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79Y1 - 조리용 강판 - Google Patents

조리용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79Y1
KR200306379Y1 KR20-2002-0037978U KR20020037978U KR200306379Y1 KR 200306379 Y1 KR200306379 Y1 KR 200306379Y1 KR 20020037978 U KR20020037978 U KR 20020037978U KR 200306379 Y1 KR200306379 Y1 KR 200306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ade
cooking
rotating plat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우
Original Assignee
신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우 filed Critical 신진우
Priority to KR20-2002-0037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 기구에 있어서 야채 등을 저미거나 채를 써는데 사용하는 조리용 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의 일측은 고정판(60)으로 구성하되 그 선단측 몸체(20)에는 고정칼날(65)을 가변 받침대(66)로써 체결하여 절삭각도 및 고정칼날(65)의 좌우 평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야채 등이 슬라이딩 되는 상판의 타측은 회전판(40)으로 구성하여 절삭두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조칼날(50)을 구비하여 채썰기가 가능한 한편 상기 보조칼날(50)의 칼날(56) 돌출길이를 최소한 짧게 하여 칼날(56)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저항이 최소화되어 작은 힘으로 그 사용이 가능한 조리용 강판(10)을 구성함으로써 절삭되는 야채의 두께 및 절삭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작은 힘으로도 절삭이 가능하며, 야채등이 강판(10) 붙지 않음과 아울러 작은 야채를 보다 안전하게 절삭하는 효과가 있는 조리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강판{A grater}
본 고안은 조리용 기구에 있어서 야채 등을 저미거나 채를 써는데 사용하는 조리용 강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삭각도 및 절삭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절삭저항을 최소화하여 작은 힘으로 그 사용이 가능한 조리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조리용 강판(이하 '강판'이라 함)에는 여러가지의 형태가 있으며 그 대표적인 강판(1)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야채 등이 슬라이딩 되는 미끄럼판(2)의 일측에 칼날(미도시) 또는 채썰기용 돌기(3)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칼날(미도시)과 채썰기용 돌기(3)는 일체형(도 1) 또는 착탈형(미도시)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강판(1)의 경우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사용하기에는 큰 문제가 없겠으나, 식당과 같이 그 사용이 빈번한 곳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는 바, 야채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칼날의 절삭각도를 조절함이 바람직하고(일반적으로 경질의 피절삭재일 경우 절삭각도를 크게하고 연질의 피절삭재일 경우 절삭각도를 작게한다) 요리의 특성에 따라 채의 두께를 달리 하여야 하지만, 상기 종래의 강판(1)에 의하면 칼날이 고정되어 절삭각도 및 절삭두께의 조절이 불가능하며, 채썰기용 돌기(3)는 야채를 절삭한다기 보다는 긁는 형태로서 절삭저항이 크므로 채의 단면이 거칠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힘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다른 강판(4)의 구성을 살펴보면, 몸체(5)의 상단에 상판(6a)(6b)을 양분하여 형성하되 일측 상판(6a)에는 고정칼날(7)을 형성하고 고정칼날(7)의 하측방 몸체(5)의 중간부에는 다수의 보조칼날(8)을 형성한 회전축(9)을 설치하여 상기 보조칼날(8)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의 경우 보조칼날(8)이 부착되는 회전축(9)이 절삭점과 상당히 이격됨에 따라 당근 등과 같이 딱딱한 야채의 절삭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보조칼날(8)을 두껍게 형성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각 보조칼날(8)의 두께에 의한 절삭저항이 크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힘을 많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채썰기의 경우 채의 폭을 조절할 수 없음과 아울러 고정칼날(7)의 절삭각도 및 야채의 절삭두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 또한 있었으며, 고정칼날(7)의 양측단이 상호 수평하지 않을 경우 고정칼날(7)의 좌측과 우측에서 절삭되는 야채의 두께가 서로 다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절삭각도 및 절삭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절삭저항을 최소화하여 작은 힘으로 야채를 저미거나 채를 만들수 있는 조리용 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판의 일측은 고정판으로 구성하되 그 선단측 몸체에는 고정칼날을 가변 받침대로써 체결하여 절삭각도 및 고정칼날의 좌우 평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야채 등이 슬라이딩 되는 상판의 타측은 회전판으로 구성하여 절삭두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조칼날을 구비하여 채썰기가 가능한 한편 상기 보조칼날의 칼날 돌출길이를 최소한 짧게 하여 칼날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저항이 최소화되어 작은 힘으로 그 사용이 가능한 조리용 강판을 구성한다.
