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446Y1 - 어린이용 썰매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446Y1
KR200303446Y1 KR20-2002-0034261U KR20020034261U KR200303446Y1 KR 200303446 Y1 KR200303446 Y1 KR 200303446Y1 KR 20020034261 U KR20020034261 U KR 20020034261U KR 200303446 Y1 KR200303446 Y1 KR 200303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seating
occupant
handle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원
Original Assignee
아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4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62B13/02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 B62B13/04Sledges with runner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runners arranged in a singl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2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1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3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썰매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고,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어깨 넓이를 유지하면서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안착부와 손잡이부가 직선 상에 있도록 연결하며,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손잡이부를 당기면 구부러지되 통상의 몸무게를 가진 어린이가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만 구부러지고, 손잡이부를 놓으면 탄성력으로 펴져 원위치 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썰매를 사용하면, 썰매의 손잡이부에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어 썰매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캐릭터를 홍보할 수 있고, 손잡이부는 탑승자가 팔을 뻗어 어깨 넓이로 잡고,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썰매{THE SLED FOR A CHILD}
본 고안은 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홍보하려는 캐릭터를 시선이 자주 가는 손잡이부에 형성하게 캐릭터를 탑승자에게 홍보하는 동시에 탑승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한 어린이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릭터는 텔레비젼 등의 대중매체나 만화책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홍보된다.
또, 캐릭터의 주 홍보 대상은 연령이 낮은 어린이나 유소년이다.
그런데 텔레비젼 등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를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 만화책 등의 서적을 통한 홍보를 위해서는 스토리가 필요하여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결코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광고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소규모 기업들은 캐릭터를 홍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레저용 썰매는 크게 탑승자가 선체로 질주하도록 된 입식 썰매와 탑승자가 앉아서 질주하도록 된 좌식 썰매로 구분된다.
기존의 좌식 썰매는 일반적으로 손잡이가 없어서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손잡이의 위치가 가슴보다 낮은 위치이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즉, 좌식 썰매는 통상 경사면을 질주하도록 되어 있어 탑승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지 못할 경우 앞으로 넘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는 손잡이가 없는 경우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고, 손잡이가 있더라도 손잡이가 가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없으면 안전사고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손잡이부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곡되어 탑승자의 가슴 높이에 높이도록 한 "썰매(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005호)" 등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썰매는 손잡이부를 잡은 팔의 간격이 좁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좌판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약간의 힘만으로도 절곡이 되도록 요철면체로 되어 있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없었다.
즉, 경사면을 질주하는 좌판에서 앞으로 넘어지지 않는 안정적인 자세는 상체를 약간 뒤로 젖힌 상태인데 손잡이가 너무 쉽게 구부러져 상체를 뒤로 젖힌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유희용 썰매의 손잡이부에 홍보를 위한 캐릭터를 표현하여 유희용 썰매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캐릭터를 홍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된 손잡이부는 탑승자가 팔을 뻗어 어깨 넓이로 잡고,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 안착부가 잘 미끄러져 부드럽게 질주되도록 하고, 탑승자의 엉덩이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썰매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썰매 정면도
도 4는 캐릭터를 결합, 분리하는 일 예
도 5는 도 1의 썰매 사용상태도1
도 6은 도 1의 썰매 사용상태도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착부 11. 돌기
12. 요철 20. 손잡이부
21. 연결홀 25. 캐릭터
30. 연결부
본 고안은 캐릭터가 표현된 손잡이부를 갖는 어린이용 썰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주 이용자가 어린이나 유소년인 썰매를 통해 캐릭터를 홍보할 수 있도록 썰매에 캐릭터를 표현하되 광고효과가 높도록 시선이 자주 가는 부분인 부분인 손잡이부에 캐릭터를 표현한다.
또, 손잡이부는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경사면을 질주할 때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탑승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또, 앉아서 손잡이부를 잡은 탑승자가 상체를 약간 뒤로 젖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질주할 수 있도록 하여 경사면을 질주할 때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이동할 때 탑승자가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썰매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고,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어깨 넓이를 유지하면서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갖는다.
