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165Y1 - 학습용 블록완구 - Google Patents

학습용 블록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165Y1
KR200305165Y1 KR20-2002-0032716U KR20020032716U KR200305165Y1 KR 200305165 Y1 KR200305165 Y1 KR 200305165Y1 KR 20020032716 U KR20020032716 U KR 20020032716U KR 200305165 Y1 KR200305165 Y1 KR 200305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learning
implem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섭
Original Assignee
곽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섭 filed Critical 곽재섭
Priority to KR20-2002-0032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와 조립이 자유로운 부정형의 블록 다수 개를 조립하여 문자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블록완구는 블록 본체의 상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그 하면에 돌기의 삽입을 위한 요홈을 형성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 블록 본체 사이에는 블록 본체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 만큼의 고도 차가 발생되어 만들어진 문자나 숫자 및 모형의 형상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부정형 함체상의 블록 완구의 측부에 끼움 결합되어지는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문자와 숫자 및 형상이 동일한 위상에서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블록 완구.

Description

학습용 블록 완구{A toy block for study}
본 고안은 학습용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와 조립이 자유로운 부정형의 블록체를 조립시켜 문자나 도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된 블록 완구로서 어린이들이 창의성을 높이고 문자의 교습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의 교습이 가능토록 된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대부분이 블록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문자를 인쇄 또는 부착하여 두거나 완성된 자음과 모음의 형상을 갖는 블록을 구비하여 적절히 배치함으로서 문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블록완구는 완성된 문자를 익힐 수 있는 교습기능만을 가질 뿐 재미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고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개발하기에는 부족한 단점이 있어 블록 완구 이외에 문자나 숫자 등의 학습 용구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는 것이었다.
이미 여러 개의 블록을 짜 맞춰 문자와 숫자 및 임의의 모형을 만들 수 있도록 된 블록완구(등록번호 20-0156780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된 종래의 블록완구는 블록 본체의 상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그하면에 돌기의 삽입을 위한 요홈을 형성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 블록 본체 사이에는 블록 본체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 만큼의 고도차가 발생되어 형성된 문자나 숫자 및 모형의 형상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켜 놀이와 동시에 교습기능을 갖는 블록완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부정형 함체상 블록 완구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어지는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의도에 따라 조립함으로서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블록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블록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3블록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4블록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5블록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6블록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7블록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8블록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9블록체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0블록체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1블록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2블록체의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사용 예에 따라 한글로 조립됨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사용 예에 따라 영문으로 조립됨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사용 예에 따라 숫자로 조립됨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도 16은 반지의 형상을 구현한 사용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블록체 12: 결합돌조
14: 결합요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 내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 그 형상을 달리하는 입방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록체(10)의 측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조(12) 및/또는 결합요부(14)를 형성하여 각각의 블록체(10)가 끼움 결합되어지도록 되는 구성이다.
상기 블록체(1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사각 함체를 기본적인 골격으로 형성되나 삼각 또는 육각 함체를 채용할 수 있는 등 삼각 이상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측면을 이루는 각 변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의 결합돌조(12)와 결합요부(14)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블록체(10)는 임의의 변이 이웃하는 변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요부(14)는 도1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상의 내주 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측으로 형성된 개방 단부가 호의 직경보다 작은 항아리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이에 내접되는 결합돌조(1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블록 본체(10)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거나 목재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소재나 제조 방법 등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채용된 블록 본체(10)를 도시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블록체(10a)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1블록체(10a)는 장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 장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a)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타측 장변으로는 2개의 결합요부(14a)가 각각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채 형성되어진다.
제2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블록체(10b)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2블록체(10b)는 장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 장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b)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타측 장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b)가 하변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측 단변은 45도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게 형성되어 그 중앙에 1개의 결합돌조(12b)가 형성되고 하측단변은 마주하는 상측 단변과 평행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호상으로 만곡지도록 형성된다.
제3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3블록체(10c)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3블록체(10c)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변에는 1개의 결합돌조(12c)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일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c)가 형성되며, 나머지 두 변은 대각으로 연결되어 호상의 만곡 면을 이루며 그 중앙으로 1개의 결합요부(14c)가 형성된다.
제4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4블록체(10d)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4블록체(10d)는 정방형의 육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d)가 형성된다.
제5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5블록 본체(10e)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5블록체(10e)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웃하는 양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e)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e)가 형성된다.
제6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6블록체(10f)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6블록체(10f)는 장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 단변 중앙으로 1개의 결합돌조(12f)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단변의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f)가 형성되며, 일측 장변에는 결합요부(14f)에 치우쳐 진 위치에 1개의 결합요부(14f)가 형성된다.
제7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7블록체(10g)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본 고안의 제7블록체(10g)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g)가 형성된다.
제8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8블록체(10h)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8블록체(10h)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돌조(12h)가 형성된다.
제9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9블록체(10i)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9블록체(10i)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주보는 양변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i)와 결합돌조(12i)가 형성되고, 일측 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i)가 형성된다.
제10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10블록체(10j)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10블록체(10j)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주보는 양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j)와 결합요부(14j)가 형성된다.
제11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11블록체(10k)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11블록체(10k)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4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k)가 형성된다.
제12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12블록체(10L)가 도시되어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12블록체(10L)는 정방형의 사각 함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주보는 양변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L)가 형성되고 다른 양변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L)가 형성된다.
제13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완구를 이용하여 표현되어지는 한글과 영어 알파벳, 아라비아 숫자 및 도형 등이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되었다.
이러한 실시 예는 블록체(10)의 조립 방향과 조립 순서 등에 변화를 줌으로서 무한히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한글의 "가"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블록체(10e) 2개와 제7블록체(10g) 3개와 제8블록체(10h) 2개 및 제10블록체(10j) 9개를 소요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이고,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 알파벳 "A"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3블록체(10c) 2개와 제5블록체(10e) 1개와 제8블록체(10h) 2개와 제10블록체(10j) 8개 및 제11블록체(10k) 1개를 소요하여 조립할 수 있는 것이며,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 "1"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6블록체(10f) 1개와 제7블록체(10g) 1개와 제8블록체(10h) 2개 및 제10블록체(10j) 4개를 소요하여 조립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형상을 달리하는 제1블록체(10a) 내지 12블록체(10L)로 이루어진 블록체중에 적어도 1종 이상의 블록체 다수 개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형상으로 조립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사용상태도는 단지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사용자의 창의력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어짐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자와 숫자뿐 아니라 임의의 형상을 만들 수 있는 등 놀이의 폭이 넓으며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문자 및 숫자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와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5)

