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76Y1 - 원통형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원통형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76Y1
KR200302276Y1 KR20-2002-0032945U KR20020032945U KR200302276Y1 KR 200302276 Y1 KR200302276 Y1 KR 200302276Y1 KR 20020032945 U KR20020032945 U KR 20020032945U KR 200302276 Y1 KR200302276 Y1 KR 200302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annular frame
lower annular
cylindrica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이상길
Original Assignee
방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혁 filed Critical 방만혁
Priority to KR20-2002-0032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부 프레임을 별도로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강판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원통형 저장탱크는 베이스(12);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상부 및 외측부로 절곡 형성된 하부 환형 프레임(40); 상기 하부 환형 프레임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50); 상기 수직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고 외측부 및 하부로 절곡 형성된 상부 환형 프레임(60);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원통형 유닛을 형성하는 강판(70); 및 상기 상부 환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6)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 내의 공간에 롤 상태로 적재된 후 풀림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원통형 저장탱크{CYLINDRICAL STORAGE TANK}
본 고안은 원통형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부 프레임을 별도로 미리 제작한 상태에서 강판을 결합하여 제작되는 원통형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와 같이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옥외 또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저장탱크를 제작하기 위하여 강판의 상하부를 압연 등의 공정을 통해 강제로 절곡시킨 후 절곡된 강판을 재차 강제로 원형으로 휘어 원통형으로 만드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강판을 절곡시키는 과정에서 표면에 흠집이 생겨 부식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절곡된 강판을 원형으로 꺾는 과정에서 절곡된 부위가 느슨하게 펴지거나 굴곡이 생겨 원통형 유닛을 다른 원통형 유닛이나 베이스 또는 덮개와 결합할 때 용접의 어려움이 있었다. 더구나, 굴곡이 생긴 부위가 인접한 구조물과 서로 간극을 형성하여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강판을 절곡하거나 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대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후 현장으로 운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런 이유로, 부피가 큰 원통형 저장탱크의 경우 고층건물의 옥상이나 산간지역으로 운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카고 크레인 등의 대형장비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소형 저장탱크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절곡부에 굴곡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종래의 방식은 매우 부적절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굴곡에 의해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판은 절곡된 부분에 피로가 누적되어 파손되기 쉬우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매우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재료비의 상승시키고 가공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부 프레임을 별도로 미리 제작한 후, 이 상하부 프레임에 롤 상태의 강판을 삽입하여 롤 상태를 풀어 조립함으로서 절곡부에 흠집이나 굴곡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원통형 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장치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원통형 유닛과 베이스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원통형 유닛과 베이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 및 롤 형태의 강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원통형 저장장치에 설치된 사다리와 베이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통형 저장탱크 12..베이스 14..배관
16..덮개 18..사다리 20..개폐문
24..핸드레일 30..원통형 유닛 40..하부 환형 프레임
50..수직 프레임 60..상부 환형 프레임 70..강판
80..유출관 82..오버플로 유출관 86..유입관
88..밸브 90..부표 92..바이패스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형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환형 프레임; 상기 하부 환형 프레임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상기 수직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원형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환형 프레임;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원통형 유닛을 형성하는 강판; 및 상기 상부 환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 내의 공간에 롤 상태로 적재된 후 풀림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 상기 다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강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적재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환형 프레임의 단면은 'ㄱ', 'ㄷ', 'ㅁ'자 형상 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의 안내를 위한 핸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핸드레일과 연결된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 내에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입관과 유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출구측에는 특정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부표 및 상기 부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에는, 상기 부표가 특정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가 잠글 때 유체를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직접 상기 유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이패스관이 설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10)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10)는 전체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베이스(12) 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통형 유닛(30)이 설치되고, 원통형 유닛(30)의 최상단에 대략적으로 원추형의 덮개(16)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12)는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다. 이 베이스(12)에는 유입관과 유출관을 포함하는 다수의 배관(14)이 저장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14)은 반드시 베이스(12)를 관통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원통형 유닛(12)의 측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16)는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향할수록 아래로 기울어지는 대략적인 원추형상을 가진다. 원추형상으로 인해 덮개(16)의 상부에 쌓이는 먼지나 빗물 등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덮개(16)의 소정 위치에는 저장탱크(10)의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개폐문(20)이 설치된다.
