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892Y1 -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892Y1
KR200303892Y1 KR20-2002-0031489U KR20020031489U KR200303892Y1 KR 200303892 Y1 KR200303892 Y1 KR 200303892Y1 KR 20020031489 U KR20020031489 U KR 20020031489U KR 200303892 Y1 KR200303892 Y1 KR 200303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withdrawal
case
busin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화
Original Assignee
신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화 filed Critical 신재화
Priority to KR20-2002-0031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7/00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 B42F17/18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in which the cards are stored in a fla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2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함을 보관하기 위한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량의 명함을 손상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상태의 명함을 정확하게 한장씩쉽게 인출하여 상대방에게 건넬 수 있도록 한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량의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명함케이스의 수용공간을 확장하고,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재치된 상태의 명함을 상부로 밀어주는 재치대를 설치하며, 상기 재치대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는 명함을 측면의 인출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동시에 명함 인출 후 자동으로 재인출 대기상태로 복원되는 명함 인출수단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및 커버가 인위적인 개방작업에 의하지 않고서는 개방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명함의 분실을 방지하는 시건장치를 케이스 및 커버의 양측에 설치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Draw out easy case of a name card}
본 고안은 명함을 보관하기 위한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량의 명함을 손상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상태의 명함을 정확하게 한장씩쉽게 인출하여 상대방에게 건넬 수 있도록 한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명함은 자신의 직장명과 성명,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인쇄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소개를 지면상으로 간략하게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명함을 주로 지갑이나 상의 주머니 및 와이셔츠의 주머니 등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대방과 상호 인사시 이를 인출하여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명함을 보관할 경우에는 종이재질로 된 명함이 구겨지는 등의 손상이 있고, 명함을 인출할 때에는 명함과 함께 보관된 다른 종류의 물품이 동시에 인출되므로써 명함을 쉽게 주고 받을 수 없으며, 명함 교환시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들어 명함만을 전용으로 별도 보관할 수 있는 명함케이스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명함케이스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명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한쌍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중간부위가 힌지로 결합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의 대향된 위치에는 케이스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개폐됨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시건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명함케이스는 명함을 보관하거나 인출할 때 마다 매번케이스를 개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명함케이스를 주머니 등에 넣어 보관함에 따라 분실의 우려가 높으며, 명함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협소하여 한번에 소량의 명함만을 수용할 수 있어 수시로 명함을 보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커버에 설치된 인출작동구를 일측으로 밀면 자동으로 낱장의 명함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명함 인출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인출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을 고안의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수용공간을 넓혀 다량의 명함을 손상없이 보관함은 물론 케이스에 휴대용클립을 부설하여 휴대가 간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량의 명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명함케이스의 수용공간을 확장하고,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지속적으로 재치된 상태의 명함을 상부로 밀어주는 재치대를 설치하며, 상기 재치대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는 명함을 측면의 인출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는 동시에 명함 인출 후 자동으로 재인출 대기상태로 복원되는 명함 인출수단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및 커버가 인위적인 개방작업에 의하지 않고서는 개방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명함의 분실을 방지하는 시건장치를 케이스 및 커버의 양측에 설치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명함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명함 인출상태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명함 인출수단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원터치버클과 걸림돌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명함 10: 케이스본체 11: 수용공간
12: 인출홈 14: 휴대용클립 20: 재치대
21: 스프링 30: 커버 31: 내향턱
32: 가이드홈 40: 명함 인출수단 43: 압지판
44: 인출부재 46: 인장스프링 50: 시건장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이 마련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명함(1)이 재치되는 재치대(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명함(1)의 이탈 및 분실을 방지하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가이드홈(32)을 타고 수평이송 하면서 명함(1)을 정확하게 1장씩 외부로 인출시키는 명함 인출수단(40)과, 상기 커버(30) 및 케이스본체(10)에 설치되고 상호간 결합을 통해 커버(30)와 케이스본체(10)가 분리됨을 방지하는 시건장치(50)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실시 가능할 정도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명함(1)이 수용되는 케이스본체(10)는 사각체의 형상으로 보다 많은 양의 명함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수용공간(11)이 확보되고 길이방향의 일측면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인출홈(12)이 형성되어 이 인출홈(12)을 통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명함(1)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이 마련되된다.