  1. 일측 장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a)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타측 장변으로는 2개의 결합요부(14a)가 각각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장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1블록체(10a); 다수 개와 일측 장변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b)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타측 장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b)가 하변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상측 단변은 45도의 경사를 갖도록 기울게 형성되어 그 중앙에 1개의 결합돌조(12b)가 형성되고 하측 단변은 마주하는 상측 단변과 평행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호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장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2블록체(10b); 다수 개와 일변으로 1개의 결합돌조(12c)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일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c)가 형성되며, 나머지 두 변은 대각으로 연결되어 호상의 만곡 면을 이루며 그 중앙으로 1개의 결합요부(14c)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3블록체(10c); 다수 개와 각 변의 중앙으로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d)가 형성된 정방형의 육각함체로 이루어진 제4블록체(10d); 다수 개와 이웃하는 양변의 중앙으로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e)가 형성되고 나머지 두 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e)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5블록체(10e); 다수 개와 일측 단변 중앙으로 1개의 결합돌조(12f)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단변의 중앙에는 1개의 결합요부(14f)가 형성되며, 일측 장변에는 결합요부(14f)에 치우쳐 진 위치에 1개의 결합요부(14f)가 형성된 장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6블록체(10f); 다수 개와 일변 중앙으로 1개의 결합요부(14g)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7블록체(10g); 다수 개와 일변 중앙으로 1개의 결합돌조(12h)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8블록체(10h); 다수 개와 마주보는 양변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i)와 결합돌조(12i)가 형성되고, 일측 변에는 1개의 결합요부(14i)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9블록체(10i); 다수 개와 마주보는 양변의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j)와 결합요부(14j)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10블록체(10j); 다수 개와 4변의 중앙으로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k)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11블록체(10k); 다수 개 및 마주보는 양변 중앙으로 각각 1개씩의 결합돌조(12L)가 형성되고 다른 양변 중앙에는 각각 1개씩의 결합요부(14L)가 형성된 정방형 사각함체로 이루어진 제12블록체(10L); 다수 개를 한 벌로 구성하되, 상기 제1블록체(10a) 내지 제12블록체(10L)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블록체 1개 이상을 조립시켜 문자나 숫자 및 알파벳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학습용 블록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부(14)는 측변에 형성된 개구된 단부 길이가 호상의 내주 면으로 이루어진 내경보다 작은 항아리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내접되는 결합돌조(12)의 이탈을 방지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자 "O"와 "Q" 및 아라비아 숫자 "0"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자 "F"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제7블록체(10g)와 제10블록체(10j) 및 제11블록체(10k)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자 "X"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한글 "가"와 "나"와 "다"와 "라"와 "카"와 "타" 및 알파벳 영문자 "H"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제5블록체(10e)와 제6블록체(10f)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한글 "마" 및 "바"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8. 제1항에 있어서,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 및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한글 "사"와 "파" 및 알파벳 영문 "T"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한글 "아"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10블록체(10j) 및 제11블록체(10k)를 조합하여 한글 "자"와 "차" 및 "하"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8블록체(10h)와 제10블록체(10j) 및 제11블록체(10k)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A"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2. 제1항에 있어서, 제1블록체(10a)와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B"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3.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 및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C"와 "S"와 "U" 및 "V"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4.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D" 및 아라비아 숫자 "8"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5. 제1항에 있어서, 제1블록체(10a)와 제3블록체(10c)와 제8블록체(10h)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G"와 "Y" 및 아라비아 숫자 "3"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6. 제1항에 있어서,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I" 및 "L"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7.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J"와 "K"와 아라비아 숫자 "2" 및 "5"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8.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M"과 "W" 및 "Z"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19.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N"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0.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6블록체(10f)와 제7블록체(10g)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알파벳 영문 "P" 및 "R"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1. 제1항에 있어서, 제6블록체(10f)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아라비아 숫자 "1"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2. 제1항에 있어서,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와 제10블록체(10j) 및 제11블록체(10k)를 조합하여 아라비아 숫자 "4"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3.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6블록체(10f)와 제8블록체(10h)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아라비아 숫자 "6"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4.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5블록체(10e)와 제6블록체(10f)와 제8블록체(10h)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아라비아 숫자 "6" 및 "9"를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25. 제1항에 있어서, 제3블록체(10c)와 제6블록체(10f)와 제7블록체(10g)와 제8블록체(10h)와 제9블록체(10i) 및 제10블록체(10j)를 조합하여 아라비아 숫자 "7" 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블록 완구.
KR20-2002-0032716U 2002-11-01 2002-11-01 학습용 블록완구 KR200305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16U KR200305165Y1 (ko) 2002-11-01 2002-11-01 학습용 블록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716U KR200305165Y1 (ko) 2002-11-01 2002-11-01 학습용 블록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165Y1 true KR200305165Y1 (ko) 2003-02-25

