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951Y1 -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 Google Patents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951Y1
KR200306951Y1 KR20-2002-0035919U KR20020035919U KR200306951Y1 KR 200306951 Y1 KR200306951 Y1 KR 200306951Y1 KR 20020035919 U KR20020035919 U KR 20020035919U KR 200306951 Y1 KR200306951 Y1 KR 200306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lder member
locking
piece
perf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리트
Priority to KR20-2002-0035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87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on a deskto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의 양측에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이 연결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 천공날의 천공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천공 간격 조절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되, 상기 천공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 형성된 수용수단; 및 상기 수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의 조작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 영역의 수용수단에 편심되게 천공날이 삽입된 홀더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천공 간격 조절시에는 수용수단으로부터 천공날이 삽입된 홀더부재를 간편하게 이탈시킨 다음, 홀더부재의 방향을 바꾸어 삽입시키면, 천공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사물실 등에서 천공 작업시 작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EASY PUNCHING GAP CONTROL PUNCHING MACHINE}
본 고안은 천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공기의 천공날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천공간격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공기는 서류등을 보관하거나 제본을 하기 위해 구멍을 뚫기 위한 기기이다.
이러한 천공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천공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천공기는 몸체(100) 양측에 한쌍의 이동로(200)(210)가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축(300)(310)은 손잡이(700)의 조작에 의해 이동로(200)(2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저면에는 천공날(400)이 삽입되는 고정삽입공(320)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에는 고정나사(500)가 삽입되는 나사공(340)이 고정삽입공(320)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연결대(6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축(300)(310)의 고정삽입공(320)은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되어 천공날(400)이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천공기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천공기 천공날(4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연결대(600)를 이동축(300)(31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동로(200)(210)에서 이동축(300)(310)을 이탈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축(300)(310)의 고정삽입공(320)에 편심되게 삽입된 천공날(400)의 방향이 바뀌도록 이동축(300)(310)을 회전시킨 다음, 다시 이동로(200)(210)에 이동축(300)(310)을 삽입후, 연결대(600)로써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천공기는 사용시, 즉 천공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축을 이동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동축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이동로에 삽입해서 사용해야 함으로써 분해 및 조립이 힘이 들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천공기의 천공날 간격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몸체부의 양측에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이 연결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영역에 천공날의 천공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천공 간격 조절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되, 상기 천공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 형성된 수용수단; 및 상기 수용수단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천공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의 분햐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1 : 이동축 50 : 천공날
60 : 천공 간격 조절장치 62 : 수평장공
63 : 걸림편 64 : 단차홈
65 : 걸림턱 66 : 수평회동홈
68 : 수평걸림홈 70 : 홀더부재
72 : 수평편 72a : 삽입공
72b : 밀착홈 74 : 수직편
76 : 마감편 80 : 잠금부재
82 : 걸림부 84 : 파지부
A : 수용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공기(1)는 베이스부(5), 몸체부(10) 및 이동축(30)(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5)는 장방향의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천공하자 하는 문서 등이 안착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베이스부(5) 상부 일측에 입설되고, 양측에 이동로(20)(21)가 수직으로 형성되고, 양단으로는 이동축(30)(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손잡이부(40)가 축설된다.
상기 이동축(30)(31)은 손잡이부(40)의 조작에 의해 이동로(20)(2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연결대(7)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이동축(30)(31)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는 천공날(50)의 천공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장치(6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천공 간격 조절장치(60)는 이동축(30)(31)의 저면에 형성된 수평장공(62), 수평장공(62)과 연통되게 전면 영역에 형성된 단차홈(64), 단차홈(64) 상부에 형성된 수평회동홈(66), 수평회동홈(66) 상부에 형성된 수평걸림홈(68)으로 이루어진 수용수단(A); 및 수용수단(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부재(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축(30)(31) 전면의 수용수단(A) 영역에는 홀더부재(7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홈(90)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차홈(64) 내부에는 걸림편(63)이 구비되고, 수평회동홈(66) 내부의 상하 양측에는 걸림턱(6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재(70)는 천공날(5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72a)이 형성된 수평편(72)과, 수평편(72)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잠금부재(80)가 축설된 수직편(74)과, 수직편(74) 상부 중앙 영역에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평편(72)의 삽입공(72a)은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각각 형성되어 천공날(50)이 편심지게 삽입된다. 그리고, 수평편(72)과 천공날(50)의 상부는 단차홈(64)에 삽입되고, 천공날(50)의 하부는 수평장공(62)에 삽입된다.