또한 케이스본체(10)의 저면에는 종래 대부분의 명함케이스가 휴대가 곤란했던 점을 감안하여 벨트나 외투 및 양복 등의 안주머니에 끼워서 휴대할 수 있도록휴대용클립(14)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공간(11)에 설치되는 재치대(20)는 상부면에 명함(1)이 재치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스프링(21)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 스프링(21)은 수용공간(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스프링홀더(15)에 끼워지게 고정되므로써 항상 명함(1)을 상부로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명함(1)을 사용함에 따라 수용된 수량이 줄어들더라도 최상부의 명함(1)은 항상 인출홈(12)과 수평선상으로 위치되어 외부로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명함(1)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커버(30)는 상부면이 만곡진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의 사방 테두리부는 내측으로 함몰되게 내향턱(31)이 형성되어 케이스본체(10) 상단에 상기 내향턱(31)이 안착되므로써 커버(30)가 사방으로 유동하는 일이 없으며 바닥면의 중앙에는 커버(30) 내부에 설치되는 명함 인출수단(40)의 인출부재(44)가 이송할 수 있는 이송경로(31a)가 형성되는 한편 상부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을 갖는 요입부(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32)을 타고 선택적으로 이송하면서 인출홈(12)을 통해 외부로 명함을 낱장의 형태로 인출시키는 명함 인출수단(40)은 상부면에 가이드홈(32)을 따라 수평상태로 이송하는 사각체의 가이드축(41)이 일체로 입설되고 이 가이드축(41) 양측에는 이탈방지편(42)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재치대(20)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명함(1)을 압지하여 인출홈(12)으로 수평이송시키는압지판(43)이 형성된 인출부재(44)와, 상기 가이드축(41) 상부에 결합되는 인출작동구(45)와, 상기 인출부재(44)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항상 명함(1)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는 인장스프링(46)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압지판(43)은 명함(1)에 밀착됨이 우수하도록 고무재 및 우레탄,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원형단면의 미끄럼방지돌기가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보다 확실하게 명함(1)을 압지하므로써 이송경로(31a)를 따라 수평상태로 이송시 명함(1)이 압지판(43)과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인출작동구(45)는 상부에 산형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 형성된 끼움봉(45a)이 가이드축(41)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홀(41a)에 끼워지게 결합되며 요입부(33)에 안착된 상태로 인출부재(44)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재(4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46)은 가이드축(41) 및 커버(30)의 내면에 돌출형성된 스프링돌기(46a) 사이에 탄설되는 것으로 명함(1)이 인출된 후 자동으로 인출부재(44)를 원위치로 당겨주어 명함(1)을 재인출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스본체(10)와 커버(30)가 분리됨을 방지하는 시건장치(50)는 도 5와 같이 커버(30)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요홈(51)이 형성되고 이 요홈(51)에는 걸림돌기(5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30)에 대응하는 케이스본체(10)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52)게 걸어지는 원터치버클(53)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통해 명함의 인출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재치대(20)에 재치된 명함(1)은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항상 상부로 밀리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도 2와 같이 인출홈(12)에 수평선상으로 위치되고 동시에 인출부재(44)의 압지판(4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21)의 강력한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인출부재(44)는 이탈방지편(42)이 요입부(33)의 저면에 밀착되어 더이상 상부로 이송하지 않고 압지판(43)이 인출홈(12)에 수평선상으로 정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2와 같이 인출작동구(45)를 인출홈(12) 방향으로 밀면 인출부재(44)가 이송경로(31a)를 따라 이송하면서 압지판(43)에 압지된 최상부의 명함을 수평상으로 함께 이송시키면서 인출홈(12)을 통해 외부로 명함(1)을 인출시키게 된다.
