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767B1 - 복합 명함케이스 - Google Patents

복합 명함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767B1
KR101176767B1 KR1020120032238A KR20120032238A KR101176767B1 KR 101176767 B1 KR101176767 B1 KR 101176767B1 KR 1020120032238 A KR1020120032238 A KR 1020120032238A KR 20120032238 A KR20120032238 A KR 20120032238A KR 101176767 B1 KR101176767 B1 KR 101176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siness card
withdrawal
hole
car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호
Original Assignee
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호 filed Critical 강윤호
Priority to KR102012003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부에 슬라이드장공(112)을 천공하고 일 측방을 개구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폐하도록 하되 수직으로 인출공(121)을 형성한 개폐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 전후 측에 고정하는 전후플레이트(130a, 130b)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후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플레이트(14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에 설치하여 인출공(121)으로 명함을 밀어내는 인출수단(150)으로 구성하므로, 명함케이스를 사원증이나 ID카드 케이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중 휴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된 명함을 원터치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명함케이스{complex Business card case}
본 발명은 복합 명함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원증이나 ID카드 케이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명함케이스를 제공하여 이중 휴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로 보관 명함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은 자신의 직장명과 성명, 전화번호 및 주소 등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인쇄하여 타인에게 자신의 소개를 지면상으로 간략하게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명함을 주로 지갑이나 상의 주머니 및 와이셔츠의 주머니 등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대방과 상호 인사시 이를 인출하여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명함을 보관할 경우에는 종이재질로 된 명함이 구겨지는 등의 손상이 있고, 명함을 인출할 때에는 명함과 함께 보관된 다른 종류의 물품이 동시에 인출됨으로써 명함을 쉽게 주고 받을 수 없으며, 명함 교환시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들어 명함만을 전용으로 별도 보관할 수 있는 명함케이스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명함케이스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를 이용하여 명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한 쌍의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중간부위가 힌지로 결합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의 대향된 위치에는 케이스가 외력에 의해 쉽게 개폐됨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시건장치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명함케이스는 명함을 보관하거나 인출할 때마다 매번 케이스를 개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명함케이스를 주머니 등에 넣어 보관함에 따라 분실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명함케이스를 사원증이나 ID카드 케이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중 휴대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명함케이스에 보관된 명함을 원터치로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합 명함케이스는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부에 슬라이드장공을 천공하고 일 측방을 개구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폐하도록 하되 수직으로 인출공을 형성한 개폐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전후 측에 고정하는 전후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후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임의 슬라이드장공에 설치하여 인출공으로 명함을 밀어내는 인출수단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명함케이스는 내부플레이트의 앞측 공간에 사원증이나 ID카드를 삽입하고 후측 공간에 다수 장의 명함을 넣어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동작버튼을 원터치로 슬라이딩시켜 명함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공의 경사면을 명함의 전단이 가이드되고 내부플레이트의 탄성돌기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하여 명함이 줄어드는 경우라도 원활하게 명함을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명함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명함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명함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명함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명함케이스의 