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38Y1 -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 Google Patents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38Y1
KR200303538Y1 KR20-2002-0027430U KR20020027430U KR200303538Y1 KR 200303538 Y1 KR200303538 Y1 KR 200303538Y1 KR 20020027430 U KR20020027430 U KR 20020027430U KR 200303538 Y1 KR200303538 Y1 KR 200303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ottle
ice coating
holder
bever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환기
Original Assignee
백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환기 filed Critical 백환기
Priority to KR20-2002-0027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에 얼음막을 형성하기 위한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류나 음료의 병 표면에 얼음막을 형성하여 보다 오랜 시간 병의 내용물을 냉장상태로 보관하고, 또한 냉장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아이스코팅 패널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아이스코팅 홀더가 형성되고, 아이스코팅 홀더와의 연결부분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된다. 또한 아이스코팅 패널의 저면에는 사방이 개방된 받침수단이 설치되어 아이스코팅 홀더에 삽입된 병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의 얼음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주류나 음료 등의 병에 일정두께의 얼음막을 형성하므로 단순히 냉장 보관된 병보다 오랜 시간 병의 내용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시원하고 청량감 있는 주류나 음료의 제공이 가능하고, 그리고 병속의 내용물이 장시간 최적의 맛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류나 음료의 냉장효과를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나타내므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A Maker For Ice Coating Bottles}
본 고안은 병에 얼음막을 형성하기 위한 아이스코팅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주병이나 맥주병 및 음료수병 등의 각종 병에 얼음막을 형성하여 병속의 내용물을 장시간 냉장보관하고 확실한 청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와 맥주 등의 주류(酒類)는 함유된 알콜성분에 의해 상온에서는 그 본래의 맛이 저하된다. 그리고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청량음료의 경우에도 함유된 탄산성분에 의해 상온에서는 그 본래의 맛이 저하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주류와 음료는 직사광선을 피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하며, 바로 소비되는 주류는 일정 시간 냉장 보관된다.
이와 같이 냉장 보관된 주류나 음료는 알콜이나 탄산성분이 주는 특유의 미감외에 시원한 청량감으로 인하여 주류나 음료를 마시는 사람의 만족도를 한층 고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냉장 보관된 주류나 음료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의 주류나 음료 판매업소에서는 주류나 음료를 냉장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주류나 음료의 냉장 보관방법은 단순히 냉장고를 이용하여 주류나 음료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므로 제공된 주류나 음료를 장시간 적정 냉장온도로 지속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소비자가 시각적으로 냉장 효과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냉장고에 보관된 주류나 음료는 초기에는 시원한 청량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외부의 따뜻한 온도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주류나 음료 고유의 맛이 저하되고, 또한 청량감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냉장 보관된 주류나 음료는 손으로 잡아보기 전에는 그 냉장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제공된 주류나 음료가 냉장 보관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소비자의 불만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불만은 주류나 음료 판매업소의 서비스 수준과 신뢰도를 저하시켜 매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류나 음료의 병 표면에 얼음막을 형성하여 보다 오랜 시간 병의 내용물을 냉장상태로 보관할 있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류나 음료의 병 표면에 얼음막을 형성하여 주류나 음료의 냉장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이스코팅 성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아이스코팅 성형기의 아이스 코팅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얼음막이 형성된 병에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병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이스코팅 성형기 20 : 아이스코팅 패널
21 : 라운딩부 30 : 아이스코팅 홀더
31 : 몸통수용부 32 : 마개부 수용홈
35 : 수위조절구멍 40 : 앵글조립체
41 : 앵글 50 : 병
51 : 몸통부 52 : 마개부
60 : 커버 61 : 미끄럼 방지홈
62 : 엠보싱 70 : 얼음막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아이스코팅 홀더가 형성되고 아이스코팅 홀더와의 연결부분에는 아이스코팅 홀더의 내부로 물이 신속하게 담아지도록 라운딩부를 형성한 아이스코팅 패널과, 상기 아이스코팅 패널을 받쳐주며 사방이 개방되어 신속한 냉동 및 해동이 되도록 하는 역할의 받침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10)는 크게 아이스코팅 패널(20)과 받침수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아이스코팅 패널(20)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에 다수개의 아이스코팅 홀더(30)가 하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아이스코팅 패널(20)과 각각의 아이스코팅 홀더(30)의 연결부분에 라운딩부(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라운딩부(21)는 병(50)이 삽입된 아이스코팅 홀더(30)의 내부로 물이 신속하게 담아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아이스코팅 홀더(3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수용부(31)와 마개부 수용홈(32)으로 이루어지고, 몸통수용부(31)는 삽입되는 병(50)의 몸통부(51)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몸통수용부(31)의 지름이 병(50)의 몸통부(51) 지름보다 대략 6~8mm정도 더 큰 지름으로 형성한다. 그 이유는 병(50)의 둘레에 대략 3~4mm 두께의 얼음막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아이스코팅 홀더(30)의 외측면 상부에는 수위조절구멍(35)이 형성되어 아이스코팅 홀더(30)에 유입된 물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게 된다.
