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925Y1 -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925Y1
KR200306925Y1 KR20-2002-0034857U KR20020034857U KR200306925Y1 KR 200306925 Y1 KR200306925 Y1 KR 200306925Y1 KR 20020034857 U KR20020034857 U KR 20020034857U KR 200306925 Y1 KR200306925 Y1 KR 200306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bridge
horizonta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임만
Original Assignee
김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임만 filed Critical 김임만
Priority to KR20-2002-003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수상에 설치되어 선박 접안용으로 이용되는 부잔교가 개시된다. 부잔교는 수상에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까지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갖되 FRP소재로 형성된 하우징과, 부력을 높이기 위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우징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구비한다. 이러한 부잔교에 의하면, 수면과 직접대하는 부유체의 하우징이 FRP소재로 형성됨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며 일부셀의 파손에 의한 누수에 의해서도 부유력의 변동이 적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내부셀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어 보수의 용이성 및 일부를 수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잔교{Floating Pier}
본 고안은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높이고 및 수리가 용이한 구조의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선박의 접안 및 하역용으로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잔교는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잔교는 수면과 대하는 외부의 하우징이 철판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부식에 따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식된 철판으로부터 수상으로 이탈되는 산화철은 해양을 오염시키는 환경상의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부잔교는 하우징에 콘크리이트로 상판을 완전 밀폐되게 형성함으로써, 하부에 부분적인 파손이 생겼을 때 누수에 의한 침몰의 위험이 있고,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이용한 수리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내구성을 높이고, 수리가 용이한 부잔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공간의 일부를 수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잔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유체의 A-A방향을 따라 절단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유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도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유체 110: 하우징
111: 완충부재 112: 상판
113: 골 121: 셀
115: 수평격벽 117: 수직격벽
141: 개폐판 142: 개구
170: 도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잔교는 수상에 설치되어 선박 접안용으로 이용되는 부잔교에 있어서, 수상에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까지 연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부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FRP소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저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홈형 골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판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셀로 구획하여 독립적인 폐공간을 형성하게 격자 형태로 설치된 수평 및 수직 격벽;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평 및 수직격벽은 FRP소재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상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평 및 수직격벽 사이에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상에 콘크리이트소재로 형성된 마감층;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잔교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잔교는 부유체(100)와, 부유체(100)를 호안(200)과 연결시켜 교통로를 제공하는 도교(170)를 구비한다.
부유체(100)는 사각 육방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선박 접안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띠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완충부재(111)가 복수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완충부재(111)는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일 예로서 고무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부유체(100) 하부에는 요홈형태의 골(113)이 일정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골(113)은 외부로부터 전파되는 파도의 충격량을 흡수하여 부유체(100)의 요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유체(100) 상부에는 접안되는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걸이기둥(131)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걸이기둥(131)은 밧줄을 걸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가 원기둥형 몸통에 비해 직경이 큰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이기둥(131)은 상판(112)에 볼트(미도시)로 결합하는 방식 등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부유체(100)는 부유능력을 높이기 위해 사각 내부공간을 갖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까지 연장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상부에 설치된 상판(112) 사이에 내부 공간이 밀폐되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유체(100)의 하우징(110) 저면 또는 측면에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누수에 의한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다수의 독립된 밀폐 셀을 갖도록 형성된다.
부유체(100)의 내부구조를 도 2의 A-A부분을 절단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유체(100)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격자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을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섬유강화 복합재료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소재로 형성된다. FRP소재는 주지된 바와같이 유리섬유(Fiber Glass)를 주보강재로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를 함침 가공한 복합구조재로서 알루미늄 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내식, 내열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반영구적인 소재로 매우 큰 강도를 지니고 있는 소재이다.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은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독립공간인 셀(121)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우징(110)내에 설치되어 있다.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은 방수용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은 FRP소재가 적용된다. 이 경우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은 하우징(11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을 적절한 결합제 예를 들면 에폭시 결합제로 결합처리한다.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 상부에는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에 의해 형성된 셀(121)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판(112)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판(112)은 하우징(110)과 수직 및 수평 격벽(115)(117)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셀(121) 중 대부분은 밀폐식으로 고정결합되고, 일부에 대해서는 수선 및/또는 수납용으로 이용하기 위해 셀(1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판 구조의 또 다른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판 구조가 적용된 부유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폐판을 생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판(145)은 제1플레이트(145a) 및 마감층(145b)을 갖는다.
제1플레이트(145a)는 수평 및 수직 격벽(115)(117)과 직접결합되고, 마감층(145b)은 제1플레이트(145a)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플레이트(145a)상에 일부 셀과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142)는 대응되는 마감층(145b) 까지 연통되게 단차져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분은 개폐판(141)의 지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판(141)은 제1플레이트(145a)로부터 마감층(145b)까지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14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마감층(145b)은 미끄럼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적절한 거칠기를 갖고 내부식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마감층(145b)는 콘크리이트 소재로 형성된다.
상판(145)에 형성된 개구(142)에 대한 개폐판(141)의 개폐방식은 개구(142)를 단순히 덮는 형태의 덮개방식, 또는 개구(141)의 일측벽에 대해 회동될 수 있는 힌지결합방식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구(142)와 개폐판(145) 사이에는 밀폐용 실링부재 예를 들면 고무링 등이 개구(142) 주위를 따라 개폐판(141)에 의해 밀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참조부호 141a는 개폐판(141)손잡이 이다. 도면에서는 시각적으로 잘 표시되기 위해 손잡이(141a) 부분이 개폐판(141) 상부로 돌출되게 도시하였고,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41a) 부분이 마감층(145b)의 상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손잡이(141a) 부분이 개폐판(141)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방식의 일 예로서는 손잡이(141a) 부분이 개폐판(14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손잡이(141a) 부분이 개폐판(141)에 함몰 수용될 수 있는 대응되는 손잡이 수용홈(미도시)을 개폐판(141)에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개폐판(141)을 열고자 할 경우 손잡이(141a)를 손잡이 수용홈으로부터 들어올린 다음 손잡이 부재를 파쥐한 상태에서 개폐판(141)을 들어올리면 된다.
개폐판(141)에 대해 잠금장치 시설이 가능하도록 개폐판(141)과 상판(145) 각각에 잠금장치 시설용 고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유체(100)는 수상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제한되게 유동될 수 있게 호안 또는 해저에 대해 앵커(미도시) 또는 밧줄(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앵커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부유체에는 앵커와 결합된 체인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용 고리(미도시) 또는 그 밖의 걸이구(미도시)가 마련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부유체(100)와 호안(200)을 연결하는 도교(170)에 대해 설명한다.
도교는 부유체의 승하강에 연동되어 육지와 부유체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는 통상적인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교(170)는 앵글(171), 베이스 플레이트(172), 회동판(179), 난간(174)(175) 및 결합부를 구비한다.
앵글(171)은 도교(1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의 단면형상이 영문자 'I"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앵글(171)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FRP소재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72)는 앵글(171)에 결합되어 상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크기로 형성되어 다수가 앵글(171)에 결합부재인 볼트(173)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도 FRP소재로 형성된다.
회동판(179)은 상호 맞대게 연결 조립되어 상판을 제공하는 베이프 플레이트(172) 중 최 양단에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172) 또는 앵커(171)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판(179)은 수면의 높이 변동에 연동하는 앵커(171)의 회동에 대해서도 호안(200)의 단차진 상부 바닥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72)가 연장되게 연결시킴으로써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난간(174)(175)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상으로 설치된 수직봉(174)과, 도교(17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수직봉(174)과 결합된 수평봉(175)을 구비한다. 수직봉(174) 및 수평봉(175)은 금속소재 또는 FRP소재로 형성된다. 참조부호 는 172a는 베이스 플레이트(172)상에 형성된 난간 삽입고정용 홈이다.
결합부는 호안의 일 부분과 도교의 일 측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부는 회동 샤프트(177), 앵커(171)의 일단 저부에 형성된 제1샤프트 지지 수용부(176), 호안(200)의 단차진 부분에 설치되는 제2샤프트 지지부(178)를 구비한다.
제2샤프트 지지부(178)는 호안(200)의 단차진 부분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교(170)는 호안에 대한 수면 높이의 변동에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안정적인 교통로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교가 가설된 부잔교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해상에서 단독으로 부유체만 시설되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잔교에 의하면, 수면과 직접대하는 부유체의 하우징이 FRP소재로 형성됨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하며 일부셀의 파손에 의한 누수에 의해서도 부유력의 변동이 적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내부셀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어 보수의 용이성 및 일부를 수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들을 제공한다.

