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379Y1 - 자폐식밸브 - Google Patents

자폐식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379Y1
KR200307379Y1 KR20-2002-0037202U KR20020037202U KR200307379Y1 KR 200307379 Y1 KR200307379 Y1 KR 200307379Y1 KR 20020037202 U KR20020037202 U KR 20020037202U KR 200307379 Y1 KR200307379 Y1 KR 200307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groove
serration
hand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인
Original Assignee
로얄동도 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동도 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동도 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7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폐식 밸브에 관한것으로,
밸브몸통(300)에 나삽된 밸브몸통카바(400)의 선단부(401) 외주면에 단면이 삼각형인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402)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몸통카바(400)에 세레이션 결합으로 조립되는 스톱링(600)은 내주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602)이 형성되어지고, 세레이션(602)의 중간지점에 홈(603)이 형성되어지며, 선단면(601)과 그 선단면(601)에서 일정구간 소정길이 돌출된 면(604)과 상기 선단면(601)보다 일정구간 소정길이 들어간 면(605)을 갖는 3단의 구조를 취하며, 상기한 돌출된 면(604)과 들어간 면(605)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요홈(606),요홈(607)을 형성하며, 상기 밸브몸통(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200)은 내경부(201)에 어느구간 축방향으로 삽입홈(202)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202)에 판스프링(700)을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의 토수를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핸들(200)의 간단한 회전조작으로 기설정된 시간보다 적거나 많은량의 토수를 가능케 하여 불필요한 물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폐식 밸브 {self closing valve}
종래의 자폐식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스크류(1)가 조립된 핸들(2)을 누르면 밸브몸통(3)에 구성된 압력실(4)내에서 그 핸들(2)에 고정된 로드(5)와 결합되어 연동 되어지는 피스톤(6)이 핸들(2)에 조립된 유량조절스크류(1)가 밸브몸통(3)에 조립된 밸브몸통카바(12)에 닿는만큼만 눌리고, 시트패킹(7)이 시트(8)에서 이격되어, 그 통로(9)로 밸브몸통(3)에 구성된 토수구(10)측으로 유체가 통과된다.
또한 압력실(4)내에 수압이 채워지는 시간동안 토수가 이루어지고 그 수압과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유체가 자동으로 차단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기 유량조절스크류(1)로 한번 설정된 시간만큼만 토수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공중의 사용자가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설정시간보다 적거나 많은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즉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물 사용유무에 상관없이 그대로 설정된 토수가 이루어져 물낭비가 발생되거나, 설정시간보다 많은량을 사용하기 위하여 2번 이상 핸들(2)을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안은 자폐식 밸브의 설정된 시간만큼 토수가 되도록 하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된 시간보다 적거나 많은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즉시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코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폐식 밸브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일부부품 사시도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일부부품 사시도
도 4는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일부부품 사시도
도 5는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VIEW 'P')
도 7은 도 5의 AA'단면도
도 8는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9은 도 8의 정면도(VIEW 'Q')
도 10은 도 8의 BB' 단면도
도 11은 본고안에 의한 자폐식 밸브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VIEW 'R')
도 13은 도 11의 CC'단면도
1 : 유량조절스크류 2 : 핸들 3 : 밸브몸통
4 : 압력실 5 : 로드 6 : 피스톤
7 : 시트패킹 8 : 시트 9 : 통로
10 : 토수구 11 : 스프링
100 : 유량조절스크류 101 : 선단
200 : 핸들 201 : 내경부 202 : 삽입홈
300 : 밸브몸통
400 : 밸브몸통카바 401 : 선단면 402 : 세레이션
500 : 조임링
600 : 스톱링 601 : 선단면 602 : 세레이션
603 : 홈 604 : 돌출된 면 605 : 들어간 면 606 : 요홈 607 : 요홈
700 : 판스프링 701 : 돌출부 702 : 돌기
703 : 상면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고안의 구성은 도 2, 3,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통(300)에 나삽되어 있는 밸브몸통카바(400)에 조임링(500)이 끼워진 스톱링(600)이 조립된다.
상기 밸브몸통카바(400) 선단부(401)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402)이 형성되며, 스톱링(600)의 내주면에는 단면이 삼각형인 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602)이 형성되고, 그 세레이션(602)부의 중간지점에 홈(603)이 형성되어 이곳에 조임링(500)이 끼워지고, 상기 세레이션(402)(602)의 결합으로 밸브몸통카바(400)와 스톱링(600)이 조립되어지되, 조임링(500)으로 인하여 축방향으로의 스톱링(6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톱링(600)은 선단면(601)과 그 선단면(601)에서 일정구간 축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면(604)과 그 선단면(601)보다 들어간 면(605)을 갖는 3단의 구조를 취하며, 그 돌출된 면(604)과 들어간 면(605)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요홈(606),요홈(607)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스톱링(600)의 선단면(601)은 후술할 핸들(200)에 조립된 유량조절스크류(100)가 닿아 작동스크로크를 제어하여 토수시간을 결정짓는 부분으로 높이가 3단으로 형성되어짐에 따라 그 돌출된 면(604)과 들어간 면(605)이 형성된 구간에서 설정된토수시간보다 적거나 많은량의 토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링(600)의 돌출된 면(605)과 들어간 면(606)의 축방향으로 외주면상에 형성된 요홈(606), 요홈(607)은 후술할 판스프링(700)의 돌출부(701)가 걸리는 지점으로 핸들(200)을 회전하여 그 지점에 이르면 판스프링(700)이 탄성있게 걸림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적거나 많은량의 토수를 취할 수 있는 지점을 청각 또는 촉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00)의 내경부(201)에는 어느구간 축방향으로 삽입홈(202)이 형성되어지고, 그 삽입홈(202)에는 판스프링(700)이 끼워지는데 그 판스프링(700)의 구조는 사각형의 판상에 돌출부(701)를 일정구간 갖고, 그 상면(703)에 돌기(702)가 형성되어있는 구조로, 돌기(702)는 핸들(200)의 삽입홈(202)에 판스프링(700)이 조립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8,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수에서 지수에 이르는 작용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고, 사용자가 설정된 토수시간보다 적은량의 토수를 취할 경우 핸들(200)을 일정표시방향(핸들 외측에 '소' 로 표시된 방향 )으로 회전하면 판스프링(700)이 스톱링(60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다가 스톱링(600)의 요홈(606)에 이르러 판스프링(700)이 탄력있게 걸리고 그 지점에서 핸들(200)을 누르면 유량조절스크류(100)의 선단(101)이 스톱링(600) 선단면(601)의 돌출된 면(604)에 닿아 설정된 토수시간보다 작동스트로크가 적어지게 되어, 적은량의 토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기설정된 시간보다 많은량의 토수를 원할 경우 도 11,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은량의 토수를 취할경우와 반대방향(핸들 외측에 '대' 로 표시된 방향 )으로 핸들(200)을 회전시키면 판스프링(700)이 스톱링(60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다가 스톱링(600)의 요홈(607)에 이르러 판스프링(700)이 탄력있게 걸리고, 그 지점에서 핸들(200)을 누르면 유량조절스크류(100)의 선단(101)이 스톱링(600) 선단면(601)의 들어간 면(605)에 닿아 설정된 토수시간보다 작동스트로크가 많아지게 되어, 많은량의 토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기설정된 토수시간을 취할 경우에도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00)을 회전시켜 판스프링(700)의 돌출부(701)가 스톱링(600)의 요홈(606), 요홈(607)에서 벗어나는구간에서 핸들(200)을 누르면 유량조절스크류(100)의 선단(101)이 스톱링(600)의 선단면(601)에 닿아 기설정된 토수시간의 작동스트로크로 기설정된 토수시간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폐식 밸브에 의하면 설정된 시간 만큼의 토수를 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공중의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보다 적은량의 토수를 취할 경우 간단한 핸들(200) 조작에 의하여 취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역시 핸들(200)의 동일한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보다 많은량의 토수를 취할 수 있으며, 적거나 많은량의 토수를 쉽게판단하여 조작할 수 있다.

