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697Y1 -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697Y1
KR200305697Y1 KR20-2002-0034409U KR20020034409U KR200305697Y1 KR 200305697 Y1 KR200305697 Y1 KR 200305697Y1 KR 20020034409 U KR20020034409 U KR 20020034409U KR 200305697 Y1 KR200305697 Y1 KR 200305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ic
water pipe
far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남진
Original Assignee
써니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써니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써니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4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의 수돗물을 정화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이 공급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석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형성하고 수도관에 설치 고정시키므로 깨끗하고 안전하며 냄새없는 수돗물을 사용함과 동시에 사람 및 가축이 먹었을 때 빨리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수도관, 고가 수조등을 통과한 피처리수의 수도관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수도관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수도관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수도관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위치고정수단을 상부에 구비한 좌,우케이스와, 상기 좌,우케이스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자석고정부에 고정되어 자극을 발산하는 다수개의 자석체와, 상기 자석체의 자극과 함께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수돗물이 정화처리되도록 좌,우케이스의 접촉면 내측부에 도포된 원적외선 도포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여 자석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수돗물 정화장치를 수도관에 결합하면, 수도관 내부가 녹스는 것을 방지하여 수도관의 수명을 장기화시킴은 물론 수돗물의 결정체를 6각수 모형의 결정체로 소생시키고 미립자화시켜 물맛을 좋게하고 수돗물의 냄새를 없애주어 음료수로의 사용이 안전하며, 다양한 크기의 수도관에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Water Improvement Apparatus Using Magnetism And For Infrared Ray}
본 고안은 수도관의 수돗물을 정화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이 공급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석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형성하고 수도관에 설치 고정시키므로 깨끗하고 안전하며 냄새없는 수돗물을 사용함과 동시에 사람 및 가축이 먹었을 때 빨리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에 내설되고 각 건물과 가정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은 노후되어 붉은 녹이나 스케일(scale) 및 슬라임(slime)이 발생되므로 수도관 노후화를 앞당기게 된다. 즉, 상기 노후된 수도관이 가져오는 누수, 관 파손은 수도관의 수명을 줄이고, 나아가서는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수도관 계통의 물의 삼대 장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수도관의 전면교환, 노후관의 세척, 방수제의 투입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 수법으로 전자장처리와 오존(ozone)발생장치등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법은 모두 큰 장치를 필요로 하고 이에 따른 비용의 부담도 막대하게 필요하게 되어 큰 사업소가 아니면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등이 있다.
즉, 수도관을 세척한다 해도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붉은 녹 등이 재 부착되고, 약제를 투입한다 해도 약제의 연속투입이 의무화되어 비용부담이 늘어나는 한편, 약제투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병도 예방 치료해야 하므로 이또한 권장할만한 수법이 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 계통의 장치를 사용하면 전기장치에 의한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따른 비용도 상당히 필요하게 되어 일반가정이나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이론을 응용하고 있는 자기발생에 의한 장치가 있으나, 영구자석과 피처리수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이또한 막대한 비용과 깨끗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돗물의 악화에 의하여 수질 환경은 한층 더 악화되어 염소제 투입양이 증가하게 되고, 화학약품처리방법에 의한 약제투입은 약제의 사용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를 내포하게 되며, 관 후생법의 경우에는 관내벽에 부착된 녹의 연마제거라는 크나큰 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노후관의 교체 공사에 의한 급수제한이 발생하게 되고, 수돗물을 사용하여 영업을 하는 사업장은 영업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자석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형성하고 수도관에 설치 고정시키므로 깨끗하고 안전하며 냄새없는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과정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발암성 물질이 극히 감소되므로 인체에 유해성을 극소화시켜주며 사람 및 가축이 본 고안 장치를 통과한 물을 먹었을때 체내에 빨리 흡수되도록 물분자를 미립자화시키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의 설치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물분자 변화도
도 6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한 수돗물을 핵자기 공명장치로 측정한 변화도
도 7은 도6의 핵자기 공명장치로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본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를 자장공명 분석기로 측정한 물분자의 비교도
도 9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낙농사업장에 설치하여 측정한 그래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위치조절판 11 - 위치조절공
20,30 - 좌,우측케이스 21,31 - 접촉면
22,32 - 고정볼트 23,33 - 원적외선 도포층
40 - 자석체 50 - 수도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수도관, 고가 수조등을 통과한 피처리수의 수도관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수도관(50)과 접촉하는 접촉면(21,31)을 구비하여 수도관(50)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수도관(50)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위치조절수단이 상부에 결합되는 좌,우케이스(20,30)와,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자석고정부(24,34)에 고정되어 자장에너지를 발산하는 다수개의 자석체(40)와, 상기 자석체(40)의 자장에너지와 함께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수돗물이 정화처리되도록 좌,우케이스(20,30)의 접촉면 내측부에 도포되는 원적외선 도포층(23,3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좌,우케이스(20,30)의 상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와, 상기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가 관통되고,좌,우케이스(20,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진 장공 형상의 위치조절공(11)이 다수개 구비된 위치조절판(10)과, 상기 위치조절공(11)을 관통한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와 체결되어 좌,우케이스(20,30)가 수도관(50)과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다수개의 자석체(40)는 전극에 의한 수돗물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며 마주보는 극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치 고정하고,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접촉면(21,31)은 수도관(50)과의 접촉 고정이 용이하도록 수도관(5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라운드로 형성시킨다.
