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728Y1 - 폐수 전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전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728Y1
KR200305728Y1 KR20-2002-0035825U KR20020035825U KR200305728Y1 KR 200305728 Y1 KR200305728 Y1 KR 200305728Y1 KR 20020035825 U KR20020035825 U KR 20020035825U KR 200305728 Y1 KR200305728 Y1 KR 200305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electrode plate
inlet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20-2002-003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Abstract

본 고안은 2차폐수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를 적게 들일 수 있는 폐수 전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투입구(10)를 갖는 유입부(12)가 형성되고, 폐수투입구(10)로 유입된 폐수가 전해처리되도록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이 병렬지게 복수개 형성되고,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해 전해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처리배출구(20)를 갖는 침전부(18)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수 전해처리장치{WASTE WATER ELECTROLYZ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폐수 전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폐수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처리시 거품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적게 들일 수 있는 폐수 전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 중 일부분은 주로 미생물이나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처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처리하기 어려운 난분해성 폐수들은 오존 처리법, 혐기성 산기 발효법(A-A/O시스템) 등의 전처리를 통해서 처리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수준은 못되는 실정이다.
또한, 난분해성 물질의 처리를 위하여 검증되지 않은 공법이나 선진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종래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단점은 C.O.D/B.O.D 농도의 편차가 심하여 관리 및 운용에 애로 사항이 있고, 1차 폐수처리 공정 후 2차 오염폐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수전해처리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2차 폐수가 발생되지 않으며, 작은 부지에서 반응속도가 빠르며 전력 소모가 작게 할 수 있는 폐수 전해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의 폐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폐수투입구 12: 유입부
16: 기포발생기 20: 처리배출구
18: 침전부 22: 음극판
24: 양극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투입구를 갖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폐수투입구로 유입된 폐수가 전해처리되도록 음극판 및 양극판이 병렬지게 복수개 형성되고, 음극판 및 양극판에 의해 전해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처리배출구를 갖는 침전부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외부의 폐수를 처리될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투입구(10)가 형성된다.
상기 폐수투입구(10)으로 유입된 폐수를 받아들이면서 과다한 공급을 피할 수 있도록 상부 유입식으로 형성된 유입부(12)가 형성된다.
폐수투입구(10)로 유입된 폐수가 전해처리되도록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이 병렬지게 복수개가 격벽지게 연이어져 형성된다.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해 전해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처리배출구(20)를 갖는 침전부(18)가 형성된다.
또한,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의 폐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단면이다.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는, 처리할 폐수를 일차적으로 폐수투입구(10)로 통해 유입부(12)로 공급시킨다.
상기 유입부(12)로 유입된 폐수는 하부측에 형성된 폐수투입구(10)로 유입된 후에 유입부(12)의 상부측으로 흘러 넘어간다.
상기와 같이 유입부(12)로 공급된 폐수는 서로 병력지게 복수개 형성된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해 전해처리가 골고루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어 처리된다.
이때에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해 처리된 폐수처리의 특징은 전해액의 체류시간 조절이 용이하고 물질 이동속도가 증대시킬 수 있고, 고농도의 유기물과 난 분해성 폐수 등이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상기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한 전해처리는 전해액의 체류시간 조절이 용이하고 물질이동 속도가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폐수투입구(10)으로 유입된 폐수를 받아들이면서 천천히 유입부(12)를 따라 유입시키는 것으로 유입부(12)은 폐수투입구(10)을 따라 하부측에서 유입되어 상부측으로 흘러 넘치게 형성되어 과다한 폐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입부(12)의 상부측으로 흘러 넘친 폐수는 하부측으로 천천히 가라앉으면서 이동된다. 즉 유입부(12)를 통해 하부측으로 흘러내리는 폐수는 전해처리시키기 위해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의 사이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진행방향으로 흘러내려간다.
상기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의 은 상하부측이 지그재그로 되도록 되어 있어 이동되는 폐수가 일정 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형성된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의 사이를 오르락 내리락 흐르면서 전해처리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폐수의 흐름를 길게 해주므로 전해처리시간을 늘려 처리 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처리장치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의 상하부측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6)이 형성되어 있어 폐수가 이동되면서 홈(26)을 지나쳐 흘러가기때문에 폐수의 접촉면적을 더욱 넓히고 있어 전해처리시 처리용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폐수 전해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폐수가 전극과의 접촉 단위 전해 조건당의 최대한 장시간 동안 골고루 발생시키도록 전극판의 상하부에 홈을 파서 처리하므로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폐수 전해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투입구(10)를 갖는 유입부(12)가 형성되고, 폐수투입구(10)로 유입된 폐수가 전해처리되도록 음극판(22) 및 양극판(24)이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형태로 병렬지게 복수개 형성되고, 음극판(22) 및 양극판(24)에 의해 전해처리된 처리수가 침전되면서 배출되도록 형성된 처리배출구(20)를 갖는 침전부(1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전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음극판(1) 및 양극판(24)의 상하부에 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전해처리장치.
KR20-2002-0035825U 2002-11-29 2002-11-29 폐수 전해처리장치 KR200305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25U KR200305728Y1 (ko) 2002-11-29 2002-11-29 폐수 전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25U KR200305728Y1 (ko) 2002-11-29 2002-11-29 폐수 전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728Y1 true KR200305728Y1 (ko) 2003-03-03

