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423Y1 - 오수처리용 거름망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용 거름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2423Y1 KR200302423Y1 KR20-2002-0033506U KR20020033506U KR200302423Y1 KR 200302423 Y1 KR200302423 Y1 KR 200302423Y1 KR 20020033506 U KR20020033506 U KR 20020033506U KR 200302423 Y1 KR200302423 Y1 KR 2003024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treatment
- bottom plate
- strainer
- presen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처리용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 하면이 개구되어 연통된 콘형상으로 형성되는 거름망본체(10)의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본체(10) 상면의 외주면과 하면테두리부(14)에는, 각각 지지턱(18)과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에는 거름망바닥판(2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은,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에 대응하는형상으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배수공(22a)이 형성되는 바닥부(22)와, 상기 거름망본체(10)의 장착돌기(16)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장착홈(26)이 형성되는 측면테두리부(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 내의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수처리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망바닥판이 거름망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거름망 내의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처리용 거름망에 관한 것이다.
설거지를 하거나 몸을 씻는 경우에, 용기에 남아있는 음식물이나 머리카락 등의 잔류물은 세제와 함께 물로 씻겨 내려진다. 이와 같은 잔류물은 물이 배수되는 하수구멍을 통하여 물과 함께 하수도로 유입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잔류물이 하수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수구멍에 거름망을 설치한다. 상기 거름망은 상면이 개구된 콘 또는 원통 형상으로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수구멍에 유입된 물과 잔류물은, 상기 거름망을 통과하면서, 물은 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배수되지만, 상기 배수부보다 큰 잔류물은 상기 거름망에 의하여 걸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거름망 내에 일정량 이상의 잔류물의 남아 있는 경우, 상기 배수부가 잔류물에 의해 막혀서 물이 잘 배수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거름망으로부터 잔류물을 제거해야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하수구멍으로부터 거름망을 분리하여, 분리된 거름망을 뒤집어 세우고, 상기 거름망을 상, 하로 흔들거나, 상기 거름망의 바닥을 손으로 타격하여 잔류물을 상기 거름망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거름망은, 잔류물이 상기 거름망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서만 제거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석에 남아있는 다량의 습기를 포함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하수구멍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거름망의 측면에만 형성된 배수부를 통해서만 배수되므로, 상기 거름망 내의 잔류물에 의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한 배수가 잘 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름망 내의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오수처리용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가 용이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수처리용 거름망 10: 거름망본체
12: 배수부 14: 하면테두리부
16: 장착돌기 18: 지지턱
20: 거름망바닥판 22: 바닥부
22a: 배수공 24: 측면테두리부
26: 걸이홈 26a: 삽입부
26b: 고정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 하면이 개구되어 연통된 콘형상으로 하수구멍에 지지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부가 형성되는 거름망본체와; 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름망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면테두리부에는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측면테두리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걸이홈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바닥판이 상기 여과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걸이홈은, 상기 측면테두리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은,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 내의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잔류물과 함께 하수구멍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1)은, 거름망본체(10)와,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름망바닥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름망본체(10)는, 상, 하면이 개구되어 연통된 콘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본체(10)의 측면에는, 설거지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잔류물과 함께 싱크대 등의 하수구멍(미도시)으로 유입되는 물이 배수되는 다수개의 배수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면테두리부(14)에는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본체(10) 상면의 외주면에는, 하수구멍에 지지되는 지지턱(18)이 형성된다.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름망바닥판(20)은, 상기 거름망본체(10)의 개구된 하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닥부(22)와, 상기 바닥부(22)의 외주연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테두리부(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2)에는 하수구멍으로 유입된 물의 배수를 위한 다수개의 배수공(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테두리부(24)에는, 상기 거름망본체(10)의 장착돌기(14)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걸이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6)은, 상기 측면테두리부(24)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26a)와, 상기 삽입부(26a)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부(26b)로 각각 구성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돌기(16)를 상기 걸이홈(26)의 삽입부(26a)에 삽입하고, 상기 거름망바닥판(24)을 상기 거름망본체(10)에 대하여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서 상기 장착돌기(16)를 상기 고정부(16)의 내측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이홈(24)에 삽입된 장착돌기(14)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돌기(16)와 걸이홈(26)이, 각각 상기 하면테두리부(14)의 외주면과 측면테두리부(24)의 외주면을 양분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장착돌기(16)를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걸이홈(26)의 고정부(26b)의 내측단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홈(26)의 고정부(26b)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걸이홈(26)의 고정부(26b)가 도면상 좌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1)은, 거름망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턱(18)이 싱크대의 하수구멍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이 설치된 싱크대에서 설거지를 수행하면, 용기에 남아 있는 잔류물이 물과 함께 상기 하수구멍으로 유입되어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을 통과하면서, 물은 배수되고, 잔류물은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 내에 남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인 설거지로 인하여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 내의 잔류물이, 일정량을 넘어서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의 배수부(12)나 배수공(22a)을 통한 배수를 방해할 정도에 이르면,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을 상기 하수구멍으로부터 분리하고 잔류물을 제거한다.