개폐프레임 체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명함케이스(100)는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부에 슬라이드장공(112)을 천공하고 일 측방을 개구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폐하도록 하되 수직으로 인출공(121)을 형성한 개폐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 전후 측에 고정하는 전후플레이트(130a, 130b)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후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플레이트(14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에 설치하여 인출공(121)으로 명함을 밀어내는 인출수단(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내부면에 돌출편(111)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상향으로 체결고리(114)를 형성하며, 상부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장공(112)을 천공한다.
나아가, 프레임(110)의 내측 전후 단에는 걸림턱(115)을 형성하여 전후플레이트(130a, 130b)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110)의 개구부 측 상단에는 힌지(113)를 형성한다.
상기 개폐프레임(120)은 프레임(110)의 힌지(113)와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는 힌지(124)를 상단에 형성하고 하측에 체결돌기(123)를 돌출시키되 수직으로 인출공(1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출공(121)의 내측에는 경사면(122)을 형성하여 인출되는 명함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플레이트(130a, 130b)는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투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플레이트(140)는 전 후면에 탄성돌기(142)를 다수개 돌출시키고, 배면 상측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돌출부(141)를 형성한다.
여기서 탄성돌기(142)는 우레탄이나 볼스프링을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내부플레이트(140)의 상하에는 지지편(143)을 돌출시키되 지지편(143)에 프레임(110)의 돌출편(111)과 대응하는 가이드홈(144)을 형성한다.
또한, 내부플레이트(140)의 상측 지지편(143)에는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가이드공(146)을 천공한다.
더불어, 상측 지지편(143)의 내부면에는 걸림턱(147)을 형성하되 걸림턱(147)을 가이드공(146) 앞측에 형성한다.
한편, 하측 지지편(143)에는 개폐프레임(120)의 체결돌기(123)와 대응하는 체결홈(145)을 형성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편(143)의 배면 측에는 걸림턱(148)을 후플레이트(130b)를 정확하게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수단(150)은 인출바(151)를 내부플레이트(140)의 상측 지지편(143) 저면에 설치하되 전단에 스프링(157)을 결합하고 스프링(157)을 지지편(143)의 걸림턱(147)에 걸리도록 하여 탄력 설치한다.
여기서 인출바(151)의 전단에는 상향으로 슬라이드편(152)을 형성하여 지지편(143)의 가이드공(146)과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을 관통시켜 외부로 돌출시키되, 돌출된 슬라이드편(152)에 동작버튼(153)을 결합한다.
더욱이, 인출바(151)의 후단에는 하향으로 인출브래킷(154)을 결합하고 인출브래킷(154)에 걸림편(156)을 형성한다.
나아가, 인출브래킷(154)에는 수평으로 가이드홈(155)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40)의 가이드돌출부(141)에 대응 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프레임(120)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플레이트(140)의 앞측 공간에 사원증이나 ID카드를 삽입하면 내부플레이트(140)의 탄성돌기(142)에 의해 정확하게 수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내부플레이트(140)의 후측 공간에 다수 장의 명함을 넣은 다음 개폐프레임(120)을 닫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체결고리(114)에 끈 등을 연결하여 목에 걸어 사용한다.
명함을 인출하고자 할 때 동작버튼(153)을 인출공(121)측으로 원터치로 슬라이딩시키면, 인출바(151)도 인출공(121)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출바(151)의 후단에 결합된 인출브래킷(154)의 걸림편(156)이 명함을 밀어 인출공(121)을 관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때 인출공(151)의 경사면(122)을 명함의 전단이 가이드되어 다량의 명함이 인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더욱이 내부플레이트(140)의 탄성돌기(142)에 의해 가압상태를 유지하여 명함이 줄어드는 경우라도 인출공(151) 측으로 세팅상태를 유지하므로 원활하게 명함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개폐프레임(120)의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하여 부족한 명함을 보충하거나 사원증이나 ID카드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복합 명함케이스 110 : 프레임
111 : 돌출편 112 : 슬라이드장공
113 : 힌지 114 : 체결고리
115 : 걸림턱 120 : 개폐프레임
121 : 인출공 122 : 경사면
123 : 체결돌기 124 : 힌지
130a, 130b : 전후플레이트
140 : 내부플레이트 141 : 가이드돌출부
142 : 탄성돌기 143 : 지지편
144 : 가이드홈 145 : 체결홈
146 : 가이드공 147 : 걸림턱
148 : 걸림턱 150 : 인출수단
151 : 인출바 152 : 슬라이드편
153 : 동작버튼 154 : 인출브래킷
155 : 가이드홈 156 : 걸림편
157 : 스프링