수돗물이 자력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면 수분자는 강력한 자력선 힘과 원적외선의 미약한 에너지 힘으로 회전, 신축, 진동등이 발생되어 미립자화, 활성화가 되며, 그 결과 크러스터(Cluster)가 적고 고밀도의 본래의 물로 유지되어 용해력과 침투력을 높혀준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수도관에 설치한 설치단면도로서, 위치조절판(10)의 위치조절공(11)으로 좌,우측케이스(20,3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볼트(22,32)가 삽입하며 좌,우측케이스(20,30)의 상부에 위치조절판(10)이 얹혀지고, 상기 위치조절공(11)의 상부로 돌출된 고정볼트(22,32)에 고정너트(12)가 체결되며 위치조절판(10)과 좌,우케이스(20,30)가 결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공(11)이 경사진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케이스(20,30)의 중앙에 위치고정되는 수도관(50)의 크기에 맞추어 좌,우케이스(20,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접촉면(21,31)은 수도관(5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라운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도관(50)에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좌,우측케이스(20,30)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체(40)와, 접촉면(21,31) 내측에 도포된 원적외선 도포층(23,33)에서 발산하는 방사에너지에 의해 수돗물이 정화되는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도포층(23,33)은 접촉면(21,31)의 내측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좌,우측케이스(20,30)의 내부 전면이나 자석체(40)의 외면 또는 접촉면(21,31)에 원적외선 도포층(23,33)을 형성하거나 좌,우측케이스(20,30)의 내부에 액상 원적외선 인바이오를 구비하여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며, 상기 원적외선 도포층(23,33)에는 상온에서 흡수, 방사가 가능한 특수세라믹이 사용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좌,우측케이스(20,3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자석고정부(24,34)에는 자석체(40)가 결합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자석체(40)의 전극이 서로 상이하도록 결합함으로서, 자석체(40)에 의해 수돗물을 정화시키는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좌,우측케이스(20,30)의 내부에 자석체(40)를 결합할 때 좌측케이스(20)에 결합되는 모든 자석체(40)를 N극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우측케이스(30)에 결합되는 모든 자석체(40)를 S극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수돗물을 정화시킬 수 있으나 그 효율면에서 상기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대응하는 자석체(40)의 전극이 서로 상이하도록 함으로서 그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정화작용을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먼저, 본 고안은 자석과 원적외선을 이용한 2가지의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것으로 원적외선 자체이서도 물을 활성화하는 능력이 있고 자장만으로 할 수 없는 에너지를 원적외선이 발생하게 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 수돗물 정화장치를 통과한 수분자는 수분자 사이에서 자기 여과작용이 통상 물보다 격렬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이온은 수도관(50)의 철과 결합하고 +이온은 물로 방출되며 이때, 에너지 전환으로 생기는 물은 산화환원전위가 저하하는데에 따라서 -이온은 증가하고 산화된 녹과 -이온 2개가 결합해서 안정된 4.3산화철로 환원되는데 이를 부동태피막현상이라 한다.
