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227Y1 - 하체 고정용 벨트 - Google Patents

하체 고정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227Y1
KR200307227Y1 KR20-2002-0037414U KR20020037414U KR200307227Y1 KR 200307227 Y1 KR200307227 Y1 KR 200307227Y1 KR 20020037414 U KR20020037414 U KR 20020037414U KR 200307227 Y1 KR200307227 Y1 KR 200307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inding
lower body
hook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20-2002-0037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9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여행 등의 이유로 장시간 좌석에 착석하여 있는 경우, 안정적인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다리와 허리의 근육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소정 폭과 두께를 가지며, 탄력성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양단을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기재와; 상기 결속기재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의 길이 조정기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착석자세에서 대퇴부를 고정시켜 쉽게 가장 안정적인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의자 또는 좌석에 착석해 있어야 하는 경우, 허리에 부여되는 하중을 줄임과 아울러 다리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다리를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벌려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체 고정용 벨트{FIXING BELT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본 고안은 하체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좌석에 탑승하여 여행을 하는 경우, 착석 자세를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여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옆 좌석의 탑승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하체 고정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버스, 시외버스 또는 비행기를 이용하여 장시간 여행을 하는 경우,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보다 안전한 여행이 될 수 있도록 각 버스나 비행기의 좌석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안전벨트는 좌석에 필수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탑승자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안전벨트는 충돌, 급정차 등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수단이며, 이는 착석 자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장시간 버스 또는 비행기를 이용하여 여행을 하는 경우에는 좁은 좌석에 앉아있는 상태로 여행을 하기 때문에 다리가 불편하고, 심한 경우에는 통증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는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서 나타나는 현상이기는 하지만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착석한 상태를 유지하면, 그 피로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좌석에 앉아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는 무의식 적으로 다리를 벌리고앉거나, 일측 방향으로 몰리게 되는 경우가 있어, 옆 좌석에 착석한 다른 탑승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은 운송수단의 좌석에 탑승하였을 때, 탑승자의 하체를 고정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장 안정적인 착석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가 수면을 취할 때, 다리가 벌어지거나 기타의 이유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체 고정용 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직 등 부드럽고 탄력이 있는 재질의 띠를 착탈 가능한 수단을 사용하여 대퇴부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 가능한 수단에 띠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장 안정적인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두 다리의 벌어짐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띠는 5∼6㎝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일실시예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버클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사용예도.
도 7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사용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띠 11 : 고리 걸림부
12 : 길이 조정부 13 : 고리부
14 : 걸림구 15 : 유동 고정구
16, 17 : 띠 삽입구 18,19 : 봉제부
20, 30 : 버클 21 : 채결구
22 : 착탈 버튼 31 : 고정구
32, 33 : 채결 및 조정구 50, 60 : 벨크로 테이프
70 : 사용자 80 : 좌석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A-A'방향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에 두를 수 있는 띠(10)와, 그 띠(10)의 일측 단에 고정 연결된 고리 걸림부(11)와; 상기 띠의 타측 단에 고정되며, 그 띠(10)의 일단이 그 삽입방향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환되어 삽입되는 두 개의 띠 삽입구(16, 17)를 가지는 길이 조정부(12)와; 상기 길이 조정부(12)에 의해 조정된 띠의 타측 끝단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리 걸림부(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리부(13)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 걸림부(11), 길이 조정부(12), 고리부(13)는 각각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을 그 재질로 하며, 그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띠(10)의 재질은 모직 또는 면이며, 그 폭은 5∼6㎝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가 띠(10)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고리 걸림부(11)의 걸림구(14)에 고리부(13)의 고리를 삽입한다.
상기 구조에서 고리부(13)의 고리는 길이 조정부(12) 측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퇴부에 띠(10)를 착용하는 경우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띠(10)의 외측이므로 그 고리부(13)와 고리 걸림부(11)는 쉽게 풀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도 2에서 도면 부호 18과 19는 각각 봉제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띠(10)의 양 끝단을 각각 고리 걸림부(11)와 길이 조정부(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 조정부(12)는 띠(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길이 조정부(12)와 고리부(13) 사이의 띠(10)의 길이는 변하게 된다.