상기 잠금부재(80)는 수직편(74)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82)와, 걸림부(82)에 고정되는 파지부(84)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부(82)가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에 걸리게 되면, 홀더부재(70)가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걸림턱(65)으로부터 이탈되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편(72)의 선단에는 밀착홈(72b)이 형성되어 단차홈(64) 내부의 걸림편(63)에 걸리게 됨으로써 홀더부재(70)의 탈착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되는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7.5cm이고, 수평편(72)의 삽입공(72a)에 삽입된 천공날(50)의 중심부는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로부터 0.25cm 외측에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천공기(1)의 천공 간격은 7~8cm가 표준으로 제시되는 데, 이러한 표준 천공 간격인 7cm로 천공하기 위해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홀더부재(70)의 수직편(72)에 편심되게 형성된 삽입공(72a) 내부에 천공날(50)을 편심되게 삽입시킨 다음, 수용수단(A)인 수평장공(62), 단차홈(64), 수평회동홈(66), 수평걸림홈(68)을 통하여 천공날(50)이 내측으로 각각 위치도록 홀더부재(70)를 삽입시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잠금부재(80)의 파지부(84)를 타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잠금부재(80)의 걸림부(82)가 타측으로 회전되어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에 걸리게 됨으로써 홀더부재(7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수평편(74) 및 보강편(76)이 안착홈(90) 내부에 밀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7.5cm이고, 수평편(72)의 삽입공(72a)에 삽입된 천공날(50)의 중심부는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로부터 0.25cm 내측에 위치된 것이다.
따라서, 천공날(50)의 천공 간격은 7cm가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천공날(50)의 하부는 수평장공(62)의 우측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5b에서와 같이 표준 천공 간격인 8cm로 천공하기 위해서는 잠금부재(80)의 파지부(84)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잠금부재(80)의 걸림부(82)가 일측으로 회전되어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수평편(72) 선단의 밀착홈(72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단차홈(64) 내부의 걸림편(63)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이 해제됨으로써 홀더부재(70)가 수용수단(A)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걸림편(63)의 복원력으로써 수평장공(62), 단차홈(64), 수평회동홈(66), 수평걸림홈(68)으로부터 홀더부재(70)가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장공(62), 단차홈(64), 수평회동홈(66), 수평걸림홈(68)으로부터 홀더부재(70)를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홀더부재(70)의 위치를 바꿔 수용수단(A)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즉, 홀더부재(70)의 천공날(50)이 외측으로 각각 위치되도록 홀더부재(70)를 수용수단(A) 내부에 삽입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잠금부재(80)의 파지부(84)를 타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잠금부재(80)의 걸림부(82)가 타측으로 회전되어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에 걸리게 됨으로써 홀더부재(70)의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 사이의 간격은 7.5cm이고, 수평편(72)의 삽입공(72a)에 삽입된 천공날(50)의 중심부는 홀더부재(70)의 수평편(72) 중심부로부터 0.25cm 외측에 각각 위치되어 전체 길이가 0.5cm가 길어된다.
