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002Y1 - 액체 유출부재 - Google Patents

액체 유출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002Y1
KR200305002Y1 KR20-2002-0034374U KR20020034374U KR200305002Y1 KR 200305002 Y1 KR200305002 Y1 KR 200305002Y1 KR 20020034374 U KR20020034374 U KR 20020034374U KR 200305002 Y1 KR200305002 Y1 KR 200305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flow
outlet
liquid
outlet member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정호
현훈
Original Assignee
현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정호 filed Critical 현정호
Priority to KR20-2002-0034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용기내의 액체를 소량씩 유출시키는 액체 유출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은, 둘레에 다수구의 유출구를 갖는 유출헤드 입구부에 고정링에 의해 고정되는 유출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셀(cell)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거나, 또는 패킹의 두께 차 및 상기 유출헤드의 유출구 위치편차로 인한 유출량 불균일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패킹의 내측면을 외부면과 비례하여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유출압 분배공간을 갖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유출부재의 걸림턱은 열과 압력을 더 가하여 강도를 높이거나, 또는 걸림턱의 전면에 보강링을 부착하여 달성되며, 또 걸림턱의 전면에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링의 내측면에 마찰홈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액체 유출부재{Liquid outward flow absence}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액체를 소량씩 유출시키는 액체 유출부재에 관한 것이다.
와이셔츠의 칼라부분과 같이 때가 끼어 찌들게 되면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하여도 세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찌든 때를 빼기 위해 손빨래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때에는 오히려 옷감이 상하게 된다.
이러한 찌든때를 손쉽게 빼기 위해 요즘은 부분세척제가 출시되어 빨래를 실시하기전 때가 찌들어 있는 부분을 먼저 세척한 후 본격적인 세탁을 실시하면 찌든 때가 말끔히 해결되게 된다.
상기 부분 세척제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소형 튜브용기에 보관되는데, 이 튜브용기(10)는 입구부에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옷감을 문지르면서 세척제를 소량씩 유출시키는 세제액 유출헤드(11)가 나사결합된다.
또 유출헤드(11)는 입구부에 세제액을 유출시키는 작은 유출구(12)를 다수개 갖고, 그 전면에 세제액 유출부재(20)가 고정링(18)에 의해 밀착결합되어 있다.
유출부재(20)는 스폰지와 같이 연속기포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 1,2,3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고 외측면(24)이 둥글게 만곡되며 측면 둘레에 걸림턱(26)을 형성하여 고정링(18)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용기(10)를 세워 때를 빼고자 하는 옷감에 세제액 유출부재(20)를 문지르면 세제액이 중력에 의해 유출부재(20)에 스며들어 옷감 표면에 공급 된다. 이때 유출부재(20)는 세제액을 소량씩 유출시켜 공급된 세제액의 화학 반응에 의해 때를 빼주는 기능도 하지만 옷감과의 마찰에 의한 물리적 작용으로 때를 탈락시키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특히 마찰에 의해 때를 탈락시는 과정에서 세제액의 화학적 세척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면 세척력 상승효과가 배가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출부재(20)는 그 조직이 엉성하여 셀(cell)들이 커짐에 따라 세제액의 사용이 헤퍼지고, 또 옷감과 닫는 마찰면적이 줄어들어 물리적 마찰작용에 의한 세척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 유출부재(20)의 형상이 내측면은 평면을 이루고, 외부로 노출된 외측면(24)은 둥글게 형성되어 가장자리가 중심부보다 얇아 유출거리에 의해 중심부 보다는 가장자리쪽의 유출량이 많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세제액 유출헤드(11)에 형성된 유출구(12)가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유출량은 더욱더 가장자리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세척 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옷감의 때를 빼는 작용은 세제액의 화학적 세척력과 유출부재(20)와 옷감과의 마찰에 의한 물리적 작용에 의해 세척 효과가 상승되는데, 외측면(24)이 둥글게 형성된 세제액 유출부재(20)의 형상에 의해 마찰효과가 높은 중앙부분보다 가장자리로 세제액이 많이 유출되기 때문에 화학적, 물리적 결합에 의한 세척력 상승효과를 최상으로 끌어올리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유출부재(20)는 걸림턱(26)부위의 조직이 엉성하여 유연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누적과, 세제액을 유출시키는 압이 과하게 작용하게 되면 세제액 유출부재(20) 둘레의 걸림턱(26)이 고정링(18)로부터 이탈되어 세제액을 사용하기전 세제액 유출부재(20)의 손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출부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제액이 유출되는 유출부재가 경제적 세척효과를 득할 수 있을 정도의 유출량을 갖도록 세제액 유출부재의 셀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절하여 세척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옷감과의 마찰면적을 높여 마찰에 의한 물리적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액체 유출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출부재의 내측면 형상을 세제액 유출량이 일정하도록 변형시켜 세제액 유출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물리적 세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유출부재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또 유출압이 과하게 작용하더라도 세제액 유출부재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둘레에 다수구의 유출구를 갖는 유출헤드 입구부에 고정링에 의해 고정되는 액체 유출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셀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거나, 또는 패킹의 두께 차 및 상기 유출헤드의 유출구 위치편차로 인한 유출량 불균일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유출부재의 내측면을 외부면과 비례하여 오목하게 형성하여 유출헤드의 전면과 유출부재의 사이에 유출압 분배공간을 갖도록 하여 달성된다.
