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989Y1 -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 Google Patents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989Y1
KR200302989Y1 KR20-2002-0033297U KR20020033297U KR200302989Y1 KR 200302989 Y1 KR200302989 Y1 KR 200302989Y1 KR 20020033297 U KR20020033297 U KR 20020033297U KR 200302989 Y1 KR200302989 Y1 KR 200302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oard
board
folding
rai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진미숙
Original Assignee
김용수
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진미숙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2-0033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하기 편리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등분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평판과 상기 한쌍의 평판이 접어지도록 각 평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의 접철시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바닥면에 도브테일홈을 구비한 도마와 상기 도브테일홈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포함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이형 도마의 접혔을 때에 접히는 부분이 부드러운 형상이 되도록 하고 도마를 폈을 때에는 상기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에 중간도마를 끼워 사용하며 상기 중간도마가 사용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도브테일 형상으로 되며, 접힌 도마내부에 칼 등을 보관하는 보관용 삽입홈이 부설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칼집겸용 접이형 도마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도마의 사용이 자유롭고, 도마를 접었을 때에 각이 지지 않아 모서리가 상할 염려가 없고 휴대가 간편하며, 칼을 도마내부에 보관하며, 상기 레일은 도마를 접었을 때에 도마 내부에 보관되면서, 또한 두 평판의 잠금장치로서 사용되어 별도의 잠금 장치가 필요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Foldable chopping board with container}
본 고안은 휴대하기 편리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등분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평판(10a,b)과 상기 한쌍의 평판이 접어지도록 각 평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구(11)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의 접철시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바닥면에 도브테일홈(14)을 구비한 도마와 상기 도브테일홈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포함한 레일(21a,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레저활동이 활발해 짐에 따라서 야외에서 취사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취사 준비중에 반드시 필요한 도마의 경우에는 그 부피가 상당히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한 점이 많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경우에는 실제 사용시에 표면적이 좁아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하여 실용신안 공개공보 1998-060058과 같은 접는 도마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휴대용 도마를 사용하는 경우는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도마를 사용하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할 경우에는 도마가 접히거나 굽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도마가 접혔을 경우에 생기는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기 때문에 도마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상처를 입을 수 있고 모서리 부분이 쉽게 마모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야외에서 취사 준비를 하는 경우에는 도마외에도 칼, 수세미 등과 같은 용구들도 필요한데 이러한 용구들을 별도로 보관하고, 관리하기보다는 도마내에 함께 보관하는 것이 야외 활동시에 보다 유리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도마의 사용이 자유롭도록 도마 자체에 도마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고정장치가 휴대시에 도마내부에 보관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하거나 분실의 염려가 있는 문제를 해결하며, 상기 고정장치가 접힌 도마의 잠금장치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체적의 증가 없이 모서리부분의 처리가 유연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외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가 장치의 도입 없이 도마내부에 칼과 같은 기타부재를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접은 형태의 도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서의 모든 부품이 체결된 상태의 단면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레일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일부 개방상태의 도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조립전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조립후 평면도이다.(삽입구멍 제외)
도 9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상태의 도마의 조립후 저면도이다.(삽입구멍 포함)
도10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조립후 측면도이다.(삽입구멍 제외)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a,b : 평판 11 : 결합구
12a,b : 중간도마 보관홈 13 : 레일보관홈
14 : 도브테일홈 15 : 보관용삽입홈
16 :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 17 : 삽입구멍
18a,b : 보관돌기 19 : 배수구멍
21a,b : 레일 22 : 돌출결합구
23 : 레일 중간도마 보관홈 31 :중간도마
32 : 여분의 중간도마
본 고안은 휴대하기 편리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등분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평판(10a,b)과 상기 한쌍의 평판이 접어지도록 각 평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구(11)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의 접철시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바닥면에 도브테일홈(14)을 구비한 도마와 상기 도브테일홈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포함한 레일(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조와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접은 형태의 도마의 사시도이다. 도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마는 이등분된 한쌍의 평판(10a,b)을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결합구(11)로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경첩(11)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접철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결합구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도마의 접는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도4에 나타내었다.