이때, 상기 산화환원전위는 수중에 포함된 산화환원 물질의 산화적 또는 환원력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산화하는 전위는 산화환원 전위가 있다.
"산화 : 산소를 획득하던가 수소를 빼앗기기도 한다.
전자를 잃을 때 전자는 산화된다.
환원 : 산소를 타에 주던가 수소를 빼앗던가 또는 전자를 획득할 때에는 음
성으로 환원된다. "
즉, 상기의 현상을 화학반응식으로 보면,
H2O(물) + 1/2O2(산소) + 2e(이온) --- 2OH(수산화이온) 이 됨으로서, 상기 부동태피막현상인 4.3산화철(검은녹)은 2.3산화철(붉은녹)이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의 환원작용으로 공급된 전자 2개를 받으므로 청표면을 4.3산화물(흑표면)이 되어서 안정되고, 수산화제2철에서 산화가 진행되므로 상기 4.3산화철이 바로 부동태피막으로서 철과 물의 접촉을 차단하기 때문에 수도관(50)의 녹쓰임이 예방되어 수도관(50)의 사용연수가 연장되는 것이다.
한편, 신축 수도관(50)이 부식하여 적수(녹물)화되어 유출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10~13년간 정도로 판단되고 있고, 적수가 눈으로 확인되는 철분의 농도는 약 0.5mg/L 이며 이상의 양이 유출될 경우 음료수로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신관상태에서 적수가 나오는 시간과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가 설치된 신관에서 적수가 나오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일일 36t씩의 물을 32일간 배관에 흘린결과 일반 신관에서는 10~15년 정도 후에 적수가 유출되는 반면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가 설치된 신관에서는 25~35년 정도 후에 적수가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수도관(50)이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의해 보호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물분자가 미립자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물분자 변화도이고, 도 6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한 수돗물을 핵자기 공명장치( 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 )로 분석한 변화도로서, 상기 자기와 원적외선의 에너지에 의해 물의 극성이 플러스, 마이너스로 분리되어 분자레벨로 활성화, 미립자화된 물은 침투력, 용해력이 향상되어 부패, 분해, 쇄약, 열화의 상태로 회복 소생 변화하는 능력이있고, 이에 분자레벨의 에너지 준위가 떨어지므로 물의 바란스가 흐트러져서 크러스터를 적은 크러스터의 구조로 변화시킨다.
즉, 상기 핵자기 공명장치란 수분자가 운동하고 있는 속도를 포작해서 주파수(HZ)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수치가 작을수록 분자운동이 빠르고, 상기 분자운동이 빠르다는 것은 작은 물분자가 집단으로 활발히 운동하는 것을 표시하는데 본 고안 수돗물 정화장치를 통과한 물을 측정한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러스터가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큰 물 = 큰 크러스터로서 에너지는 적다
적은물 = 적은 크러스터로서 에너지는 높다" 와 같이 크러스터의 적은 물의 에너지 준위를 높혀 큰에너지를 가지게 하여 바란스에 맞는 물로 디자인하는 것이며, 도 6은 도5의 핵자기 공명장치로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수돗물 정화장치를 통과한 수돗물은 물분자의 활성화 운동상태의 지속시간이 24시간까지 60% 수준으로 지속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여 처리된 물은 수분자의 미립자화 되어 침투성이 향상 되기 때문에 세포의 물흡수가 좋고 생체가 갖고 있는 순화기능이 더욱더 향상되어 신진대사가 촉진된다.
