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44Y1 - 황토벽돌 - Google Patents

황토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44Y1
KR200305344Y1 KR20-2002-0034983U KR20020034983U KR200305344Y1 KR 200305344 Y1 KR200305344 Y1 KR 200305344Y1 KR 20020034983 U KR20020034983 U KR 20020034983U KR 200305344 Y1 KR200305344 Y1 KR 200305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rick
present
bricks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철
Original Assignee
신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철 filed Critical 신대철
Priority to KR20-2002-0034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벽돌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황토벽돌의 적재가 용이하게 하면서 적재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하고, 견고한 벽체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황토벽돌(10)을 성형하되, 황토벽돌 (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각 모서리부를 면치기하여 절삭면(30)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벽돌{Loess brick}
본 고안은 황토벽돌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황토벽돌의 모서리부분을 면치기하여 적재시 벽돌과 벽돌 사이에 자연스럽게 요입홈에 형성되게 하고, 상기요입홈을 이용하여 마무리작업시 황토와 백시멘트를 혼합한 마감재로 요입홈 부분에 미장되게 하므로서 적재작업이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견고하면서 미려한 외관을 유지케 하고, 또한 취급시에도 벽돌모서리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황토는 오래전부터 건축용도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한예로서 황토를 이용하여 벽돌을 성형하고, 상기 벽돌을 주택의 벽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경우 사용되는 황토벽돌은 각 모서리부가 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형의 벽돌을 적재할 때에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황토몰탈을 일정한 두께로 사이에 넣고 적재하게 되고, 적재완료후에는 주로 외면을 황토몰탈로 미장하여 마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벽돌적재수단은 벽돌의 적재에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될 뿐 아니라 적재완료후에는 황토몰탈로 마감하게 되므로 황토벽돌의 질감을 느낄 수 없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벽체를 시공하되, 벽돌의 적재후 황토몰탈로 전면을 미장처리하지 않고, 벽돌과 벽돌 사이에 형성된 요입홈 부분에 황토와 백시멘트로 된 미장재를 채워 넣어 마감되게 하므로서 벽돌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황토벽돌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되게 하여 미려한 외관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황토를 이용하여 벽돌을 성형하되, 벽돌의 모서리를 면치기하여 벽돌의 적재시 벽돌 사이의 경계부에 요입홈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면치기의 형태는 직선형으로 하거나 곡선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면치기하고자 하는 벽돌의 크기는 크고 작은 여러형태의 벽돌에 적용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벽돌의 적재시에는 황토를 물에 태워 붓으로 바른 다음 적재하여 벽돌이 서로 접합되게 하므로서 벽돌의 적재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황토벽돌을 적층하여 요입홈이 형성된 상태도
도 3 : 도 2의 상태에서 요입홈에 미장재를 채워넣은 상태도
도 4 : 본 고안의 황토벽돌이 시공완료된 상태의 구성도
도 5 : 본 고안 황토벽돌의 타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 황토벽돌의 타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황토벽돌 (20)--본체
(21)--관통공 (22)--황토몰탈
(23)--요입홈 (24)--미장재
(30)--절삭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황토벽돌(10)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황토벽돌(10)을 이용하여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황토벽돌(10)을 성형하되, 황토벽돌(10)의 본체(20) 각 모서리를 면치기하여 절삭면(30)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절삭면(30)은 직선형으로 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만곡진 형태로 할 수 있으며, 황토벽돌(10)의 본체(20) 상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1)이 뚫려져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황토벽돌의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게 혹은 작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황토벽돌(10)의 적재는 아래와 같이 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황토벽돌(10)의 본체(20) 상에 황토를 물에 개어 만든 황토몰탈(22)을 붓으로 얇게 칠하고, 그 위에 황토벽돌을 적재하여 서로 접합되게 하며, 이때 황토벽돌(10)의 본체(20)에 구성된 절삭면(30)에 의해 요입홈(23)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요입홈(23)에는 황토와 백시멘트를 7 : 3의 비율로 혼합한 미장재(24)를 사용하여 요입홈(23) 부분에 도 3에서와 같이 채워져 마감되게 하므로서 미려한 외관과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황토벽돌(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의 각 모서리를 면치기하여 절삭면(30)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황토벽돌(10)의 적재시 절삭면(30)에 의해 요입홈(2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홈(23)에 황토와 백시멘트로 된 미장재(24)를 용이하게 채워 넣을 수가 있게 되므로 시공된 벽체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황토벽돌(10)은 적재시 황토를 물에 개어 만든 황토몰탈(22)을 붓으로 칠한 다음 그 위에 황토벽돌(10)을 적재하여 접합되게 하므로서 적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황토벽돌(10)의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게 하거나 작게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2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절삭면(30)은 직선이나 곡선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황토벽돌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벽돌의 모서리부를 면치기 가공하여 절삭면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황토벽돌의 적재시 격자형의 요입홈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요입홈에 미장재를 균일하게 채워 넣을 수 있게 되므로 황토벽돌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면서 견고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는 벽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황토벽돌을 구성함에 있어서, 황토벽돌(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각 모서리부를 면치기하여 절삭면(30)이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벽돌.
KR20-2002-0034983U 2002-11-22 2002-11-22 황토벽돌 KR200305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83U KR200305344Y1 (ko) 2002-11-22 2002-11-22 황토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83U KR200305344Y1 (ko) 2002-11-22 2002-11-22 황토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44Y1 true KR200305344Y1 (ko) 2003-02-25

Family

ID=4933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83U KR200305344Y1 (ko) 2002-11-22 2002-11-22 황토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688B1 (ko) *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688B1 (ko) *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694E1 (en) Wall panel
US20110247289A1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KR200305344Y1 (ko) 황토벽돌
US20060101751A1 (en) Metal tile for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f building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KR100581405B1 (ko)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CN208039604U (zh) 一种波纹蒸压加气混凝土砌块
KR200168592Y1 (ko) 건축용 벽체
US6038822A (en) Octagonal shaped concrete block
KR200231644Y1 (ko) 금속타일
CN212406174U (zh) 砌筑用灰缝控制工具
WO1992004513A1 (en) Building component
KR200220575Y1 (ko) 자연석 블록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40123791A (ko) 대리석 가공타일을 부착한 콘크리트 블록
CN207048114U (zh) 一种快速砌墙石膏实心砖
JP2869856B2 (ja) なまこ壁
KR200246525Y1 (ko) 단열블록
KR200397794Y1 (ko) 미장블럭
RU2404332C1 (ru) Блок с адиабатическим промежутком
KR10024082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503Y1 (ko) 금속 타일
JPH0332645Y2 (ko)
RU48864U1 (ru) Лицевой стеновой камень
JP2001011980A (ja) 建築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