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211Y1 - 작물 다량 운반기 - Google Patents
작물 다량 운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6211Y1 KR200306211Y1 KR20-2002-0034604U KR20020034604U KR200306211Y1 KR 200306211 Y1 KR200306211 Y1 KR 200306211Y1 KR 20020034604 U KR20020034604 U KR 20020034604U KR 200306211 Y1 KR200306211 Y1 KR 2003062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orter
- handle
- height
- present
- loading 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A01D90/08—Loading means with bale-forming means additionally used for loading; with means for picking-up bales and transporting them into the vehicl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2—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with additional devices or imp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물 다량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작물 다량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과 후면에 각 한 쌍의 바퀴(111)가 설치된 운반기 본체(110);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적재링(120); 상기 적재링(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조임 볼트(130); 및 상기 운반기 본체(110) 상단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손잡이(1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작물 다량 운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작물 다량 운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와 같은 농가 생산 작물을 수확할 때에는, 한번에 많은 양을 집하장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손수레 형태의 운반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운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운반기 본체의 하부에 일륜 혹은 이륜이 설치되고, 운반기 본체의 상부에는 바구니를 안치시키는 적재링이 설치되며, 운반기 본체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딸기 등의 작물을 수확할 때 적재링에 작물이 담길 바구니를 끼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쪼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열매를 따서 바구니에 담으며 이동시 운반기를 밀면서 이동하여 계속적으로 열매를 수확하여 바구니에 수확한 열매가 가득 실리면 일어서서 손잡이를 잡고 운반기를 들어 집하장등로 옮기어 바구니에 담긴 열매를 모아 놓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기는,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의 높이와 손잡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신체조건에 맞지 않은 작업자가 사용할 경우 수확한 열매를 올려 놓거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당히 힘이 들고 번거로운 등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작물 다량 운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므로 작업자가 열매를 수확할 때 최적의 조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작물을 보다 신속하고 많이 수확할 수 있는 작물 다량 운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반기
110 : 운반기 본체
111,112 : 바퀴
120 : 적재링
121 : 중공 봉
130 : 조임 볼트
140 :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전면과 후면에 각 한 쌍의 바퀴가 설치된 운반기 본체와, 상기 운반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적재링과, 상기 적재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운반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조임볼트와, 상기 운반기 본체 상단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작물 다량 운반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 다량 운반기(100)의 구성은, 전면과 후면에 각 한 쌍의 바퀴(111)(112)가 설치된 운반기 본체(110)와,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적재링(120)과, 상기적재링(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조임 볼트(130)와, 상기 운반기 본체(110) 상단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손잡이(14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기 본체(110)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위치된 바퀴(111)(112)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다수의 적재링(1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적재링(120)은 그 중간에 중공봉(121)이 형성되고, 이 중공봉(121)이 운반기 본체(110) 상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운반기 적재링(120)의 일단에는 보조 손잡이(122)가 형성된다.
상기 적재링(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 즉 중공봉(121)에는 조임 볼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운반기 본체(110) 상단에는 손잡이(140)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너트(N)에 의해서 운반기 본체(110)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너트(N)를 풀거나 조여서 손잡이(1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앞뒤 바퀴(111)(112)가 작물고랑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바, 작업자는 적재링(120)에, 작물을 담아두는 바구니를 안착시키고, 보조 손잡이(122) 혹은 손잡이(140)를 잡고 운반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운반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손으로 잡고 이동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앉아서 보조 손잡이(122)를 잡고 밀어 줄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쪼그리고 앉아 움직일 때 한 손을 손잡이(140)에 지지하고 움직일 수 있어 작업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작물고랑은 그 특성상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것이 통상적인 바, 운반기(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는 바퀴의 폭이 좁아서 잘 넘어져 작물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바퀴(111)(112)가 앞뒤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중심잡기가 쉬고 잘 넘어지지 않는다.
또한, 작업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재링(120)과 손잡이(140)의 높이를 조절해야만 작업이 쉽고 보다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적재링(120)과 손잡이(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적재링(1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 볼트(130)를 풀고 적재링(120)을 적절히 높힌 상태에서 조임볼트(130)를 조이면 된다.
반대로, 적재링(12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도 조임 볼트(130)를 풀고 적재링(120)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다시 조이면 된다.
한편, 손잡이(14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너트(N)를 풀고 손잡이(140)를 왼쪽으로 돌리면 나사결합으로 인하여 손잡이(140)가 상승되고, 반대로 손잡이(140)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손잡이(140)가 하강하면서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40)의 높이가 적절하게 위치되면, 너트(N)를 다시조여서 손잡이(14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조건 혹은 작업장의 작업조건에 따라 적재링과 손잡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보다 많은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Claims (2)
- 전면과 후면에 각 한 쌍의 바퀴(111)(112)가 설치된 운반기 본체(110);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적재링(120);상기 적재링(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조임 볼트(130); 및상기 운반기 본체(110) 상단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손잡이(140)로 구성된 작물 다량 운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링(120)의 일단에 보조손잡이(1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다량 운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604U KR200306211Y1 (ko) | 2002-11-19 | 2002-11-19 | 작물 다량 운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4604U KR200306211Y1 (ko) | 2002-11-19 | 2002-11-19 | 작물 다량 운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6211Y1 true KR200306211Y1 (ko) | 2003-03-04 |
Family
ID=4940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4604U KR200306211Y1 (ko) | 2002-11-19 | 2002-11-19 | 작물 다량 운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6211Y1 (ko) |
-
2002
- 2002-11-19 KR KR20-2002-0034604U patent/KR2003062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835503A (en) | Garden tool cart | |
US5803181A (en) | Gardening equipment for looseing the soil | |
ATE407549T1 (de) | Erntegerät, insbesondere erntevorsatz für landwirtschaftliche erntemaschinen zum aufnehmen und weiterfördern von halmfrüchten | |
HU182487B (en) | Harvester particularly for getting in peas | |
US5207277A (en) | Agricultural harvester | |
US6282878B1 (en) | Produce catcher | |
US2960814A (en) | Supplemental lifting finger | |
KR200306211Y1 (ko) | 작물 다량 운반기 | |
EP0109324A1 (fr) | Machine pour la récolte du mais | |
US2790297A (en) | Hand rake with guard attachment | |
US4873788A (en) | Bracket assembly and plant leaf lifter and protector | |
ATE268105T1 (de) | Vorrichtung zum pflücken der fruchtstände stängeliger erntegüter | |
US5063728A (en) | Apparatus for mounting a row unit for lateral movement | |
CN209527072U (zh) | 一种畜牧可折叠铁锹 | |
JP5271037B2 (ja) | 自脱型コンバイン | |
US5761887A (en) | Platform attachment for lawn mower | |
KR200265743Y1 (ko) | 열매수확용 운반기 | |
JP3059604B2 (ja) | 野菜収穫機 | |
KR200230234Y1 (ko) | 농사용 다용도 운반기 | |
KR200345439Y1 (ko) | 딸기 수확 보조장치 | |
KR200283806Y1 (ko) | 작물 다량 운반기 | |
CN111587758B (zh) | 苗木拔除器 | |
CN211080063U (zh) | 一种两用齿耙 | |
US5632345A (en) | Rototiller skirt assembly | |
KR200292431Y1 (ko) | 농작물 수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