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297Y1 -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297Y1
KR200306297Y1 KR2019970008171U KR19970008171U KR200306297Y1 KR 200306297 Y1 KR200306297 Y1 KR 200306297Y1 KR 2019970008171 U KR2019970008171 U KR 2019970008171U KR 19970008171 U KR19970008171 U KR 19970008171U KR 200306297 Y1 KR200306297 Y1 KR 200306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controller
call attempt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33U (ko
Inventor
안민영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19970008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2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MA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무인 기지국에 단말기와 제어기를 설치하고, 이 설치된 단말기와 제어기를 통해 무인 기지국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위 시스템을 통해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인 기지국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기의 콜 시도 요구에 따라 콜을 시도하고,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상기 제어기로 보고하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로 콜 시도를 요구하고, 단말기(10)로부터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보고받아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위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어기(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기지국 자체에서 진단함에 따라 이상 상태 진단 시간은 물론 복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지국의 운용요원수를 줄여 기타 제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
본 고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통신시스템의 무인 기지국에 단말기와 제어기를 설치하고, 이 설치된 단말기와 제어기를 통해 무인 기지국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상위 시스템을 통해 즉각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한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단말기와 제어국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기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지국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와 진단 모니터(Diagnostic Monitor ; DM)를 구비하여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진단 모니터에 표시되는 단말기가 수신한 기지국의 상태를 종합하여 진단하였다.
또한, 가입자로부터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다"라는 민원을 접수한 후 운용요원을 파견하여 기지국의 이상 상태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조치를 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지국의 상태 진단은 이상 발생을 감지하여 조치를 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즉 운용요원을 파견하여 원인을 확인하고, 이어 기지국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복구하는 시간과 그에 소요되는 경비가 많이 들게 되고, 또한 이상 상태에서 정상적인 서비스 기능 상태까지의 불통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게 되어 많은 가입자들이 불편해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말기와 제어기를 무인 기지국에 설치하고, 이 설치된 단말기와 제어기를 통해 해당 기지국의 상태를 취합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위 시스템에 보고하여 즉각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불통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운용요원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제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20 : 제어기
21 :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22 : 제어부
23 : 시스템 인터페이스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는, 기지국내에 설치된 단말기가 제어기의 콜 시도 요구에 따라 콜을 시도하면서 이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제어기로 보고하면, 제어기는 보고된 결과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때 상위 시스템으로 이를 즉각 보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무인 기지국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기의 콜 시도 요구에 따라 콜을 시도하고,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상기 제어기로 보고하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로 콜 시도를 요구하고, 단말기(10)로부터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보고받아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위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어기(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단말기(10)와의 접속을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10)로 콜 시도를 요구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보고되는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 발생으로 기지국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이를 후술될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즉각 보고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와 상위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3)로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3)는 상위 시스템과 운용 환경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3)가 RS-422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상기 제어부(22)는 모토롤라사의 MC68302를 CPU로 사용하며, 각종 메모리류와 버퍼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는 단말기(10)에서 사용하는 RS-232 38.4Kbps의 UART를 사용한다.
즉,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는 제어부(22)로부터 콜 시도 요구가 있을 경우에 단말기(10)에서 단말기(1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는, 먼저 단말기(10)가 제어기(20)의 제어부(22)에서 요구하는 콜 시도에 따라 콜을 시도하고,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상기 제어기(20)의 제어부(22)로 보고한다.
그러면, 제어부(22)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보고되는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 상태가 있는지 없는지, 즉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판단 과정에서 기지국에 이상 상태 발생하여 기지국의 서비스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즉각 보고한다.
이후, 상위 시스템은 기지국의 이상 상태 원인을 자체 분석하여 기지국을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서 이루어지는 기지국의 상태 진단은, 주기적인 제어기(20)의 콜 시도 요구를 받은 단말기(10)가 콜을 시도하면서 이에 따른 성공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그 결과를 제어기(20)로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자체적으로 테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기지국 자체에서 진단함에 따라 이상 상태 진단 시간은 물론 복구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운용요원수를 줄여 기타 제반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민원이 있기 전에 기지국의 상태를 진단하고 조치함에 따라 유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인 기지국내에 설치되어 후술될 제어기의 콜 시도 요구에 따라 콜을 시도하고,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상기 제어기로 보고하는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로 콜 시도를 요구하고, 단말기(10)로부터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보고받아 이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위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어기(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기지국의 상태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20)는 상기 단말기(10)와의 접속을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10)로 콜 시도를 요구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단말기(10)로부터 보고되는 콜 시도에 따른 성공 여부 결과를 확인하여 기지국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태 발생으로 기지국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이를 후술될 시스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즉각 보고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와 상위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부(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기지 국의 상태 진단장치.
KR2019970008171U 1997-04-18 1997-04-18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KR200306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171U KR200306297Y1 (ko) 1997-04-18 1997-04-18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171U KR200306297Y1 (ko) 1997-04-18 1997-04-18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33U KR19980063633U (ko) 1998-11-25
KR200306297Y1 true KR200306297Y1 (ko) 2003-05-17

Family

ID=4940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171U KR200306297Y1 (ko) 1997-04-18 1997-04-18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2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565B1 (ko) * 2005-12-10 2006-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단말 모뎀 진단/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3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66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EP0474058A2 (en) Problem analysis of a node computer with assistance from a central site
EP04188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87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ebugging and system crash information from a mobile phone
KR200306297Y1 (ko) 무인기지국의상태진단장치
US6600811B1 (en) Emergency call monitor
JPS60178767A (ja) 通信装置
US47410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nalyzing telephone channel units, commands and responses
KR19980036953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장치
KR100259540B1 (ko) 주차설비의 원격감시 및 고장진단 처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0201817B1 (ko) 원격안전관리 시스템의 가입자 선로 시험 장치
JPH07203028A (ja) メンテナンス情報収集方式と、該方式を構成する保守センタ側端末装置及びユーザ側端末装置
KR0131978B1 (ko) 공통선 신호 방식의 신호 링크를 모니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19656A (ko) 건설 장비의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894193B2 (ja) 端末システム
KR200200798Y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기기 고장 진단 장치
KR100440058B1 (ko) 인터넷 게이트웨이 액세스 시스템의 상태 관리 방법
JP3272114B2 (ja) 分散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試験法
JP2628611B2 (ja) 遠隔監視装置
JPH0685942A (ja) 障害自動通知方式
KR200226150Y1 (ko) 자기진단기능이 구비된 더블유엘엘 단말기
KR20000008222A (ko) Cdma 시스템에서 통화선로 자동검증방법
KR100439370B1 (ko) 통합 액세스 장비의 유-링크 장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89234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diagnosing and reporting failures in network equipment
JPH0372727A (ja) Crp回線制御の二重化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