Claims (5)

  1.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부에 슬라이드장공(112)을 천공하고 일 측방을 개구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 개구부에 결합하여 개폐하도록 하되 수직으로 인출공(121)을 형성한 개폐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 전후 측에 고정하는 전후플레이트(130a, 130b)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전후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플레이트(14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에 설치하여 인출공(121)으로 명함을 밀어내는 인출수단(1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내부면에 돌출편(111)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상향으로 체결고리(114)를 형성하며, 프레임(110)의 내측 전후 단에는 걸림턱(115)을 형성하여 전후플레이트(130a, 130b)의 테두리가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프레임(120)은 프레임(110)에 결합하여 회동되게 하고 수직으로 인출공(121)을 형성하되, 인출공(121)의 내측에는 경사면(122)을 형성하여 인출되는 명함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플레이트(140)는 전 후면에 탄성돌기(142)를 다수개 돌출시키고, 배면 상측에는 수평으로 가이드돌출부(141)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플레이트(140)의 상하에는 지지편(143)을 돌출시키되 지지편(143)에 프레임(110)의 돌출편(111)과 대응하는 가이드홈(144)을 형성하고, 상측 지지편(143)에는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가이드공(146)를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150)은 인출바(151)를 내부플레이트(140)의 상측 지지편(143) 저면에 스프링(157)으로 탄력 설치하되, 인출바(151)의 전단에는 상향으로 슬라이드편(152)을 형성하여 지지편(143)의 가이드공(146)과 프레임(110)의 슬라이드장공(112)을 관통시켜 외부로 돌출시키고 슬라이드편(152)의 상부에 동작버튼(153)을 결합하며, 인출바(151)의 후단에는 하향으로 인출브래킷(154)을 결합하되 인출브래킷(154)에 걸림편(156)을 형성하고 인출브래킷(154)에 수평으로 가이드홈(155)을 형성하여 내부플레이트(140)의 가이드돌출부(141)에 대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명함케이스.
KR1020120032238A 2012-03-29 2012-03-29 복합 명함케이스 KR10117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38A KR101176767B1 (ko) 2012-03-29 2012-03-29 복합 명함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38A KR101176767B1 (ko) 2012-03-29 2012-03-29 복합 명함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767B1 true KR101176767B1 (ko) 2012-08-23

Family

ID=4688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38A KR101176767B1 (ko) 2012-03-29 2012-03-29 복합 명함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009A1 (ko) * 2014-07-02 2016-01-07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27Y1 (ko) 2001-01-31 2001-07-04 김보영 표찰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27Y1 (ko) 2001-01-31 2001-07-04 김보영 표찰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009A1 (ko) * 2014-07-02 2016-01-07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KR20160004006A (ko) * 2014-07-02 2016-01-12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KR101699768B1 (ko) * 2014-07-02 2017-02-13 (주)상일씨앤씨 표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375B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card case for contactless and chip and pin cards
US9369167B2 (en) Cellular-phone case having retractable card holding structure
US9788618B2 (en) Compression card holder
KR200483756Y1 (ko)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150012671A (ko) 카드 수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176767B1 (ko) 복합 명함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680240B1 (ko) 조립식 수납부를 구비한 탁상달력
KR200472522Y1 (ko) 내용물 인출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지갑
KR102177667B1 (ko)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수첩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KR200457209Y1 (ko) 서랍장
KR20190001795U (ko) 카드 인출 수단을 구비한 카드 지갑
CN107874421B (zh) 一种多功能钥匙卡套
CN207281883U (zh) 一种下机芯及金融自助终端
KR200478448Y1 (ko) 덮개형 카드 수납 케이스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N207281884U (zh) 一种下机芯及金融设备
CN207444499U (zh) 一种多功能钥匙卡套
KR101802494B1 (ko)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JP3212531U (ja) 財布
CN204291057U (zh) 多功能储蓄手机套
CN204926335U (zh) 一种遗忘回收钞箱的卡销机构
JP3203063U (ja) カード入れ
CN205468050U (zh) 一种带固定功能的碳纤维卡盒
KR200478580Y1 (ko) 카드 인출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