楼电动轮椅
KR101503267B1 (ko) 급곡선 및 급구배의 운행이 가능한 레일 바이크
KR102373539B1 (ko) 계단 및 단차 지형의 휠체어 주행을 위한 전동 어시스트 모듈
CN1093059C (zh) 上梯行路两用机动车
CN113509325B (zh) 一种正向舒缓履带式爬楼下楼装置
KR20050028945A (ko) 계단 승강용 운반장치
CN218055344U (zh) 舵轮和agv小车
CN211565873U (zh) 一种机器人
CN201235863Y (zh) 垂直扶梯爬行车
JP2006263104A (ja) 電動車椅子
JP2002362356A (ja) 車輪の横移動用緩衝器具
CN117386207A (zh) 一种车库人行通道无障碍结构及升降横移车库
KR20020084886A (ko) 운반기
JPS5931283A (ja) マン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