도4의 과정을 통하여 펼쳐진 도마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21)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면 도마가 접혀지지 않고 강성을 가지고 전체 면적을 도마의 유효 표면적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레일(21)을 별도로 구비하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분실의 우려와 보관상 어려움이 많으므로 상기 도1에서와 같이 도마가 접힌 경우에, 이동중에 접혀진 도마가 열리지 않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도구로서 상기 레일(21)을 사용함과 동시에, 접힌 도마 내부에 보관하는 두가지 효과를 한번에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레일은 도마가 펼쳐진 경우에는 도마의 굽힘을 방지하는 지지부의 역할을 하고 도마가 접혀진 경우에는 도마가 이동중 열리는 것을 막는 체결구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동중 별도의 보관이나 분실의 염려가 없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접이형 도마의 경우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21)의 단면형상은 도2에서와 같이 상하 대칭이고, 상기 도마는 상기 레일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면형상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갖는 레일보관홈(13)을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마의 각 평판의 바닥면에 더 포함하며, 도2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보관홈(13)의 위치는, 두 평판의바닥면에서, 도마를 접었을 때 레일의 단면형상이 되는 상호 대칭이 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가 설계되었다. 이때 상기 도1의 실시예에서는 도마의 접었을 때의 폭이 도마길이의 1/4정도가 되는 것으로 설계하고 레일은 2개가 1개의 레일보관홈(13)에 보관되어지고 도마가 펼쳐진 경우에는 각각이 도마 바닥면의 도브테일홈(14)에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비율을 따를 필요는 없다. 이때 상기 결합은 반드시 도브테일형상일 필요는 없고 체결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목 부위가 더 좁은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이 되어도 무관하다.
도3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레일에 대한 상세도이다. 레일의 한쪽 편에 돌출결합구(22)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돌출결합구(22)가 레일의 평면높이보다 약간 높게 돌출되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여 레일이 레일보관홈(13)에 삽입시 레일보관홈의 특정부위에 요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합구(22)를 가진 레일이 삽입되는 경우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끼워져 보관될 수 있다.(실시예의 경우에는 도브테일홈(14)이 요부에 해당하도록 하여 별도의 요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레일의 형상으로 도브테일홈(1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레일을 꺼낼 때에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의 도브테일홈을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크기로 확대한 삽입구멍(17)을 설치하거나, 상기 삽입구멍의 반대편에 별도의 삽입구멍(17)을 설치하여 상기 돌출결합구(22)가 레일의 삽입시 구멍에서 걸리도록 하고 레일을 꺼낼 때에는 손가락으로 상기 구멍을 통하여 돌출결합구를 누른 상태에서 레일을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일의 돌출결합구는 한쪽으로만 돌출되어 있으므로 돌출구가 항상 구멍쪽으로 향하도록 레일이 삽입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하여 레일에 좌/우 표시를 하거나, 도면에서는 레일이 좌우 대칭으로 그려져 있지만 레일의 형상을 좌우 비대칭으로 구성하여 좌우가 바뀌어서는 삽입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돌출구가 항상 구멍쪽으로 향하도록 레일이 삽입되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레일(21a,b)이 도마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도마의 고정장치로서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즉,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이 도브테일홈(14)에 삽입되어지는 경우에 레일의 결합돌출구는 레일보관홈(13)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레일보관홈이 결합요부에 해당되어진다. 따라서 레일보관홈의 구멍도 손가락의 삽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레일보관홈 전단부만 확대하여 구성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이 좌우 비대칭인 경우에는 이와 결합되는 도브테일홈과 레일보관홈도 이에 맞게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마가 접혔을 때 도2에서와 같이 경첩부근의 모서리는 유연한 표면을 유지하고 도6에서와 같이 도마를 편 상태에서는 상기 유연한 부위가 중간도마를 결합할 수 있는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16)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마가, 펴졌을 때에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 상의 도마 상면에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을 형성하고, 하면은 상기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16)에 맞물리고 상면은 펴진 도마의 상면과 평행한 단면형상을 갖는 중간도마(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중간도마는 도마를 편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상기 체결방법은 반드시 도브테일형상을 필요로 하지는 않고 체결부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목 부위가 더 좁은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이 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중간도마(31)의 경우도 보관상 유리하도록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마내에 중간도마보관홈(12a,b)을 구비하여 이동시에 상기 중간도마보관홈(12a,b)에 중간도마를 끼워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도마에 상기 중간도마의 단면형상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갖는 중간도마보관홈(12a,b)을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마의 각 평판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 중간도마보관홈을 두개 나타낸 것은 하나는 여분의 중간도마(32)를 보관하기 위한 것이고 도마를 편 경우에는 상기 여분의 중간도마는 도3의 레일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중간에 위치한 여분 중간도마에 대한 레일 중간도마 보관홈(23)에 끼워서 보관한다. 