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543Y1 -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543Y1
KR200307543Y1 KR20-2002-0037267U KR20020037267U KR200307543Y1 KR 200307543 Y1 KR200307543 Y1 KR 200307543Y1 KR 20020037267 U KR20020037267 U KR 20020037267U KR 200307543 Y1 KR200307543 Y1 KR 200307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water
cleaning
water purifier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협진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진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협진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15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용 카트리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제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축적되기 때문에 교체 시기가 되면 카트리지 뚜껑을 개방하여 내장된 여과제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초기 단계의 암석재 카트리지를 제외한 나머지 카트리지에 내장된 필터들은 관체로 제품화 된 것들이어서 그대로 빼내고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나, 암석재 카트리지에 내장된 여과제는 일일히 꺼내 이물질 세척을 실시한 다음 다시 내장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정수 첫단계에 채용되는 암석재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비중에 따라 자갈, 모래와 더불어 화산석의 일종인 다공성 경량석(안트라 사이트)으로 충전하고, 카트리지 뚜껑의 양편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정수관 측에 각각 압력 게이지를 장착하여 압력 편차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체크하고, 세척 시기가 되면 역세척에 의하여 자동 세척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여과제를 사람이 수동으로 세척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A cartridge for water purifier possibility wash cleaning itself}
본 고안은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소형의 정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용 카트리지들 중 초기 단계의 이물질 정화에 사용되는 암석재층 정화 카트리지에 있어서, 자갈, 모래와 더불어 다공성 경량석(안트라 사이트; 화산석)을 이용하여 여과층을 구성하므로서, 여과제 오염시 카트리지를 분해하지 않고도 역세척에 의하여 자체 세척 청소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환경 오염이 극심해 짐에 따라 지하수는 물론이고 수돗 물 까지도 믿고 마시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아파트, 공장 등 비교적 중, 소 단위별 정수 시스템이 일반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중, 소 단위별 정수 시스템에는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 카드리지들이 밀도에 따라 순차 구비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 비교적 큰 이물질 입자를 여과하는 카트리지는 돌, 모래 등의 암석재로 구성된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그 다음으로 마이크로 필터, 활성탄 필터, 역삼투 필터와 같은 필터들이 내장된 카트리지들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각 카트리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제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축적되기 때문에 교체 시기가 되면 카트리지 뚜껑을 개방하여 내장된 여과제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초기 단계의 암석재 카트리지를 제외한 나머지 카트리지에 내장된 필터들은 관체로 제품화 된 것들이어서 그대로 빼내고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나, 암석재 카트리지에 내장된 여과제는 일일히 꺼내 여과제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 세척을 실시한 다음 다시 내장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정수 첫단계에 채용되는 암석재 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비중에 따라 자갈, 모래와 더불어 화산석의 일종인 다공성 경량석(안트라 사이트)으로 충전하고, 카트리지 뚜껑의 양편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정수관 측에 각각 압력 게이지를 장착하여 압력 편차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체크하고, 세척 시기가 되면 역세척에 의하여 자동 세척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여과제를 사람이 수동으로 세척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2 : 몸체
3 : 뚜껑 4 : 자갈층
5 : 모래층 6 : 다공성 경량석층
7a : 급수관 7b : 정수관
8a,8b : 급, 배수 압력게이지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자형 몸체(2) 상부측에 뚜껑(3)이 나사결합 체결되는 정수용 카트리지(1)의 내부에는 하부로 부터 자갈층(4), 모래층(5), 다공성 경량석층(6)을 내장 설치하고, 뚜껑(3)의 일측에는 급수관(7a)을 급수단이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며, 반대편에 연결되는 정수관(7b)의 배출구 측은 카트리지 내부 바닥에 위치하도록 연결하여 급수되는 물이 상부측으로 부터 하부측으로 정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뚜껑 양편의 급수관(7a)과 정수관(7b)에는 급, 배수 압력게이지(8a)(8b)를 장착하여 역세척에 의한 자동 세척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급수관(7a)을 통하여 카트리지 (1)내부 상측으로 급수된 오염물이 포함된 물은 다공성 경량석층(6), 모래층(5), 자갈층(4)의 순으로 하강하면서 여과되고, 정수관(7b)을 통하여 하부측에서 배출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게되면, 내장된 여과제의 입자 주위에는 이물질이 달라붙어 축적되므로 정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시기가 되면 여과제를 청소해 주어야 하는데, 그 시기를 뚜껑(3)의 양편에 장착된 급, 배수 압력게이지(8a)(8b)의 압력 편차를 보고 시기를 설정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청소 시기가 되면, 다른 카트리지 들의 필터들을 빼내고 비운 상태에서 역으로 물을 공급하여 역세척을 이루게 된다.