마개부 수용홈(32)은 병(50)의 마개부(52)가 삽입되는 홈으로서 아이스코팅 홀더(30)에 삽입된 병(50)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마개부 수용홈(32)은 병(50)의 마개부(52) 지름보다 대략 0.3mm정도 크게 형성되므로 삽입된 병(50)이 쉽게 분리되고, 병(50)의마개부(52)에 형성된 얼음막은 그 두께가 얇으므로 해동과정에서 해동되어 바로 소멸된다.
이와 같은 아이스코팅 패널(20)과 아이스코팅 홀더(30)는 신속한 냉동과 해동, 그리고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의 다른 적합한 합금판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아이스홀더(30)는 주류나 음료의 병(50)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받침수단은 아이스코팅 패널(20)을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받침수단의 바람직한 예로 본 고안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앵글(41)이 조립된 앵글조립체(40)를 아이스코팅 패널(20)의 저면측에 설치하였다. 이러한 앵글조립체(40)는 사방이 개방된 형상이므로 신속한 냉동과 해동, 즉 아이스 코팅의 작업과 아이스 코팅된 병(50)을 아이스코팅 홀더(30)에서 빼내는 해동 작업과 이송 및 운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류나 음료 등의 병(50)에 얼음막(7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아이스코팅 홀더(30)에 병(50)을 삽입한다. 이때 아이스코팅 홀더(30)에 삽입된 병(50)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중심선상에 위치되므로 아이스코팅 홀더(30)의 내주면과 대략 3~4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병(50)의 마개부(52)가 아이스코팅 홀더(30)의 마개부 수용홈(32)에 삽입되어병(50)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이스코팅 패널(20) 위에 물을 부으면 아이스코팅 홀더(30)의 몸통수용부(31)에 물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아이스코팅 패널(20)과 아이스코팅 홀더(30)의 연결부분에 형성된 라운딩부(21)는 몸통수용부(31)에 물이 보다 잘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아이스코팅 홀더(30)에 채워지는 물은 아이스코팅 홀더(30)의 상부에 형성된 수위조절구멍(35)에 의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스코팅 패널(20)의 표면위로 물이 넘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물이 채워진 아이스코팅 성형기(10)를 냉동실에 일정시간 보관하면 몸통수용부(31)에 담아진 물이 냉각되므로 병(50)은 몸통부(51) 표면에 대략 3~4㎜의 얼음막(70)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이때, 냉동시간이 너무 지체되면 병(50)의 내용물도 얼게 되므로 냉동시간은 냉동온도 등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스 코팅이 형성된 주류나 음료 등의 병(50)은 경우에 따라 아이스코팅 홀더(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이스코팅 성형기(10)를 뒤집은 상태에서 아이스코팅 홀더(30)에 상온의 물을 뿌리면, 아이스 코팅된 병(50)은 아이스코팅 홀더(30)에서 쉽게 분리된다.
즉, 상온의 물은 아이스 홀더(30)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는 얼음의 표면을 녹이는 역할을 하므로 아이스 코팅된 병(50)은 아이스코팅 홀더(30)에서 쉽게 분리된다.