Family

ID=4940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25U KR200305728Y1 (ko) 2002-11-29 2002-11-29 폐수 전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7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716B1 (ko) 2009-10-13 2010-11-05 석상엽 접촉 비표면적을 증대시킨 유가금속 회수용 전해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716B1 (ko) 2009-10-13 2010-11-05 석상엽 접촉 비표면적을 증대시킨 유가금속 회수용 전해조
WO2011046332A3 (ko) * 2009-10-13 2011-09-01 Suk Sangyoup 접촉 비표면적을 증대시킨 유가금속 회수용 전해조
CN102575365A (zh) * 2009-10-13 2012-07-11 石尚烨 增大接触比表面积的有价金属回收用电解槽
CN102575365B (zh) * 2009-10-13 2015-11-25 石尚烨 增大接触比表面积的有价金属回收用电解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3314A (zh) 一种垃圾渗滤液的处理方法
KR101306980B1 (ko) 철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09890411U (zh) 一体化垃圾中转站渗滤液预混合电解气浮预处理装置
CN201971667U (zh) 用于有机废水处理的高压脉冲电凝设备
KR20090047641A (ko) 전기분해에 의한 폐수처리장치
CN212174534U (zh) 一种含油废水电解装置
CN105329990B (zh) 一种超声波强化电催化氧化处理反渗透浓水的装置及方法
KR200305728Y1 (ko) 폐수 전해처리장치
CN106882887A (zh) 用于重污染有机废水连续性预处理反应器
CN110228840B (zh) 一种电气浮废水处理系统及电气浮废水处理方法
KR20100052232A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510710A (zh) 电絮凝与电催化氧化一体化废水处理装置
CN111115923A (zh) 一种基于电絮凝技术的含油污水处理系统及方法
KR101369647B1 (ko) 연속식 전해 하폐수 처리 및 산화 장치
KR200305727Y1 (ko) 기포발생기를 갖는 폐수 전해처리장치
JP2005177681A (ja) 気泡発生装置及び電気浮上方法
CN214457451U (zh) 一种一体式ec-ao-mbr的水处理设备
CN205856074U (zh) 一种电解除磷装置
CN210945262U (zh) 一种化妆品生产废水处理系统
KR200305729Y1 (ko) 거품 제어를 위한 유기물 폐수 전해처리장치
CN111620414A (zh) 一种电化学水处理设备
JP4171440B2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KR20030068083A (ko) 스케일 제거수단이 구비된 폐수처리장치
KR20020097115A (ko) 로드네트를 이용한 고효율 폐수처리장치
CN21786823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强化除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