개폐문(20)과 인접한 저장탱크(10)의 측부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사다리(18)가 설치된다. 사다리(18)는 베이스(12)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되며,상단부가 개폐문(20)과 인접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덮개(16)의 둘레에는 작업자의 안내를 위한 핸드레일(24)이 설치된다. 핸드레일(24)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난간 역할을 하며, 다수의 기둥(28)에 의해 덮개(16)와 결합된다.
이때, 사다리(18)와 핸드레일(24)은 서로 나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6)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다리(18)와 핸드레일(2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사다리(18)와 핸드레일(24)을 자연스럽게 동시에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사다리(18)와 핸드레일(24)을 연결하는 연결부(26)는 L형 이음관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다리(18)와 핸드레일(24)을 납땜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다리(18)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이때, 사다리(18)의 상단은 핸드레일(24)과의 결합에 의해 견고함을 유지하며, 사다리(18)의 하단은 베이스(12)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사다리(18)를 베이스(12)에 설치하는 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사다리(18)의 하단에는 지지플레이트(18a)가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18a)는 베이스(12)의 상면에 단단히 결합되며, 내부에 사다리(18)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사다리(18)가 지지플레이트(18a)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다리(18)의 하단에는 캡(18b)이 씌워진다. 캡(18b)은 사다리(18)의 하단을 단단히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사다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캡(18b)의 재질로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8a)는 체결부재(18c)에 의해서 베이스(12)에 단단히 고정되는데, 체결부재(18c)로는 볼트나 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덮개(16)의 중심부에는 저장탱크(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통기관(22)이 설치된다. 통기관(22)은 저장탱크(10) 내에 저장된 액체로부터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기관(22)은 상단부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장탱크(10)의 원통형 유닛(30)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원통형 유닛(30)은 구조적으로 하부 및 상부 환형 프레임(40, 60), 수직 프레임(50) 및 강판(70)을 포함한다.
하부 환형 프레임(40)은 중심이 비어 있는 링 형상을 가지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42)와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44)가 서로 맞닿은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환형 프레임(40)의 내주면에는 이후 강판(70)이 설치된다.
상부 환형 프레임(60)은 하부 환형 프레임(40)과 상하방향으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부 환형 프레임(60)은 링 형상으로서 외측을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62)와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64)를 갖는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 환형 프레임(40)과 상부 환형 프레임(60)은 도면에서 'ㄱ'자 앵글로 제작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하부 환형 프레임(40)과 상부 환형 프레임(60)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ㄷ'자 형상의 앵글 또는 사각 파이프 등으로도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에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50)이 설치된다. 수직 프레임(50)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하측 및 상측 연장부(64, 4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을 소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때, 수직 프레임(50)은 도면에서 대략 T자 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사각형상, 'ㄷ'자 형상의 프레임도 사용 가능하다. 다만, 상술한 수직 프레임(50)은 넓은 면이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하측 및 상측 연장부(64, 44)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가운데서 연장된 간선이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외측 연장부(62, 42)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직 프레임(50)이 외측 방향의 압력에 대해 효과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안정적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프레임(50)은 모두 세 개가 사용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수직 프레임(50)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탱크의 설치환경, 크기, 저장유체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유닛(30)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베이스(12) 위에 하나의 원통형 유닛(30)을 설치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본 고안의 원통형 유닛(30)을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먼저 저장탱크(10)가 설치될 설치면에는 베이스(12)가 놓여진다. 이때, 베이스(12)는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현장에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12)는 다수의 배관이 매설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12) 위에는 저장탱크(10)의 바닥면이 되는 하판(46)을 고정시킨다. 하판(46)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외주면과 같거나 더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하판(46) 위에는 하부 환형 프레임(40)이 결합된다. 이때, 하부 환형 프레임(40)의 하면이 하판(46)의 상면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완전히 밀봉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부 환형 프레임(40)의 상측 연장부(44) 외주면에 다수의 수직 프레임(50)이 설치된다. 수직 프레임(5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용접이나 클램핑 또는 볼트결합 등의 방식으로 하부 환형 프레임(40)에 단단히 고정된다.