그리고 아이스 코팅된 병(5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병(50)의 몸통부(51)에 미끄럼 방지홈(61)과 엠보싱(62)가 각각 형성된 커버(60)를 씌워 주므로 소비자가 얼음부분을 직접 잡지 않고도 병(50)을 잡고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아이스 코팅이 오랜시간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커버(60)는 신축성 있는 라텍스와 같은 고무재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이스 코팅된 주류나 음료의 병(50)은 단순히 냉장 보관된 병보다 병속의 내용물을 장시간 냉장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확실하게 시각적으로 시원한 느낌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이스 코팅된 주류나 음료 및 그 판매업소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아이스코팅 홀더의 형상은 사이다병이나 콜라병 등 각종 음료의 병에 적용가능한 것이고, 또한 소주나 맥주 및 양주 등의 주류병과 각종 드링크류의 병 등에 폭넓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주류나 음료 등의 병에 일정두께의 얼음막을 형성하므로 단순히 냉장 보관된 병보다 오랜 시간 병의 내용물을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보다 시원하고 청량감 있는 주류나 음료의 제공이 가능하고, 또한 병속의 내용물이 장시간 최적의 맛이 유지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류나 음료의 병 표면에 형성된 얼음막으로 인하여 주류나 음료의 냉장효과를 시각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이스 코팅된 주류나 음료 및 그 판매업소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와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표면에 하나 이상의 아이스코팅 홀더(30)가 형성되고 아이스코팅 홀더(30)와의 연결부분에는 아이스코팅 홀더(30)의 내부로 물이 신속하게 담아지도록 라운딩부(21)를 형성한 아이스코팅 패널(20)과,
    상기 아이스코팅 패널(20)을 받쳐주며 사방이 개방되어 신속한 냉동 및 해동이 되도록 하는 역할의 받침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코팅 패널(20)의 아이스코팅 홀더(30)는 병(50)의 둘레에 3~4mm 두께의 얼음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병(50)의 몸통부(51) 지름보다 6~8mm정도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몸통수용부(31)와,
    병(50)의 마개부(52)가 삽입되며, 삽입된 병(50)이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의 마개부 수용홈(32)
    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코팅 패널(20)의 아이스코팅 홀더(30)은 외주면 상부에 수위조절구멍(3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다수개의 앵글(41)이 조립된앵글조립체(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KR20-2002-0027430U 2002-09-12 2002-09-12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KR200303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0U KR200303538Y1 (ko) 2002-09-12 2002-09-12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430U KR200303538Y1 (ko) 2002-09-12 2002-09-12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52A Division KR100533089B1 (ko) 2002-09-12 2002-09-12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538Y1 true KR200303538Y1 (ko) 2003-02-12

Family

ID=4940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430U KR200303538Y1 (ko) 2002-09-12 2002-09-12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5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611253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ice compartment
US7124604B2 (en) Cold beverage server method and apparatus
EP0716728B1 (en) Chilling apparatus
US5732567A (en) Chiller device for a pitcher
US6446460B1 (en) Method of chilling and consum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apparatus therefor
US5299433A (en) Pitcher having means for keeping beverage cold
NZ588210A (en)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for a fluid immersed vessel
US4747274A (en) Device for cooling beverage containers, particularly bottles
KR200303538Y1 (ko)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KR100533089B1 (ko) 보틀용 아이스코팅 성형기
US8240155B2 (en) Method of presenting beer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KR200393934Y1 (ko)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436408Y1 (ko) 음료용기용 보냉기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0286314Y1 (ko) 냉매가 저장된 냉각용 이중용기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KR20080114457A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200406353Y1 (ko) 식탁용 술병 냉장 용기
KR200245484Y1 (ko) 음료 용기 냉장용 테이블
KR200274983Y1 (ko) 냉온 유지를 위한 중 용량 용기
GB2434432A (en) Refrigeration unit for packaged beverages
US20060053826A1 (en) Beverage apparatus for free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