또한 유출헤드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출부재의 걸림턱은 열과 압력을 더 가하여 강도를 높이거나, 또는 걸림턱의 전면에 보강링을 부착하고, 또 걸림턱의 전면에는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링의 내측면에 마찰홈을 형성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액체 유출부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2는 액체 유출부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종래 액체 유출부재의 유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의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의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용기 11 - 유출헤드
12 - 유출구 13 - 돌출턱
18 - 고정링 30 - 유출부재
32 - 외측면 34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체 유출부재의 설치 구조도이다.
액상의 세제가 보관되는 소형 튜브용기(10)는 그 입구부에 세제액 유출헤드(11)가 결합되고, 그 선단면에 세제액 유출부재(30)가 고정링(18)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세제액 유출헤드(11)의 전면에는 가장자리 일정한 반경으로 작은 유출구(12)가 다수개 형성되고 외주면에 돌출턱(13)이 형성된다. 또 세제액 유출부재(30)는 모자형상과 같이 둘레에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외측면(32)은 둥근 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유출부재(30)를 유출헤드(11)의 선단 전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링(18)을 억지끼움식으로 끼우면, 고정링(18)의 내측단이 유출부재(30)의 걸림턱(34)을 걸어 지지하면서 유출헤드(11) 둘레의 둘출턱(13)에 억지끼움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세제액 유출부재(30)는 스폰지와 같이 연속기포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의 유출부재에 비하여 촘촘하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셀의 크기가 도 4와 같이 중앙부의 셀과 가장자리쪽 셀의 크기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세제액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두께에 비례하여 셀의 크기를 조절하여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셀이 촘촘하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셀의 크기 차에 의해 세제액은 중앙부로 갈 수록 유출양이 많아지며, 이는 유출구(12)의 위치편차 및 두께차에 의해 발생되는 유출량 오차와 상쇄되어 결국 세제액 유출부재(3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로 유출되는 세제액 유출량이 균일한 분포를 갖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출부재 구조도로서, 세제액의 유출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부재(40)의 내측면(42)을 외부면과 유사하게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유출헤드(11)의 전면(14)과 유출부재(40)의 내측면(42) 사이에 공간(45)이 발생되는데, 이는 유출부재의 두께 차와 가장자리로 편재되어 있는 셀의 위치로 인한 유출량 불균일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유출압 분배공간이다.
즉, 유출헤드(11)의 유출구(12)로 유출된 세제액은 일단 유출헤드(11)의 전면(14)과 유출부재(40)의 내측면(4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어 유출구(12)의 편재로 인한 불균일한 분포의 유출압의 오차를 상쇄시킨 후 유출부재(40)의 각 기포공으로 공급된다.
또 유출부재(40)의 각 기포공으로 공급된 세제액은 그 유출거리가 같기 때문에 유출부재(40)의 표면으로 유출되는 유출량이 균일한 분포를 갖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유출부재(30)(40)의 구조에 의해 세제액의 유출량의 분포가 균일해짐에 따라 마찰에 의한 물리적 세탁효과가 세제액의 화학적 세척작용에 의해 상승된 세척효과를 최상으로 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출부재의 밀도가높아짐에 따라 그 표면적이 증가하여 마찰에 의해 물리적 세척효과가 상승하기 때문에 더욱더 세척효과가 상승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출부재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를 배출시키는 유출부재(40a)의 셀의 크기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크기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조시 외측면 쪽으로 내부보다 많은 압을 가하면서 온도를 가하여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 수록 셀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튜브에 작은 힘을 가하게 되면 액체가 외부로 쉽게 유출된다. 이와는 달리 힘을 가하지 않아 용기내의 기압과 외부기압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액체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기가 쓰러져 있더라도 액체가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출부재 구조도이다.
유출헤드(11)로부터 유출부재(50)[도면번호 (30)(40)(40a)도 포함됨]가 탈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54)의 전면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보강링(55)을 부착·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였다.