다수의 수직 프레임(50)의 상단에는 상부 환형 프레임(60)이 설치된다. 이때, 상부 환형 프레임(60)의 하측 연장부(64) 외주면이 수직 프레임(50)의 내측면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기밀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프레임이 결합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부 및 하부 프레임(60, 40)이 수직 프레임(50)으로 서로 연결됨으로서, 각 프레임의 내부에 대략적으로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내부 공간에는 롤 상태로 감긴 강판(70)이 삽입된다. 이 강판(70)은 롤 상태로 하판(46)에 적재되고, 완전히 하판(46)에 놓인 상태에서 롤을 풀게 된다. 일반적으로 강판(70)은 탄성력에 의해 롤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즉 넓게 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롤 상태로 묶은 별도의 고정구를 해제함과 동시에 강판(70)은 넓게 펴져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때, 강판(70)은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내경 및 수직 프레임(50)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높이와 폭이 미리 설정된다. 즉, 강판(70)은 롤 상태가 풀릴 때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60, 40)의 내주면에서 완전한 원통형을 이루거나 약간의 여유분이 겹치는 형태가 된다.
상기 강판(70)은 롤 형상으로 감길 수 있으며 탄성이 있고 용접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강판(70)은 철제 또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며, 이중 스테인리스 강판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롤 상태의 강판(70)을 풀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강판(70)을 억지로 휘거나 구부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판(70)이 접히거나 굴곡이 발생하지 않으며, 강판(70)의 표면을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판(70)은 종래에 비해 훨씬 얇은 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고 정밀한 완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판은 도장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할 때 더욱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풀린 강판(70)의 양측단부를 서로 밀봉되도록 결합하고, 또한 강판(70)의 상하단부를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70)의 내주면과 밀봉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하나의 원통형 유닛(30)이 완성되며, 이 원통형 유닛(30)의 형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러한 원통형 유닛(30)은 또한 다단으로 적재함으로서 보다 대용량의 저장탱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하판(46)과 베이스(12)를 제외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다수의 원통형 유닛(30)을 상하로 적재하여 결합함으로서 내부가 서로 연통된 하나의 대용량 저장탱크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다수의 원통형 유닛(30)을 사용할 경우, 각 원통형 유닛(30)은 상부 환형 프레임(60)의 상면과 하부 환형 프레임(40)의 하면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서 도시된 저장탱크(10)는 총 세 개의 원통형 유닛이 적재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장치는 내부에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다수의 배관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저장탱크(10)의 내부 중심에는 중심관(80)이 설치된다. 중심관(80)은 베이스(12)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며, 저장탱크(10)의 내부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중심관(80)은 후술되는 흡기부(84)를 경유하여 덮개(16)까지 연장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중심관(80)은 본 고안의 저장탱크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중심관(80)의 상부 소정 높이에는 오버플로 유출관(82)이 형성된다. 오버플로 유출관(82)의 설치 위치는 저장탱크(10) 내에 수용되는 액체의 유량한도에 따라서 정해진다. 이러한 오버플로 유출관(82)은 중심관(80)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 액체가 저장탱크(10)의 한도 이상으로 유입될 경우 잉여량을 자동으로 외부에 배출하게 된다.