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1)으로부터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걸이홈(26)의 고정부(26b)의 내측단에 고정된 장착돌기(16)가 상기 걸이홈(26)의 삽입부(26a)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름망본체(10)를 중심으로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을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삽입부(26a)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장착돌기(16)가 상기 삽입부(26a)로부터 분리되고, 결국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이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거름망본체(10) 및 거름망바닥판(20)에 남아있는 잔류물을 각각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잔류물이 제거된 상기 거름망본체(10)와 거름망바닥판(20)은, 상기 장착돌기(16)가 상기 삽입부(26a)에 삽입되도록,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을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을, 상기 거름망본체(10)에 대하여,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장착돌기(16)가 상기 고정부(26b)에 고정되고, 결국 상기 거름망본체(10)의 하부에 상기 거름망바닥판(20)이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에 의하면, 거름망본체와 거름망바닥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오수처리용 거름망을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름망본체를 콘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거름망본체의 측면 상부에 지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하수구멍에 설치되지만, 상기 거름망본체를 상기 하수구멍에 설치하는 수단이 반드시 지지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에서는, 상기 거름망본체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배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바닥부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지만, 상기 거름망본체의 측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바닥부에 배수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하면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걸이홈의 고정부가 도면상에서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되지만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 상기 걸이홈의 형상이, 상기 거름망본체의 장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L 자형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수처리용 거름망이 싱크대의 하수구멍에 설치되어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장소의 하수구멍, 예를 들면, 욕실이나 세탁실 등의 하수구멍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수처리용 거름망은, 거름망을 구성하는 거름망본체의 하부에 거름망바닥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거름망 내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부 이외에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서도 물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거름망에 비하여 배수가 용이해진다.
Claims (4)
- 상, 하면이 개구되어 연통된 콘형상으로 하수구멍에 지지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부가 형성되는 거름망본체와;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거름망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거름망.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바닥부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거름망.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본체의 하면테두리부에는 적어도 2개의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바닥판의 측면테두리부에는 상기 장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걸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거름망.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상기 측면테두리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거름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3506U KR200302423Y1 (ko) | 2002-11-08 | 2002-11-08 | 오수처리용 거름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3506U KR200302423Y1 (ko) | 2002-11-08 | 2002-11-08 | 오수처리용 거름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2423Y1 true KR200302423Y1 (ko) | 2003-01-29 |
Family
ID=4939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3506U KR200302423Y1 (ko) | 2002-11-08 | 2002-11-08 | 오수처리용 거름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242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2321B1 (ko) * | 2011-07-13 | 2013-08-3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싱크대용 여과망 |
CN114275305A (zh) * | 2021-12-16 | 2022-04-05 | 嘉兴闻军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新型钢制周转箱 |
-
2002
- 2002-11-08 KR KR20-2002-0033506U patent/KR2003024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2321B1 (ko) * | 2011-07-13 | 2013-08-3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싱크대용 여과망 |
CN114275305A (zh) * | 2021-12-16 | 2022-04-05 | 嘉兴闻军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新型钢制周转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32235A1 (en) |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pump and filtration system | |
KR200302423Y1 (ko) | 오수처리용 거름망 | |
KR101050000B1 (ko) | 욕실 및 화장실의 배수구조 | |
KR200457073Y1 (ko) | 배수트랩 | |
US4806241A (en) | Overflow lint strainer | |
JP2876460B2 (ja) | 浴室ユニットの排水部構造 | |
JP2010275717A (ja) | 排水目皿 | |
KR200153759Y1 (ko) | 배수구 | |
KR102499795B1 (ko) | 가변형 배수 장치 | |
KR200169068Y1 (ko) | 욕실용 배수장치 | |
KR200266230Y1 (ko) | 배수구 | |
KR200163773Y1 (ko) | 씽크대의배수구걸름망 | |
KR200286092Y1 (ko) | 악취방지용 배수구 | |
KR102577214B1 (ko) | 오수 트랩 | |
KR100356544B1 (ko) | 배수트랩 | |
KR200381031Y1 (ko) | 청소하기 쉬운 세면기 배수관 | |
KR200371721Y1 (ko) | 씽크대용 배수장치 | |
KR102331542B1 (ko) |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352206Y1 (ko) | 배수트랩 | |
KR102688665B1 (ko) | 거름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 |
KR20050095067A (ko) |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 |
KR200213585Y1 (ko) | 하수구용 마개 | |
KR200234676Y1 (ko) | 배수트랩 | |
KR200282578Y1 (ko) |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 |
KR200199768Y1 (ko) | 배수용 덮개 구멍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