Claims (7)

  1. 수상에 설치되어 선박 접안용으로 이용되는 부잔교에 있어서,
    수상에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까지 연장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부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결합된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FRP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저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요홈형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판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셀로 구획하여 독립적인 폐공간을 형성하게 격자 형태로 설치된 수평 및 수직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격벽은 FRP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상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 격벽에 의해 형성된 셀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수평 및 수직격벽 사이에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상에 콘크리이트소재로 형성된 마감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FRP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잔교.
KR20-2002-0034857U 2002-11-21 2002-11-21 부잔교 KR200306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857U KR200306925Y1 (ko) 2002-11-21 2002-11-21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857U KR200306925Y1 (ko) 2002-11-21 2002-11-21 부잔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630A Division KR100424277B1 (ko) 2002-11-21 2002-11-21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925Y1 true KR200306925Y1 (ko) 2003-03-11

Family

ID=4940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857U KR200306925Y1 (ko) 2002-11-21 2002-11-21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9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66B1 (ko)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1291819B1 (ko) * 2011-04-27 2013-07-31 (주) 대 홍 선착장용 부잔교 승강장치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KR102391221B1 (ko) * 2021-07-15 2022-04-27 마린디벨로(주) 부잔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66B1 (ko) 2009-09-02 2010-10-01 (주)엠디 도교의 결합장치
KR101291819B1 (ko) * 2011-04-27 2013-07-31 (주) 대 홍 선착장용 부잔교 승강장치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KR102391221B1 (ko) * 2021-07-15 2022-04-27 마린디벨로(주)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740B1 (en) Underwater traffic tunnel
CN104321247B (zh) 一种环翼式浮式平台
MXPA04007209A (es) Aparato celular de cilindros verticales y metodo de construccion.
US6125780A (en) Floating barge-platform and method of assembly
WO2001056872A1 (en) Dynamically positioned semi-submersible drilling vessel with slender horizontal braces
EP2426045B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MX2008013283A (es) Monocolumna fpso.
KR100424277B1 (ko) 부잔교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KR20170106147A (ko) 연안 플로터 계류 시스템
WO2013167805A1 (en) Marine vessel
US8453588B2 (en) Float structure for storing liquids
KR200306925Y1 (ko) 부잔교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CN201816726U (zh) 一种浮式多功能避风港结构
TW201702124A (zh) 具有隨深度改變之水平截面之浮動支撐結構
KR102250159B1 (ko) 수상 태양광 설비용 부유식 구조물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CN107089304A (zh) 一种新型可抵抗飓风的海洋平台及使用方法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101301572B1 (ko) 선박 문풀의 파도 캐처 장치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315190B1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CN219406836U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浮筒组件以及海上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