따라서, 천공날(50)의 천공 간격은 8cm가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천공날(50)의 하부는 수평장공(62)의 좌측으로 위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의 조작으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의 저면과 전면 영역의 수용수단에 편심되게 천공날이 삽입된 홀더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천공 간격 조절시에는 수용수단으로부터 천공날이 삽입된 홀더부재를 간편하게 이탈시킨 다음, 홀더부재의 방향을 바꾸어 삽입시키면, 천공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이동축을 이동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동축의 방향을 바꾸어 다시 이동로에 삽입해서 사용해야 하는 번그러움을 일거에 해소하게 됨으로써 사물실 등에서 천공 작업시 작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몸체부의 양측에 이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에 삽입되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축이 연결대에 의해 고정되는 천공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30)(31)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 천공날(50)의 천공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천공 간격 조절장치(60)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되,
    상기 천공 간격 조절장치(60)는,
    상기 이동축(30)(31)의 저면과 전면 영역에 형성된 수용수단(A); 및
    상기 수용수단(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더부재(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의 천공 간격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A)은
    상기 이동축(30)(31) 저면에 형성된 수평장공(62);
    상기 수평장공(62)과 연통되게 전면 영역에 형성되고, 내부에 걸림편(63)이형성된 단차홈(64);
    상기 단차홈(64) 상부에 형성되고, 상하 양측에 걸림턱(65)이 형성된 수평회동홈(66); 및
    상기 수평회동홈(66) 상부에 형성된 수평걸림홈(68);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의 천공 간격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70)는
    상기 천공날(50)의 상부가 삽입되는 삽입공(72a)이 편심되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걸림편(63)에 밀착되는 밀착홈(72b)이 형성된 수평편(72);
    상기 수평편(72)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잠금부재(80)가 축설된 수직편(74); 및
    상기 수직편(74) 상부 중앙 영역에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76);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의 천공 간격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80)는
    상기 수직편(74) 내측에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수평회동홈(66)의 걸림턱(65)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82)와,
    상기 걸림부(82)에 고정되는 파지부(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기의 천공 간격 조절장치.
KR20-2002-0035919U 2002-12-02 2002-12-02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KR200306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19U KR200306951Y1 (ko) 2002-12-02 2002-12-02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919U KR200306951Y1 (ko) 2002-12-02 2002-12-02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951Y1 true KR200306951Y1 (ko) 2003-03-11

Family

ID=4940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919U KR200306951Y1 (ko) 2002-12-02 2002-12-02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9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409A2 (ko) * 2008-05-19 2009-11-26 주식회사 에스피씨 사무용 펀치
KR101802145B1 (ko) * 2015-11-05 2017-11-28 조남덕 사용이 편리한 분철기구
CN117359719A (zh) * 2023-11-23 2024-01-09 江苏荣生电子有限公司 一种高比容电极箔生产用扩孔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409A2 (ko) * 2008-05-19 2009-11-26 주식회사 에스피씨 사무용 펀치
WO2009142409A3 (ko) * 2008-05-19 2010-03-18 주식회사 에스피씨 사무용 펀치
KR100985185B1 (ko) * 2008-05-19 2010-10-05 주식회사 에스 피 씨 사무용 펀치
KR101802145B1 (ko) * 2015-11-05 2017-11-28 조남덕 사용이 편리한 분철기구
CN117359719A (zh) * 2023-11-23 2024-01-09 江苏荣生电子有限公司 一种高比容电极箔生产用扩孔设备
CN117359719B (zh) * 2023-11-23 2024-04-26 江苏荣生电子有限公司 一种高比容电极箔生产用扩孔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59117B2 (ja) 2穴パンチホツチキス
KR200306951Y1 (ko) 천공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JP2006149445A (ja) 往復式電気かみそり
KR100797511B1 (ko) 펀칭장치
CN211137256U (zh) 一种裁纸机的换刀装置
US20070234866A1 (en) Punch with adjustable punch pad
JP3101338U (ja) 名刺カッター
KR100750866B1 (ko) 펀칭장치
JP2649146B2 (ja) パンチ
JP5223106B2 (ja) 穿孔装置
KR200310406Y1 (ko) 천공구멍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펀칭기
JP5176141B2 (ja) 穿孔装置
KR200396327Y1 (ko) 도배용 칼
JP3601992B2 (ja) 穿孔器
US20170225342A1 (en) Electric shaver
JP2005144649A (ja) 壁孔穿孔器
CN217124344U (zh) 一种切纸机构及具有该切纸机构的打印机
ES2243810T3 (es) Perforadora.
KR19990014679U (ko) 천공구멍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천공기
CN212601967U (zh) 一种限位梳可调节的理发剪
JP2503208Y2 (ja) 両面開先取り機
JP2005186273A (ja) 孔明け装置
JP5223107B2 (ja) 穿孔装置
JP2001025999A (ja) 回動型多穴多用途パンチ並びに同器の軽操作及び紙しわ防止装置。
JP3505702B2 (ja) 折曲筋作成用溝付受材の面取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