Family

ID=4933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716U KR200305165Y1 (ko) 2002-11-01 2002-11-01 학습용 블록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1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78B1 (ko) * 2011-12-12 2014-02-05 오상돈 문자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978B1 (ko) * 2011-12-12 2014-02-05 오상돈 문자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7579A (en) Free-form construction amusement device
US3895456A (en) Composition assembly comprising constructional elements of plastic material for making free scheme compositions
US5554062A (en) Building word blocks
US5120226A (en) Toy and teaching aid combination
US20100038850A1 (en) Puzzle Formed By A Plurality Of Cubes
US20050191932A1 (en) Building block
CA2669490C (en) Didactic game piece
US5928052A (en) Cube toy blocks
US4561097A (en) Puzzle formed of geometric pieces having an even number of equilateral sides
US4114307A (en) Adjustable configuration toy
US3759526A (en) Game pieces selectively joinable along edges thereof to form letters or numerals
KR200305165Y1 (ko) 학습용 블록완구
KR200389966Y1 (ko) 교육완구용 큐브
US6536764B1 (en) Puzzle having movable pieces and connecting linkages
US6592122B2 (en) Three-dimensional manipulative puzzle
EP3549649A1 (en) Building toy block with a magnet
Coffin Geometric puzzle design
JP6232506B2 (ja) 鎖および空間構造を作成するための接続可能部品
KR200250911Y1 (ko)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JP2009000139A (ja) 知的創造を惹起する遊戯具用組み立てブロック
KR20190041361A (ko) 조립형 교구 블록
KR101690984B1 (ko) 한글을 알리기 위한 특정 구조를 만드는 블럭 세트
KR20120038842A (ko) 블록교구
WO1997026963A1 (en) The modular, adaptable pu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