즉, 상기 고리부(13)에는 상기 길이 조정부(12)에 의해 길이가 조정된 띠(10)의 중앙부가 삽입되어지는 유동 고정구(15)를 가지며, 그 유동 고정구(15)는 띠(10)와 고정 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조정부(12)를 이용하여 띠(10)의 길이를 조정하게 되면, 그 유동 고정구(15)에 삽입되어지는 띠(10)의 위치는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상의 특징에 의해 상기 조정부(12)와 고리부(13) 사이의 띠(10)는 이중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길이 조정부(12)와 고리부(13) 사이에 위치하는 띠(10)의 길이가 길어지면 전체 띠(10)의 길이는 짧아지며, 반대로 길이 조정부(12)와 고리부(13) 사이에 위치하는 띠(10)의 길이가 짧아지면 전체 띠(1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에 두를 수 있는 띠(10)와, 상기 띠(10)의 양측단 각각에 연결되어 그 띠(10)의 양측 단을 연결할 수 있는 버클(20, 30)로 구성된다.
이때, 일측 버클(30)에는 띠(10)의 일부를 접어 넣어 전체 띠(1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버클(20,3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으며, 색상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띠(10)의 양단을 용이하게 채결/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면,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띠(10)는 그 폭이 5∼6㎝이며, 재질은 모직 등의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그 길이는 체형에 따라 조절함이 가능하도록 여유를 둔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버클(20,30)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구조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20)은 버클(30)의 일부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채결구(21)를 가지는 암 버클(20)이다.
또한, 그 버클(20)의 채결구(21) 내에는 버클(30)의 일부가 삽입되었을 때, 그 버클(30)의 고정구(31)에 걸려 그 버클(3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버클(30)이 버클(20)에 삽입되면 그 고정구(31)에 고정부가 삽입되어 짐으로써, 채결된 띠(1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채결된 버클(20, 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그 버클(20)에 구비된 착탈 버튼(22)을 눌러 상기 고정부를 고정구(31)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버클(20, 30)에는 띠(10)를 결속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버클(30)에는 띠(10)의 일측 단을 결속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띠(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결속 및 조정구(32, 33)를 가진다.
이와 같이 결속 및 조정구(32, 33) 중 버클(20)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결속 및 조정구(32)에 길이 띠(10)의 일측 단을 삽입하고, 그 삽입방향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띠(10)의 일측 단을 다른 결속 및 조정구(33)에 삽입하면, 쉽게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10)의 일 끝단 끝부분의 내측에 벨크로 테이프(50)가 접착되어 있으며, 띠(10)의 타측 단의 외측에도 벨크로 테이프(60)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60)는 착용시 띠(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그 띠(10)의 외주면을 따라서 길게 위치하며, 벨크로 테이프(50)가 벨크로 테이프(60)에 접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띠(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5의 예에서도 띠(10)는 모직 또는 면 등의 부드러운 천으로 만들 수 있으며, 기타 응용이 가능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도 1, 도 3 및 도 5에서에서 언급한 하체 고정용 벨트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이며, 그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이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은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띠(10)와, 띠(10)의 양단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띠(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길이 조정수단을 가져, 사람의 대퇴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그 구성적 차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의 사용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70)가 좌석(80)에 착석한 상태에서 무릎의 위쪽 대퇴부에 하체 고정용 벨트(10)를 착용한다.
이처럼 대퇴부에 하체 고정용 벨트(10)를 착용하면, 자세가 안정되며 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힘이 적게 들어간다.