또, 안착부와 손잡이부가 직선 상에 있도록 연결하며,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손잡이부를 당기면 구부러지되 통상의 몸무게를 가진 어린이가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만 구부러지고, 손잡이부를 놓으면 탄성력으로 펴져 원위치 되는 연결부;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안착부(10)는 통상의 좌식 썰매에 구비된 안착부와 같이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안착부(10)의 배면은 지면과 접촉되어 질주되는 부분이다.
그런데 안착부(10)는 지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가 없으면 눈위에서 질주할 때는 안착부(10)로 눈이 들어와 탑승자의 엉덩이부분을 적시고, 물 위에서 질주할 때에는 물이 들어와 탑승자의 엉덩이부분을 적시게 된다.
이와 같이 탑승자의 엉덩이부분이 젖으면 탑승자는 상당한 불쾌감을 느끼고,겨울에는 자칫 동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0)에는 썰매가 질주할 때 주변의 눈이나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는 엉덩이와 접촉되는 부분이 함몰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함몰되는 부분의 깊이는 썰매가 질주할 때 눈이나 물이 썰매의 전방 뿐 아니라 좌, 우측과 뒷부분으로도 들어올 수 없는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부(10)의 밑면에는 썰매가 질주하게 될 방향으로 곧게 뻗은 돌기(11)를 형성하여 썰매가 보다 부드럽게 질주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착부(10)의 밑면과 지면의 마찰력을 줄여 썰매가 보다 부드럽게 질주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돌기(11)는 안착부(10)의 밑면 좌, 우측에 형성하여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돌기(11)는 안착부(10)를 단단한 지면에 안착시킨 후 안착부(10)에 탑승자가 앉았을 때 다른 부분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는 높이로 돌출시키는 것이 지면과 안착부(10)와의 마찰이 최소화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질주로에 작은 돌 등이 박혀있어 돌출된 부분이 있더라도 그 돌출된 부분과 안착부(10)가 부딪히는 확률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출된 부분과 안착부(10)의 돌기(11)가 부딪히더라도 돌기(11)에 의하여 충격이 1차 흡수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반감된다.
한편, 안착부(10)에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부분에 요철(12)을 형성하여 엉덩이가 안착부(10) 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손잡이부(20)는 홍보를 위한 캐릭터(25)를 표현하여 탑승자가 썰매를 이용하는 중에 자주 보게 됨으로써 캐릭터(25)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손잡이부(20)에는 홍보를 위한 캐릭터(25)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보를 위한 캐릭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안착부를 별도로 성형한 후 연결부를 갖도록 연결하되 그 연결부는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다른 예로는 도 4와 같이 손잡이부와 분리, 결합이 가능한 판을 구성하고 이 판에 캐릭터(25)를 표현시켜 필요에 따라 캐릭터가 표현된 판을 손잡이부(20)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손잡이부(20)는 안착부(10)에 앉은 탑승자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갖는 것으로 탑승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런데 안착부(10)에 엉덩이를 안착시킨 상태에서의 안정적인 자세는 팔을 어깨 넓이로 유지하면서 앞으로 뻗은 자세이다.
따라서 손잡이부(20)는 안착부(10)의 전방, 어깨 넓이를 유지하면서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부(20)에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홀(21)을 형성하면 경사면이 아닌 곳에서도 썰매를 탈 수 있다.
즉, 연결홀(21)에 줄을 연결하여 앞에서 타인이 잡아 당김으로써 썰매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연결부(30)는 안착부(10)와 손잡이부(2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서는 썰매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부피가 최소화 되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그러나 안착부(10)에 앉은 탑승자가 경사면을 질주할 때 앞으로 쓰러지지 않는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탑승자가 경사면을 질주할 때 앞으로 쓰러지지 않는 안정적인 자세는 앉아있는 탑승자의 상체가 뒤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고 손은 탑승자의 가슴과 같은 높이로 유지될 수 있는 자세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연결부(30)는 손잡이부(20)와 안착부(10)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직선형의 판 형태를 취한다.
또, 연결부(30)는 안착부(10)에 앉은 탑승자가 손잡이부(20)를 당기면 구부러져 손잡이부(20)를 잡은 손이 탑승자의 가슴 높이에 놓이도록 한다.
또, 탑승자가 당기고 있는 손잡이부(20)를 놓으면 구부러졌던 부분이 펴져손잡이부(20)분이 원위치 되도록 한다.