그리고 , 도 8은 본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기 전과 통과한 후를 자장공명 분석기( MRA: Magnetic Resonance Analyzer )로 분석한 물분자의 비교도로서, 자장공명 분석기는 자장에너지에 의해서 물의 공명에너지를 수치에 의해서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 에너지를 해석하기 위하여 물을 영하 10℃에서 영하 20℃까지 결빙시켜 특수현미경으로 영상화하여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의한 물의 에너지를 소생시키는 것을 구현하였는데 영상에서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한 물의 모형은 정교하고 선명한 6각수 모형의 결정체로 소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기 전의 수돗물은 염소와 금속이염의 마그네슘칼슘에서 경도성분과 결합함으로서 수돗물에서 냄새가 나게 된다. 즉, 염소는 7개의 전자가 존재하므로 다른 물질과 결합하려고 노력하는데 만약 8개일때에는 염소 그대로의 존재가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지만 불안전한 7가원소는 1개의 전자를 잡아 결합하며 이 결합이 유리염소와 금속이온의 경도성분으로서 냄새의 원인이 되어 수돗물에서 냄새가 나지만, 이미 결합된 수돗물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할 때 염소와 금속이온을 분해시켜 줌으로서 염소이온을 안정화 시켜주기 때문에 냄새가 나지 않으며 분해된 유기화합물은 감소되어 활성화되지 못하므로 트라이할로메탄( THM : Trihalomathane ) 치수가 급격히 감소된다.
즉, 아래에 도시된 [ 표 1 ]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트라이할로메탄의 양을 측정한 표로서, 동경 북국 시료결과 트라이할로메탄의 치수가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처리전의 물은 0.015이고,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처리후의 물은 0.001로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수도물의 염소처리에 의해 부산물로 생산되는 것은 트라이할로메탄이대표적이며, 그 생성특성이나 독성이 연구되어 트라이할로메탄의 량을 나타내는 치수는 그 물질의 용해성 유기물질의 총량을 표시하는 치수 즉, E-260으로 표기한다.
[ 표 1 ]
또한, 상기 트라이할로메탄은 정수용 약품인 염소가 유기물질과의 반응과정에서 생성하는 발암성 유기물질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는 수도꼭지형, 가정용 계량기옆 취부형, 일반형등 각 규격의 종류에 따라 제작되며, 이를 일반가정에서 주방이나 목욕탕, 주방싱크대, 정원수 살수용, 세면장, 샤워장등의 수도꼭지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깨끗하고 안전하며 냄새가 없는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가정의 계량기 수도관에 결합하면 가정의 수도관(50) 수명을 장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아래에 도시된 [ 표 2 ]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와 정수기 및 알카리 이온정수기와 비교한 비교표로서,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는 기존의 수돗물을 정화하는 장치와는 비용과 설치공간 및 효과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 표 2 ]
이와같은 본 고안의 수돗물 정화장치는 낙농사업장에서 사용하면 고품질의 생우유를 생산할 수도 있게 됨은 첨부된 도 9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도 9는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낙농사업장에 설치하여 측정한 그래프로서, 체세포수(우유내의 세포 일부분)를 2년간 시험한 결과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설치 후 1년 경과때부터는 체세포수가 매우 감소되고, 설치 후 2년부터는 50%이상 감소되어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건강한 소에서 좋은 우유가 생산된다는 말이 있듯이 본 고안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를 통과한 물은 수분자가 미립자화 되어 침투성이 향상되므로 세포의 물흡수가 좋고 생체가 갖고 있는 순환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신진대사가 촉진되어 배출기능의 발란스가 맞으며 세포가 활성화되고 유질의 개선이 가능한 것이고, 체세포수의 증감은 위생문제로서 사료와 음료수에 기인한다고 한다.