중심관(80)의 상부에는 흡기부(84)가 설치되며, 흡기부(84)의 상단에는 가스 배출용 통기관(22)이 연결된다. 흡기부(84)는 측면으로 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가스 투과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저장탱크(10)에 수용된 액체에서 유출된 가스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흡기부(84)의 상단에 설치된 가스 배출용 통기관(22)은 덮개(16)의 중심부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어 흡기부(84)로 흡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저장탱크(10) 내에는 또한 액체를 저장탱크(10) 내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86)이 설치된다. 유입관(86)은 저장탱크(10) 내의 특정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단부는 저장탱크(10)의 저장한도를 고려하여 저장한도시의 수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또한, 유입관(86)은 끝부분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휘어져 있어 유입되는 유체가 상측으로 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관(86)의 단부에는 밸브(88)가 설치되며, 이 밸브(88)와 연동되는 부표(90)가 밸브(88)에 연결되어 있다. 부표(90)는 저장탱크(10) 내의 수위가 특정값보다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움직이며, 부표(90)가 움직이는 것에 의해 밸브(88)를 닫도록 조작된다.
이때, 유입관(86)과 유출관(80)은 바이패스관(92)이 설치된다. 바이패스관(92)은 유입관(86)의 출구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된 상태에서 유출관(80)으로 이어진다. 또한, 바이패스관(92)은 오버플로 유출관(82)보다 낮은 위치에서 유출관(80)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관(92)의 구조에 의해, 수위가 부표(90)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입되는 모든 유체가 유입관(86)의 출구를 통해 저장탱크(10) 내로 유입된다. 그러나, 수위가 부표(90)를 움직이게 할 정도로 높아지면, 부표(90)에 의해 밸브(88)가 닫히게 되므로, 유입관(86)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바이패스관(92)으로 이동하여 유출관(80)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연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탱크 내에 저장된 자연수에 일정 농도의 염소를 넣어 소독을 하게 된다. 만약 바이패스관(92)이 없다면, 잉여유체는 저장탱크(10) 내로 유입된 후 오버플로 유출관(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유체에는 염소가 함유되어 있어 결국 저장탱크(10) 내의 자연수는 점차 염소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바이패스관(92)을 설치하게 되면, 잉여유체는 저장탱크(10) 내로 유입되지 않고 그대로 유출관(8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저장탱크(10) 내의 자연수에는 염소가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또한, 자연수는 일반적으로 미량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데, 바이패스관(92)은 불필요한 양의 자연수를 그대로 외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저장탱크(10) 내에 쌓이는 불순물을 줄이는 효과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작업자용 내부 사다리(94)가 설치되는데, 내부 사다리(94)는 상단부가 덮개(16)의 개폐문(2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유입관(86)은 내부 사다리(94)와 서로 연계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내부 사다리(94)의 기둥 중 하나를 유입관(86)으로 대체하여 유입관(86)이 사다리(94)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저장탱크(10) 내에는 또한 하나 이상의 배수관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저장탱크(10)의 바닥에서부터 베이스(12)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관(96)과 저장탱크(10)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위의 위치로부터 베이스(12)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관(98)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자의 배수관(96)은 저장탱크(10) 내의 모든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저장탱크(10)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 후자의 배수관(98)은 저장탱크(10) 내에 수용된 유체를 다른 목적으로 빼내거나 또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저장탱크는 미리 절곡된 형태로 제작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강판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유닛을 제작하기 때문에, 종래의 강판을 절곡한 상태에서 구부림으로서 발생하던 흠집 또는 굴곡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흠집에 의한 부식으로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해소하였고 동시에 굴곡에 의해 각 프레임의 결합이 난해하고 기밀성 유지가 힘들던 단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는 각 프레임을 별도로 성형하지 않고 단순히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각 프레임을 분해된 상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고층건물의 옥상이나 산간지역과 같은 장비운반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 결합과정에서 굴곡이 생기지 않아 용기의 기밀성이 보장되므로,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소형 저장탱크에도 적합할 뿐 아니라, 