그런데 탑승자가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결부(30)가 너무 많이 구부러지면 안된다.
따라서, 탑승자 즉, 통상의 몸무게를 가진 어린이가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만 구부러져야 하는 것이다.
한편, 연결부(30)의 측면은 도 1과 같이 오목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다리 내측이 연결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는 안착부(10)의 내측 오목한 부분에 엉덩이를 안착시킨 상태로 탑승한 후 손잡이부(20)의 좌, 우측을 양 손으로 잡고 가슴방향으로 당겨 양 손의 위치가 가슴 높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20)와 팔의 간격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체를 뒷쪽으로 젖혀 약간 기울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경사면을 질주하는데 상기와 같은 자세를 유지하여 경사면을 질주하면 무게 중심이 뒤쪽에 있고, 팔이 가슴 앞에 있는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경사면의 각이 다소 가파르더라도 앞으로 구르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취하면서 질주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탑승자는 썰매를 이용하는 중에 손잡이부(20)에 표현된 캐릭터(25)를자주 보게됨으로써 캐릭터(25)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썰매를 사용하면,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유희용 썰매의 손잡이부에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어 썰매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캐릭터를 홍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된 손잡이부는 탑승자가 팔을 뻗어 어깨 넓이로 잡고,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안착부의 밑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안착부가 부드럽게 질주된다.

Claims (6)

  1. 앉아서 타는 썰매에 있어서,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홍보를 위한 캐릭터가 표현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어깨 넓이를 유지하면서 손을 뻗어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안착부와 손잡이부가 직선 상에 있도록 연결하며, 안착부에 앉은 탑승자가 손잡이부를 당기면 구부러지되 통상의 몸무게를 가진 어린이가 상체를 뒤쪽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만 구부러지고, 손잡이부를 놓으면 탄성력으로 펴져 원위치 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어린이용 썰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캐릭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썰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밑면 좌, 우측에는 질주하는 방향으로 곧게 뻗어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썰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안착부를 단단한 지면에 안착시킨 후 안착부에 탑승자가 앉았을 때 다른 부분이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높이이고,
    상기 손잡이부는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썰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탑승자의 엉덩이와 접촉되는 부분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썰매.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측면이 오목하여 탑승자의 다리 내측이 측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썰매.
KR20-2002-0034261U 2002-11-16 2002-11-16 어린이용 썰매 KR200303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61U KR200303446Y1 (ko) 2002-11-16 2002-11-16 어린이용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61U KR200303446Y1 (ko) 2002-11-16 2002-11-16 어린이용 썰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446Y1 true KR200303446Y1 (ko) 2003-02-11

Family

ID=494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261U KR200303446Y1 (ko) 2002-11-16 2002-11-16 어린이용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42531A1 (en) Seat furniture
US5810376A (en) Sled
EP1020212A1 (fr) Installation pour parc d'attraction
US6250652B1 (en) Child's stroller
US20130005493A1 (en) Swing ride tilting swing chair back and forth
KR200303446Y1 (ko) 어린이용 썰매
US4349209A (en) Snow shuttle
CN200973789Y (zh) 履带式减震轮椅
US4516766A (en) Resilient support for playground seat
KR200401158Y1 (ko) 상체 전방 위치형 스키 타입 썰매
US20030168823A1 (en) Snow boogie
CN211869577U (zh) 一种改进的儿童滑行车
US20110241308A1 (en) Children's vehicle
KR200305880Y1 (ko)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CN106420200A (zh) 一种带购物箱的助行轮椅
KR20190000699U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그네의자
CN211885106U (zh) 具有蹦蹦床、摇摇马、扭扭车、跷跷板多功能变化的玩具
CN212757202U (zh) 一种儿童摇摇马及可推行儿童车
US642436A (en) Track for baby-walkers.
JP3106025U (ja) 揺動木馬
CN206534796U (zh) 一种带购物箱的助行轮椅
JP3709546B2 (ja) 自転車用サドル
JP2522257Y2 (ja) 舵付き橇
JP3076842U (ja) スキーリフト用座席
KR200384624Y1 (ko) 바퀴달린 롤러썰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