상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자석과 원적외선의 2가지 방사에너지를 이용한 수돗물 정화장치를 각 항목별 재질, 치수, 규격, 자기력 및 원적외선의 특성을 증가시킨 제품으로 제작 이용하여 가정용 수도계량기의 수도관에 부착 설치하면, 수도관의 녹스임이 방지되어 수도관의 내용연수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고, 당해 가정집의 각각의 수도꼭지에 본 고안 장치를 취부하지 않아도 수돗물의 수질을 개선시키며, 수돗물의 결정체를 6각수 모형의 결정체로 소생시키고 미립자화시켜 물맛을 좋게하고 수돗물의 냄새를 없애주어 음료수로의 사용이 안전함과 동시에 사람 및 가축이 먹었을 때 체내에 빨리 흡수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본 고안 제품을 아파트, 주택, 다가구 주택, 공장, 공공건물, 사무동, 병원, 양어장, 활어횟집 수족관, 지하 저수조등의 메인수도관에 결합하면 수질이 개선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수도꼭지에 본 고안 장치를 취부하지 않아도 각각 내설된 수도관의 내용연수가 연장되는 장점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큰 건물에서 본 고안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수도관의 내용연수가 연장되어 빨리 노후된 수도관의 교체에 따른 급수중단을 야기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전력 및 휠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설치비용 외에는 유지에 따른 추가비용이 부가되지 않는 장점도 제공하게 된다.한편, 본 고안 제품을 수도관에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지하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지하수 급수관에 결합하여 사용함은 물론 정수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정수기 내부 또는 외부의 급수관에 결합하여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수도관, 고가 수조등을 통과한 피처리수의 수도관 외주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정화처리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에 있어서,
    수도관(50)과 접촉하는 접촉면(21,31)을 구비하여 수도관(50)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수도관(50)의 크기에 따라 고정위치가 조절되는 위치조절수단이 상부에 결합되는 좌,우케이스(20,30)와,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자석고정부(24,34)에 고정되어 자장에너지를 발산하는 다수개의 자석체(40)와,
    상기 자석체(40)의 자장과 함께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수돗물이 정화처리되도록 좌,우케이스(20,30)의 접촉면(21,31) 내측부에 도포된 원적외선 도포층(23,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좌,우케이스(20,30)의 상측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와,
    상기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가 관통되고, 좌,우케이스(20,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진 장공 형상의 위치조절공(11)이 다수개 구비된 위치조절판(10)과,
    상기 위치조절공(11)을 관통한 다수개의 고정볼트(22,32)와 체결되어 좌,우케이스(20,30)가 수도관(50)과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고정너트(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다수개의 자석체(40)는 전극에 의한 수돗물 정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며 마주보는 극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치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케이스(20,30)의 접촉면(21,31)은 수도관(50)과의 접촉 고정이 용이하도록 수도관(5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라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20-2002-0034409U 2002-11-18 2002-11-18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200305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09U KR200305697Y1 (ko) 2002-11-18 2002-11-18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09U KR200305697Y1 (ko) 2002-11-18 2002-11-18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697Y1 true KR200305697Y1 (ko) 2003-02-26

Family

ID=493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409U KR200305697Y1 (ko) 2002-11-18 2002-11-18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6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him et al. Escherichia coli inactivation using a hybrid ultrasonic–electrocoagulation reactor
Ammar et al. Gree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metronidazole degradation at BDD anode in aqueous solutions via direct and indirect oxidation
Boyjoo et al. A review of greywater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rocesses
KR100722302B1 (ko)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Bakheet et al. Effective treatment of greywater via green wall biofiltration and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rinzila et al. Degradation of tetracycline at a boron-doped diamond anode: influence of initial pH, applied current intensity and electrolyte
Ammari et al. An evaluation of the re-circulated vertical flow bioreactor to recycle rural greywater for irrigation under arid Mediterranean bioclimate
Graumans et al. Thermal plasma activation and UV/H2O2 oxidative degradation of pharmaceutical residues
KR100628006B1 (ko) 원자 유리형 수용액 생성장치 및 원자 유리형 수용액 생성방법
KR20120045186A (ko) 자기이온활성수 제조장치
KR200305697Y1 (ko) 자기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Quispe Cardenas et al. Electro-Fenton and Induced Electro-Fenton as Versatil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Decontamination and Nutrient Removal without Byproduct Formation
JP3069846B2 (ja) 多機能ボックス
Leal Removal of micropollutants from grey water: combining biological and physical/chemical processes
KR20110111860A (ko) 기능성 볼을 내장한 자화수 처리장치
Donia Survey of potable water quality problems in Egypt
Sidibe Comparative study of bark, bio-char, activated charcoal filters for upgrading grey-water
JP2021169071A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イオン発生用水質改良器とそれを用いた水質改良法。
US200601752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and hydrated electron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JPH059118Y2 (ko)
CN206720812U (zh) 强磁场水处理器
Tandlich et al. Mulch tower treatment system for greywater reuse Part II: destructive testing and effluent treatment
CN206720811U (zh) 强磁场水处理装置
KR20020097090A (ko) 항균기능을 강화한 정수 겸용 자활수 시스템
WO2023058249A1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イオン発生用水質改良器とそれを用いた水質改良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