이는 오래 앉아 있어도 다리가 피곤하지 않은 상태를 쉽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버스나 비행기를 타고 오랜 시간 동안 좌석에 앉아 있으면 다리가 쉽게 피곤해 지지만, 가장 안정된 자세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다리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좌석(80)에 착석한 사용자(70)의 대퇴부 부분을 위에서 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70)의 다리는 약 30°정도 벌어져 있으며, 이와 같이 가장 안정된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리 사이의 내각은 발이 사용자(70)의 어께 넓이만큼 벌어진 상태의 각도이며, 사용자(70)의 체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좌석(80)에 착석할 때 가장 안정적이고 피로도가 덜한 자세는 양 무릎을 모은 상태이며, 이와 같은 착석자세를 취하기 위해서는 그 띠의 길이를 줄어 양 무릎이 모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좌석(80)에 착석한 사용자(70)의 자세가 불안정하면 서있을 때보다 더 큰 하중이 허리에 실리게 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좌석(80)에 착석했을 경우 가장 안정적인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 사용자(70)의 허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스크 등의 허리 질환이 있는 사용자(70)들이 사용하는 경우 허리의 하중을 최소화하는 안정적인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는 두 다리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옆 좌석의 탑승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70)가 좌석(80)에 앉아서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거나, 무의식 적으로 다리를 벌려 옆 좌석의 탑승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70)가 좌석(80)에 앉아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70)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다리를 벌려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다리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기 때문에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하체 고정용 벨트는 사용자가 쉽게 가장 안정적인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랜 시간 동안 의자 또는 좌석에 착석해 있어야 하는 경우, 허리에 부여되는 하중을 줄임과 아울러 다리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다리를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벌려 옆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소정 폭과 두께를 가지며, 탄력성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일측 단에 고정 부착되며, 결속구를 가지는 제1결속부와;
    상기 띠의 타측 단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띠의 타측단측을 상기 제1결속부에 결속할 수 있는 제2결속부와;
    상기 띠의 타측 단에 고정 부착되며, 제 1 및 제 2조정구를 구비하여 상기 띠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길이 조정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는 일측이 띠의 일측 단 끝에 고정되며, 고리를 걸 수 있는 고리 걸이 구를 제공하며, 제2결속부는 상기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띠의 타측 끝단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고리 걸이 구에 삽입 고정되는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는 암 버클이며, 제2결속부는 상기 암 버클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고정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후단에 2개의 길이 조정구를 구비하여 길이 조정부의 기능도 함께 하는 수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와 제2결속부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5.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탄력성을 가지는 띠와;
    상기 띠의 일측 끝단의 외주면에 그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부착된 제1벨크로 테이프와;
    상기 띠의 타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에 부착되어 띠를 대퇴부에 둘렀을 때 상기 제1벨크로 테이프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 테이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띠는 모직 또는 면이며, 그 폭이 5~6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고정용 벨트.
KR20-2002-0037414U 2002-12-16 2002-12-16 하체 고정용 벨트 KR200307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14U KR200307227Y1 (ko) 2002-12-16 2002-12-16 하체 고정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414U KR200307227Y1 (ko) 2002-12-16 2002-12-16 하체 고정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227Y1 true KR200307227Y1 (ko) 2003-03-12

Family

ID=4940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414U KR200307227Y1 (ko) 2002-12-16 2002-12-16 하체 고정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2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3184A (en) Back support with knee and foot engaging straps
US4898185A (en) Back traction device for use with chairs
GB2248763A (en) Restraining device for persons
US4815639A (en) Infant carrier
JP2017525448A (ja) 支持装置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4571000A (en) Vest type restraining garment
US5895366A (en) Hip and knee abductor with air bladder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US4132229A (en) Safety belt for restraining bed patients
US6213967B1 (en) Neck supporting device
EP1080710A2 (en) Holding device for fastening a support cushion to one's back
US5669671A (en) Support harness for a person seated in a chair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102331093B1 (ko)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200307227Y1 (ko) 하체 고정용 벨트
US6135973A (en) Neck supporting device
KR20160035495A (ko) 아기띠
US4073290A (en) Pelvic traction belt
JPH08183424A (ja) 自動車用の補助ベルト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JP3987481B2 (ja) 車椅子用プロテクタ
JP2008023061A (ja) 座位保持具
JP3137652U (ja) 子守帯
AU632084B2 (en) Back support with integral carry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