즉 인출작동구(45)를 밀기만 하면 자동으로 1장씩의 명함(1)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출이 완료된 후 인출작동구(45)를 놓으면 인장스프링(46)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부재(44)는 자동으로 원위치되어 재차 명함을 인출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인출작동구를 일측으로 밀면 자동으로 낱장의 명함이 외부로 인출됨은 물론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자동으로 명함을 재인출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넓은 수용공간의 확보를 통해 다량의 명함을 손상없이 안정되게 보관할수 있고 휴대용클립을 이용하여 명함케이스를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다량의 명함(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마련되고 일측면에 인출홈(12)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1)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한쌍의 스프링홀더(15)가 형성된 케이스본체(10)와,
    상기 스프링홀더(15)에 저부에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일체 설치된 한쌍의 스프링(21)이 끼워지게 고정되고 상부면에 재치되는 명함(1)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재치대(20)와,
    상기 케이스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는 내향턱(31)이 바닥면 사방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이송경로(31a)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2)을 갖는 요입부(33)가 형성된 커버(30)와,
    상기 가이드홈(32)을 타고 선택적으로 이송하면서 인출홈(12)을 통해 외부로 명함(1)을 1장씩 인출시키는 명함 인출수단(40)과,
    상기 커버(30)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요홈(51)에 걸림돌기(52)가 돌설되고 이 걸림돌기(52)에 걸어지는 원터치버클(53)이 케이스본체(10) 양측면에 설치된 시건장치(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명함 인출수단(40)은 커버(30)에 형성된 가이드홈(32)을 타고 이송하는 가이드축(41)이 상부면에 형성되고 이 가이드축(41) 양측에는 이탈방지편(42)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명함(1)에 밀착이 용이한 연성재질의 압지판(43)이 형성된 인출부재(44)와,
    상기 가이드축(41) 상부의 끼움홀(41a)에 끼움봉(45a)이 끼워지게 결합된 채 요입부(33)에 안착되어 인출부재(44)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출작동구(45)와,
    상기 가이드축(41) 및 커버(30) 내면에 형성된 스프링돌기(46a) 사이에 연결되어 명함(1) 인출 후 인출부재(44)를 원위치로 복원시켜 재인출 대기상태로 유지시키는 인장스프링(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0)의 저면에는 휴대용클립(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KR20-2002-0031489U 2002-10-22 2002-10-22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KR200303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89U KR200303892Y1 (ko) 2002-10-22 2002-10-22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89U KR200303892Y1 (ko) 2002-10-22 2002-10-22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892Y1 true KR200303892Y1 (ko) 2003-02-11

Family

ID=4933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89U KR200303892Y1 (ko) 2002-10-22 2002-10-22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8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38B1 (ko) 2010-07-07 2013-07-03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명함 보관함
KR101934964B1 (ko) * 2017-05-29 2019-01-03 최영오 명함 케이스
CN113044359A (zh) * 2021-04-02 2021-06-29 北京成珑巨灵贸易有限公司 一种血糖仪试纸存储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38B1 (ko) 2010-07-07 2013-07-03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명함 보관함
KR101934964B1 (ko) * 2017-05-29 2019-01-03 최영오 명함 케이스
CN113044359A (zh) * 2021-04-02 2021-06-29 北京成珑巨灵贸易有限公司 一种血糖仪试纸存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9333A (en) Namecard holder and dispenser
JPH0832283A (ja) 部品集合体とその供給装置
KR200303892Y1 (ko) 인출이 용이한 명함케이스
CN102647924A (zh) 卡保持器具
US20090084012A1 (en) Low profile name card carrier
KR200480724Y1 (ko) 휴대폰 케이스 구조체
CN213847244U (zh) 电子设备用保护罩
US6843369B2 (en) Pop-up toilet paper dispenser
KR101529168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6155456A (en) Card holder and dispenser
KR101750677B1 (ko) 카드 홀더
KR101176767B1 (ko) 복합 명함케이스
JP2005143988A (ja) 携帯機器収容具
KR200470734Y1 (ko) 명함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명함케이스
US5894954A (en) Business card dispenser
KR200230227Y1 (ko) 표찰케이스
KR102109505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90030925A (ko)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JP3209086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用ケース
US20030217936A1 (en) Business card retainer system
US20070167060A1 (en) Card dispenser
KR20200012275A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수첩
KR20190052886A (ko) 메모지 디스펜서
US20220258524A1 (en) A clipboard apparatus
KR102359318B1 (ko) 인출이 용이한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