Claims (2)

  1. 밸브몸통(300)에 나삽된 밸브몸통카바(400)는 그 선단부(401)의 외주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402)이 형성 되어있고;
    상기 밸브몸통카바(400)에 세레이션 결합으로 조립되는 스톱링(600)은 내주면에 단면이 삼각형인 다수의 각도분할 요홈을 가진 세레이션(602)이 형성되어지고, 세레이션(602)의 중간지점에 홈(603)이 형성되어지며, 선단면(601)과 그 선단면(601)에서 일정구간 소정길이 돌출된 면(604)과 상기 선단면(601)보다 일정구간 소정길이 들어간 면(605)을 갖는 3단의 구조를 취하며, 상기한 돌출된 면(604)과 들어간 면(605)의 외주면상에 축방향으로 요홈(606),요홈(60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통(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200)은 내경부(201)에 어느구간 축방향으로 삽입홈(202)이 형성되어지고, 그 삽입홈(202)에 판스프링(700)이 끼워지고, 유량조절스크류(100)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밸브
KR20-2002-0037202U 2002-12-13 2002-12-13 자폐식밸브 KR200307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02U KR200307379Y1 (ko) 2002-12-13 2002-12-13 자폐식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202U KR200307379Y1 (ko) 2002-12-13 2002-12-13 자폐식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379Y1 true KR200307379Y1 (ko) 2003-03-15

Family

ID=4940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202U KR200307379Y1 (ko) 2002-12-13 2002-12-13 자폐식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3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861B1 (ko) *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861B1 (ko) * 2018-09-11 2019-05-17 푸른나래(주) 삼중 구조를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218B2 (ja) ドアクローザ及びホルダ
EP1693077A3 (en) Pressure activated IV set with drip chamber having a lateral access and a pressure valve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US6073863A (en) Hose nozzle
US7562860B2 (en) Hand-operated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compressed air guns
KR900002881B1 (ko) 미터링 밸브
EP1591144A4 (en) PRESSURE CONTROL VALVE WITH QUICK OPENING MECHANISM, FIRE EXTINGUISHER WITH PRESSURE CONTROL VALVE, HIGH-PRESSURE GAS BOTTLE DEVICE AND FAST LIQUID SUPPLY DEVICE
KR200307379Y1 (ko) 자폐식밸브
JP2007139057A (ja) 流量調整弁
US4684334A (en) Inlet valve assembly for paint sprayer
US4946135A (en) Structure of water tap
KR200307378Y1 (ko) 자폐식밸브
KR101869042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5860634A (en) Ramped stem extender
JPH07253170A (ja) 流量制御弁
CN211436638U (zh) 一种操作方便的喷枪花洒
EP1429061A1 (en) Self-closing tap with adjustable dispensing time
EP0328543B1 (en) A mixer valve of the single lever type incorporating means for avoiding pressure surges during the final stage of lever movement in the valve closing direction
US6460825B1 (en) Adjustment for piston-style flush valve
CN114087307A (zh) 一种扭矩可调节的阻尼器
JPH11244737A (ja) 手動噴霧機
KR20090093955A (ko) 유체 레벨 제어 밸브
US6923426B1 (en) Relief valve for use in a diaphragm flush valve
US20050161625A1 (en) Adjustable metering actuator assembly for a water closet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