도 1은 종래 조리용 강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리용 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회전판과 몸체를 분해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몸체를 분해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회전판을 분해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보조칼날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보조칼날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고정칼날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단면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안전덮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안전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판 20 : 몸체
22 : 토출구 23 : 거치대
24 : 회전판 받침대 25 : 가변 걸림구
28 : 걸림턱 30 : 높이조절 볼트
31 : 가이드 편 32 : 개구부
40 : 회전판 41 : 회전축
42 : 브라켓 44 : 보조칼날 받침대
50 : 보조칼날 51 : 블록
52 : 삽입공 53a, 53b : 타이로드
55 : 수지판 56 : 칼날
60 : 고정판 62 : 경사판
65 : 고정칼날 66 : 가변 받침대
70 : 안전덮개 71 : 슬라이더
72 : 프레임 74 : 누름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4 내지 도 14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이하 '강판'이라 함)의 구성은 크게 몸체(20)와 회전판(40) 및 고정판(60)으로 구성되며 이를 하기에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몸체(20)의 저면에는 가변 걸림구(25)를 형성하여 각종 크기가 다른 싱크대에도 강판(10)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몸체(20)의 상단을 양분하여 일측은 회전판(40)을 축결합하고 타측은 고정판(60)을 체결하는 바, 상기 회전판(40)의 일측단에는 회전축(41)을 형성하여 몸체(20)의 일측단에 너트로써 축결합하고 그 타측 선단부에는 보조칼날(50)을 장착하며, 고정판(60)은 몸체(20)의 타측 상단에 체결하되 고정판(60)의 일측선단에는 가변 받침대로써 몸체(20)에 체결되는 고정칼날(65)이 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10)을 몸체(20), 회전판(40), 고정판(60)으로 나누어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되 우선 몸체(20)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몸체(20)는 양측이 '┒┎'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서 회전판(40)이 체결되는 측의 양측종단에는 체결공(21)을 형성하여 회전판(40)의 회전축(41)을 너트로써 체결함과 아울러 저면에는 한 쌍의 장공(26)을 형성하여 가변 걸림구(25)를 체결하고, 내측 공간부에는 거치대(23)와 회전판 받침대(24)를 회전가능토록 몸체(20)의 양측에 체결하며, 절곡된 상부는 가이드 편(31)으로서 후술하는 안전덮개를 안내함과 아울러 개구부(32)를 형성하여 회전판의 개폐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고정판이 체결되는 측의 종단에는 걸림턱(28)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절삭된 야채를 토출하는 토출구(22)를 형성하는 한편, 몸체(20)의 중앙부 저면에는 암나사부(35)를 일체로 형성하여 높이조절 볼트(30)를 체결하되 상기 높이조절 볼트(30)의 종단은 회전판 받침대(24)의 저면과 접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33'은 가이드 편(31)의 종단에 부착하여 후술하는 안전덮개의 충격 및 소음을 완화하는 고무재질의 완충구(33)이고, '27'은 몸체(2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하는 다수의 걸림구(27)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회전판(40)의 구성을 살펴보면, 회전판(4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20)의 체결공에 양측단을 체결하는 회전축(41)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보조칼날 받침대(44)를 개폐가능토록 힌지결합함과 아울러 받침공(43)을 형성한 브라켓(4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보조칼날 받침대(44)에는 보조칼날(50)을 장착하되 체결볼트(45)로써 보조칼날 받침대(44)를 관통하여 회전판(4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 체결구(46)에 체결함으로써 보조칼날(50)을 장착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보조칼날(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블록(51)에 각각 복수개의 삽입공(52)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삽입공(52)에는 타이로드(53a)(53b)를 각각 삽입하여 그 양측종단을 너트(54)로써 체결하되 각 블록(51) 사이에는 칼날(56) 및 수지판(55)을 적층하여 보조칼날(50)을 구성하는 바, 상기 각 칼날(56)의 하단부는 일측 타이로드(53a)에 접하므로서 칼날(56) 상단부의 돌출 높이가 일률적으로 정렬되고, 칼날(56)의 두께 만큼 수지판(55)이 각 블록(51)사이의 공백을 보상하여 보조칼날(50)이 