이 구조에 의해 유출부재(50)의 걸림턱(54)이 과도한 압이나 여러회 사용에 따른 피로로 고정링(18)으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 보강링(55) 없이 유출부재(50)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출부재(50)의 걸림턱(54)을 성형할 때 열과 압력을 더 가하여 밀도를 높임으로 결국 강도를 높였다.
이 구조에 의해 보강링(55) 없이도 유출부재(50)가 고정링(18)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 유출부재(50)가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걸림턱(54)의 전면에 마찰돌기(57a)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링(18)의 내측면에 마찰홈(57b)을 형성하였다.
이 구성에 의해 유출부재(50)의 걸림턱(54)과 고정링(18)의 마찰돌기(57a)와 마찰홈(57b)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과도한 압이 가하여지더라도 유출부재(50)가 고정링(18)으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출부재는 부분 세척제 튜브용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용도의 액체를 유출시키는 모든 용기에 적용 가능하므로 그 적용범위는 부분 세척제 튜브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폭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활용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분 세척제 튜브용기의 세제 유출부재는 세제액이 유출되는 셀들을 종래의 유출부재에 비하여 촘촘하게 형성하고, 또 기포공의 크기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쪽으로 갈 수록 커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거나, 또는 유출부재의 내측면을 외부면과 유사하게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세제의 유출량이 균일한 분포를 갖게 됨에 따라 세제의 화학적 세척효과와 함께 옷감과의 마찰에 의한 물리적 세척효과가 어우러져 최상의 세척효과를 득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또한 셀의 크기가 내부보다 외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은 힘을 가하여도 액체의 유출이 쉬운 반면, 힘을 가하지 안은 자연상태에서 용기내의 기압과 외부기압이 동일할 때에는 액체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기가 쓰러져 있지더라도 액체가 유출되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턱의 전면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의 보강링을 부착·설치하거나,유출부재의 걸림턱을 성형할 때 열과 압력을 더 가하여 밀도를 높임여 강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걸림턱의 전면에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링의 내측면에 마찰홈을 형성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로도가 쌓이고 세제의 유출시 과도한 힘을 가하여도 유출부재가 고정링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유출구를 갖는 유출헤드 입구부에 설치되는 연속기포 발포체로 이루어진 유출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쪽으로 셀이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2. 유출구를 갖는 세제액 유출헤드 입구부에 설치되는 연속기포 발포체로 이루어진 유출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유출량 불균일 오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패킹의 내측면을 외부면과 비례하여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유출헤드 전면과 유출부재의 사이에 유출압 분배공간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3. 유출구를 갖는 세제액 유출헤드 입구부에 설치되는 연속기포 발포체로 이루어진 유출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내측면에서 외측의 표면쪽으로 갈수록 셀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내측면에서 외측의 표면쪽으로 갈수록 셀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박판의 보강링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전면에 마찰돌기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고정링의 내측면에 마찰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출부재.
KR20-2002-0034374U 2002-11-18 2002-11-18 액체 유출부재 KR200305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374U KR200305002Y1 (ko) 2002-11-18 2002-11-18 액체 유출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374U KR200305002Y1 (ko) 2002-11-18 2002-11-18 액체 유출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002Y1 true KR200305002Y1 (ko) 2003-02-19

Family

ID=4940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374U KR200305002Y1 (ko) 2002-11-18 2002-11-18 액체 유출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0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9719B (ko)
KR101319148B1 (ko) 세탁―추출 기계
US10743741B2 (en) Dishwasher
KR200305002Y1 (ko) 액체 유출부재
US8505145B2 (en) Central core for a cleaning sponge roller
US11702788B2 (en) Dispense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US6659851B2 (en) Fastening device for polishing paper cloth
CN103534401A (zh) 分配装置
JP6474037B2 (ja) パッキン及び水洗式大便器
AU2020201474A1 (en) Washing drum for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drum
CN109068901A (zh) 喷淋头
CN220550358U (zh) 衣物处理装置
KR200263119Y1 (ko) 페인트량 고르기용 돌기가 형성된 페인트통
CN218112115U (zh) 一种防堵漏喷头底板
CN213007148U (zh) 废液收集槽
CN116998988A (zh) 一种清洁设备水箱及清洁设备
CN218423651U (zh) 一种喷嘴结构及涂胶显影设备
CN111519379B (zh) 衣物处理设备
JP2824199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用濾板
US202002483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272136B (en) Center core of sponge roller for cleaning
KR101558657B1 (ko) 드럼 회전식 도금 장치
CN111519382A (zh) 衣物处理设备
JP5398847B2 (ja) 回転式単室型濾過機
KR0135830Y1 (ko) 세탁기의 유연제 투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