이 경우에 상기 도마의 중간도마 보관홈의 한쪽은 도4에서와 같이 막힌 형태로 구성하여 중간도마가 이동중에 빠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중간도마는 도마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짧게 구성하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도마보관홈(12a,b)의 한쪽은 막힌 상태에서 막힌 면상에보관돌기(18a,b)를 구성하여 반대편의 중간도마 보관홈을 막도록 구성하면 중간도마 보관홈이 완전히 막혀서 이동중에 중간도마 및 여분의 중간도마(31,32)가 도마로부터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마의 사용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칼인데 야외활동시에 칼의 경우는 날카롭기 때문에 보관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도마내에 도4에서와 같이 보관용삽입홈(15)을 구성하여 이동시에 칼을 상기 보관용삽입홈(15)에 넣어서 이동하면 이동시 별도로 칼을 챙기거나, 칼을 분실할 염려도 없고,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마의 각 평판의 바닥면에 대칭되는 위치로 보관용삽입홈(15)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보관용삽입홈(15)을 몇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칼 이외에도 수세미, 숯돌, 세제용기 등 야외활동에 필요한 소품들을 함께 보관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관용 삽입홈에는 도마를 사용하는 경우에 음식물에서 나온 물기가 도마의 상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물기가 빠질 수 있도록 도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구멍(19)을 추가로 설치 할 수 있다. 이상의 배수구멍은 반드시 보관용삽입홈내에 위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관용삽입홈에는 물기가 있는 수세미 등이 보관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물기가 빠질 수 있고 또한 환기구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에 따라 도7은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에 대한 실시예의 완전히 편 상태의 도마의 조립전 저면도이다. 이렇게 펼쳐진 도마에 레일과 중간도마를 결합한 경우에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를 도8 내지 도10에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는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도 도마의 사용이 자유롭도록 도마 자체에 도마가 접히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야외활동시에 바닥의 상태에 관계없이 도마의 사용이 용이하게 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휴대시에 도마내부에 보관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하거나 분실의 염려가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가 도마를 접은 경우에 잠금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잠금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 별도의 체적의 증가 없이 모서리부분의 처리가 유연한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를 제공하여 모서리 부분의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예리한 모서리에 따른 피해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휴대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외에 도마이외의 별도의 부가 장치의 도입 없이 도마내부에 칼과 같은 기타 소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도마내에 구비하여 야외활동시에 상기 기타 소품을 빠트리지 않고 보관할 수 있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등분으로 나누어진 한쌍의 평판과 상기 한쌍의 평판이 접어지도록 각 평판의 한쪽 단부에 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평판의 접철시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바닥면에 도브테일홈을 구비한 도마; 및,
    상기 도브테일홈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포함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2. 제1항에서, 상기 레일의 단면형상은 상하 대칭이고, 상기 도마는 상기 레일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단면형상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갖는 레일보관홈을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마의 각 평판의 바닥면에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보관홈은 도마를 접었을 때 레일의 단면형상이 되는 대칭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3. 제2항에서, 상기 도마가, 펴졌을 때에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 상의 도마 상면에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을 형성하고, 하면은 상기 중간도마체결용 도브테일홈에 맞물리고 상면은 펴진 도마의 상면과 평행한 단면형상을 갖는 중간도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4. 제3항에서, 상기 도마에 상기 중간도마의 단면형상에 맞물리는 단면형상을 갖는 중간도마보관홈을 상기 접철시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마의 각 평판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도마의 각 평판의 바닥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대칭되는 위치로 보관용삽입홈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KR20-2002-0033297U 2002-11-07 2002-11-07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KR200302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97U KR200302989Y1 (ko) 2002-11-07 2002-11-07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297U KR200302989Y1 (ko) 2002-11-07 2002-11-07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989Y1 true KR200302989Y1 (ko) 2003-02-11

Family

ID=4940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297U KR200302989Y1 (ko) 2002-11-07 2002-11-07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5340B2 (ja) 交換可能なシエルを有するスーツケース
USD962329S1 (en) Tripod
US7987981B1 (en) Wrench holder
US6721971B1 (en) Upper corner element of a baby bed
US20070007094A1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USD431305S (en) Paving stone
KR19990072995A (ko) 사슬형도어및부착기구를갖는캐비넷
RU2222483C2 (ru)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KR200302989Y1 (ko)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USD411080S (en) Foldable knife-spatula
KR100744460B1 (ko) 포장박스
KR100744462B1 (ko) 포장박스
US20210387772A1 (en) Storage container
KR200321646Y1 (ko)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USD400437S (en) Foldable carton
JPH0419419U (ko)
KR200233817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151918Y1 (ko) 수동 청소기
CN218390224U (zh) 一种易组装木盒式画架
KR20050114581A (ko) 보관함을 구비한 접이형 도마
CN209834225U (zh) 一种折叠箱
KR200320087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USD461394S1 (en) Steel coil sidewall guard
KR200194668Y1 (ko) 장의용관의 시신 안치장치
KR200355806Y1 (ko) 조립식수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