견고히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칼날(50)의 칼날(56)은 다수의 블록(51)에 의한 강한 가압력으로 견고히 고정되는 바, 상기 칼날(56)을 고정하는 블록(51)의 상단은 회전판(40)의 상측면과 동일평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즉, 칼날(56)의 돌출부 하측이 야채의 슬라이딩 선상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여 칼날(53)을 최소한 짧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칼날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고정판(60)의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판(60)은 회전판(40)이 축결합된 몸체(20)의 타측상단에 체결하며 일측선단에는 요홈(6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요홈(61)에는 얇은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경사판(62)의 일측을 일체로 부착하는 바, 상기 경사판(62)은 절삭된 야채가 고정판(60)의 저면에 붙지않고 자연스럽게 몸체(20)의 저면부에 형성된 토출구(22)로 배출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60)의 일측, 즉 경사판(62)이 부착된 고정판(60)의 일측면에는 고정칼날(65)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칼날(65)은 가변 받침대(66)로써 몸체(20)에 설치하는 바, 가변 받침대(66)는 몸체(20)의 내부 양측면에 각각 중심축(67)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토록 체결하여 고정칼날(65)의 절삭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가변 받침대(66)를 조정하여 고정칼날(65)의 좌우 평형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10)에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덮개(70)의 구성을 살펴보면, 몸체(20)의 양측 가이드 편(31)에 안착되어 전후로 이송하는 슬라이더(71)를 회전판(40)의 상측을 가로질러 형성하고, 야채가 투입되는 공간부(73)를 일측에 형성한 프레임(72)을 상기 슬라이더(71)의 상단에 형성하며, 프레임(72)의 공간부(73)에 투입된 야채를 가압하는 누름판(74)을 프레임(72)의 일측에 힌지결합하되 상기 누름판(74)의 저면에는 다수의 돌기(75)를 프레싱 성형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80'은 야채가 회전판(40) 및 고정판(60)의 상부에 밀착되어 붙는 것을 방지하는 부식층(80)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10)의 회전판(40) 및 고정판(60)의 상측면에 부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살펴보면, 보조칼날(50)에 형성된 칼날(56)의 돌출된 길이를 최소화하여 칼날(56)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 절삭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도 1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날의 돌출된 길이(4L)가 길수록 칼날이 고정된 하단부에 부가되는 하중이 배가되고 따라서 상기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칼날의 두께(4T)를 두껍게 형성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와 같이 칼날을 두껍게 형성할 경우 절삭저항(4R)이 배가되여 결과적으로 강판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절삭력(4F) 역시 배가되는 바, 본 고안에 따른 강판의 구성과 같이 칼날이 고정된 하단부가 야채가 슬라이딩 되는 회전판의 상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칼날의 돌출된 길이(L)를 최소한 짧게 구성하여 칼날의 두께(T)를 얇게 함으로써 절삭저항(R) 및 절삭력(F)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보조칼날(50)의 구성에 의하면, 각 칼날(56)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고, 블록(51)의 폭을 달리 형성한 다수의 보조칼날(50)을 구비하여 요리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폭을 갖는 보조칼날(5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칼날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형 보조칼날(미도시)을 형성하여 채썰기 이외에 야채를 저밀수 있으며, 보조칼날(50) 교체시 받침공(43)에 거치대(23)의 종단을 요입하여 보다 안전하게 보조칼날(50)의 교체가 가능함과 아울러 높이조절 볼트(30)로써 회전판 받침대(24)상에 거치된 회전판(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절삭하는 야채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도 8 내지 도 10).
또한, 고정칼날(65)이 가변 받침대(66)로써 회전가능하여 절삭하고자 하는 재료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절삭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칼날(65)의 좌우 평형을 조절할 수 있고, 회전판(40) 및 고정판(60)에 부가적으로 형성된 부식층(80)과 고정판(60)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판(62)에 의하여 야채가 강판(10)에 밀착되어 붙는 것을 방지한다(도 10, 도 11, 도 13).