즉, 정상 상태에서의 배수 측인 정수관(7b)을 통하여 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고, 급수관(7a)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카트리지 내부의 자갈층(4), 모래층(5), 다공성 경량석층(6)은 서로 뒤섞이면서 산란하게 되고, 서로 부딪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과제 입자의 둘레에 붙어있던 이불질은 분리되어 역세수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세척이 충분히 이루어 지고 난 후 정지 시키면, 카트리지 내부의 여과제들은 비중 차에 의하여 맨 하부층에 자갈층(4)이 가라 앉고 그 다음 모래층(5), 제일 가벼운 다공성 경량석층(6)이 맨 상부층을 형성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 됨으로 자동 세척을 이룰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카트리지를 분해하지 않고도 역세척에 의하여 여과제의 자동 세척이 가능하게 됨으로 중, 소형의 정수 시스템에 적용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U"자형 몸체(2) 상부측에 뚜껑(3)이 나사결합 체결되는 정수용 카트리지(1)의 내부에는 하부로 부터 자갈층(4), 모래층(5), 다공성 경량석층(6)을 내장 설치하고, 뚜껑(3)의 일측에는 급수관(7a)을 급수단이 내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며, 반대편에 연결되는 정수관(7b)의 배출구 측은 카트리지 내부 바닥에 위치하도록 연결하여 급수되는 물이 상부측으로 부터 하부측으로 정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뚜껑 양편의 급수관(7a)과 정수관(7b)에는 급, 배수 압력게이지(8a)(8b)를 장착하여 역세척에 의한 자동 세척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세척 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KR20-2002-0037267U 2002-12-13 2002-12-13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KR200307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67U KR200307543Y1 (ko) 2002-12-13 2002-12-13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67U KR200307543Y1 (ko) 2002-12-13 2002-12-13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543Y1 true KR200307543Y1 (ko) 2003-03-20

Family

ID=4933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67U KR200307543Y1 (ko) 2002-12-13 2002-12-13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5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829B9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DE602004031035D1 (de) Flüssigkeitsfiltrationsapparatur und -verfahren mit superschwimmfähigen filtrationsteilchen
KR20030096867A (ko) 정수기용 복합필터
CN111228866A (zh) 一种在线自清洗介质过滤装置
CN102689943A (zh) 一种全自动反冲洗微滤超滤纳滤净水机
KR102327425B1 (ko)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JP3641077B2 (ja) ろ過装置
KR200307543Y1 (ko)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한 정수기용 카트리지
KR200392652Y1 (ko) 쾌속 이중 세척식 수질정화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0183361B1 (ko) 필터 세척에 사용되는 제트 분사 시스템이 구비된정수 장치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KR100424346B1 (ko) 오폐수 내의 협잡물 제거장치
RU197395U1 (ru) Напорный фильтр с регенерацией
KR20040070365A (ko) 간이상수도 복합 정수장치
KR920021188A (ko) 복합층 고도 여과방법 및 장치
WO2011019746A1 (en) Cleanable filtering device
KR100962556B1 (ko) 하향류식 고속 정밀 여과장치
KR200200636Y1 (ko) 수평류식 모래 여과기
CN201071306Y (zh) 一种免拆洗自来水净水器
JP3247429B2 (ja) 浄水器
KR20050102428A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JPH0978638A (ja) 雨水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