한편, 몸체(2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28)과 다수의 걸림구(27) 및 가변 걸림구(25)에 의하여 다른 폭을 갖는 여러 싱크대의 종류에 관계없이 강판(10)을 거치할 수 있으며(도 11), 작은 야채는 안전덮개(70)로써 고정하여 절삭함으로써 손이 베는 등의 사고을 예방할 수 있다(도 12).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 강판에 의하면, 야채 등을 저미거나 채를 만듬에 있어서, 절삭되는 야채의 두께 및 절삭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보조칼날의 칼날 돌출길이를 최소화하여 칼날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절삭저항을 최소화하여 작은 힘으로도 절삭이 가능하며, 야채등이 회전판 및 고정판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밀착되어 붙지 않음과 아울러 작은 야채를 보다 안전하게 절삭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측단 양측면에는 체결공(21)을 형성하고, 타측 저면에는 토출구(22)를 형성하며, 중앙 저면에는 암나사부(35)를 형성하여 높이조절 볼트(30)를 체결하되 높이조절 볼트(30)의 종단이 저면에 접하도록 회전판 받침대(24)를 내부 양측면에 회전가능토록 체결한 몸체(20)와; 상기 체결공(21)에 체결되는 회전축(41)을 일측단에 형성하고, 보조칼날 받침대(44)가 힌지결합된 브라켓(42)을 저면에 형성하며, 회전판 받침대(24)상에 안착하는 회전판(40)과; 회전판(40)이 체결된 몸체(20)의 타측상단에 체결하는 고정판(60)과; 복수개의 삽입공(52)이 형성된 다수의 블록(51) 사이에 칼날(56) 및 수지판(55)을 적층하여 타이로드(53a)(53b)로써 일체로 체결하되 상기 각 칼날(56)의 하단부가 일측 타이로드(53a)에 접하도록 체결함과 아울러 칼날(56)의 상단돌출부 하측이 회전판(40)의 상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보조칼날 받침대(44)에 장착되는 보조칼날(50)과; 중심축(67)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토록 몸체(20)의 내측면에 체결하는 가변 받침대(66)의 상단에 체결하되 일측단이 고정판(60)의 일측선단과 접하는 고정칼날(6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0)의 저면에는 장공(26)을 형성하여 가변 걸림구(25)를 체결하고, 일측에는 걸림턱(28)을 형성하여 싱크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강판.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0)의 내부 양측에 거치대(23)를 회전가능토록 체결함과 아울러 회전판(40)의 브라켓(42) 저면에 받침공(43)을 형성하여 상기 거치대(23)의 종단을 받침공(43)에 요입함으로써 회전판(40)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강판.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칼날(65)과 접하는 고정판(60)의 일측선단에 요홈(61)을 형성하여 얇은 박판을 절곡한 경사판(62)의 일체로 부착함과 아울러 회전판(40) 및 고정판(60)의 상측면에 부식층(80)을 형성함으로써 야채가 강판(10)에 붙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강판.
  5. 제 1항에 있어서;
    몸체(20)의 양측부을 절곡하여 가이드 편(31)을 형성하되 그 일측단에는 완충구(33)를 부착하고; 아울러 상기 가이드 편(31)에 안착되어 전후로 이송하는 슬라이더(71)를 회전판(40)의 상측을 가로질러 형성하며, 공간부(73)를 일측에 형성한 프레임(72)을 상기 슬라이더(71)의 상단에 형성하며, 프레임(72)의 공간부(73)를 개폐하는 누름판(74)을 프레임(72)의 일측에 힌지결합한 안전덮개(7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강판.
KR20-2002-0037978U 2002-12-20 2002-12-20 조리용 강판 KR200306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78U KR200306379Y1 (ko) 2002-12-20 2002-12-20 조리용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978U KR200306379Y1 (ko) 2002-12-20 2002-12-20 조리용 강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98A Division KR20040055262A (ko) 2002-12-20 2002-12-20 조리용 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79Y1 true KR200306379Y1 (ko) 2003-03-07

Family

ID=4940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978U KR200306379Y1 (ko) 2002-12-20 2002-12-20 조리용 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818B1 (ko) 모따기 된 면을 가지는 부착부를 구비한 선삭용 분단블레이드
US4243184A (en) Cutting board
JP6159303B2 (ja) スライサー
US20050061168A1 (en) Die press
KR200306379Y1 (ko) 조리용 강판
CA2906757C (en) Slicer with adjustable slicing width
USD449875S1 (en) Combination sink cover and cutting board
US5802723A (en) Adjustable bow knife
KR20040055262A (ko) 조리용 강판
US7874549B2 (en) Cutting/chopping board including operator safety means
US6698328B1 (en) Mitre box
US20030067105A1 (en) Chopping board device and storage box for receiving chopping boards
RU2250161C2 (ru) Кухо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нарезани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US20060101972A1 (en) Multipurpose cutting apparatus
CN211194110U (zh) 一种厨房用面食切割刀具
US4776250A (en) Square for glass cutting
US20070119058A1 (en) Butter slicer and spreader
KR200343106Y1 (ko) 채칼
JP2002067002A (ja) 押挽き鋸
CN201295178Y (zh) 磁吸式刀架
CN215848442U (zh) 一种一体集成的食材切片器
JPH0135832Y2 (ko)
KR200352044Y1 (ko) 작두를 겸비한 칼과 도마
KR20180137163A (ko) 작두형 가로세로 썰기 기능을 가진 도마
KR200342950Y1 (ko) 조리용 식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