부품의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므로 대형의 저장탱크 제작에도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는 작업자를 위한 사다리가 뚜껑과 인접하게 설치될 뿐 아니라, 저장탱크의 측부에 설치된 외측 사다리와 덮개 상부에 설치된 핸드레일이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원통형 저장탱크는 유입관에 밸브와 부표를 설치하고, 바이패스관으로 유입관과 유출관을 연결함으로써, 저장탱크 내의 수위가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유입되는 유체를 그대로 유출관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저장탱크 내의 염소 농도가 불필요하게 희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불순물이 쌓이는 것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베이스(12);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형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 환형 프레임(40);
    상기 하부 환형 프레임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50);
    상기 수직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원형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환형 프레임(60);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원통형 유닛을 형성하는 강판(70); 및
    상기 상부 환형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6)를 포함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 내의 공간에 롤 상태로 적재된 후 풀림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환형 프레임, 상기 다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강판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적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환형 프레임의 단면은 'ㄱ', 'ㄷ', 'ㅁ'자 형상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의 안내를 위한 핸드레일(2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핸드레일과 연결된 사다리(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에는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입관(86)과 유출관(80)이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출구측에는 특정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부표(90) 및 상기 부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88)가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과 상기 유출관 사이에는, 상기 부표가 특정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가 잠글 때 유체를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직접 상기 유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바이패스관(9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저장탱크.
KR20-2002-0032945U 2002-11-04 2002-11-04 원통형 저장탱크 KR200302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45U KR200302276Y1 (ko) 2002-11-04 2002-11-04 원통형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945U KR200302276Y1 (ko) 2002-11-04 2002-11-04 원통형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76Y1 true KR200302276Y1 (ko) 2003-02-05

Family

ID=4939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945U KR200302276Y1 (ko) 2002-11-04 2002-11-04 원통형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298B1 (ko) 2006-08-07 2008-02-01 우영배 정수처리용 이중 격벽 저장탱크
KR100810523B1 (ko) 2006-04-19 2008-03-10 강동열 장력식 상판을 구비한 무용접 저수구조물
KR101003378B1 (ko) 2010-09-07 2010-12-22 (주)동일웰텍 사수방지 구조를 가지는 저수탱크
KR101117744B1 (ko) 2009-10-20 2012-03-07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지하수 부력 감쇠용 수저장장치
KR101177255B1 (ko) * 2010-12-14 2012-08-24 (주) 신성 파형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환기시스템 및 다중구조를 갖춘 원형 물탱크
KR101822466B1 (ko) * 2017-07-31 2018-01-26 주식회사 비스 초저온저장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523B1 (ko) 2006-04-19 2008-03-10 강동열 장력식 상판을 구비한 무용접 저수구조물
KR100800298B1 (ko) 2006-08-07 2008-02-01 우영배 정수처리용 이중 격벽 저장탱크
KR101117744B1 (ko) 2009-10-20 2012-03-07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지하수 부력 감쇠용 수저장장치
KR101003378B1 (ko) 2010-09-07 2010-12-22 (주)동일웰텍 사수방지 구조를 가지는 저수탱크
KR101177255B1 (ko) * 2010-12-14 2012-08-24 (주) 신성 파형 스테인레스 스틸 원통유니트 조립형 환기시스템 및 다중구조를 갖춘 원형 물탱크
KR101822466B1 (ko) * 2017-07-31 2018-01-26 주식회사 비스 초저온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276Y1 (ko) 원통형 저장탱크
AU2007246156A1 (en) Water storage tank
KR100736254B1 (ko) 장력식 상판 구조를 갖는 무용접 저수구조물
AU2013360027B2 (en) Modular tanks
KR200302277Y1 (ko) 원호형 유닛을 이용한 원통형 저장탱크
JP2009012849A (ja) 円筒型貯留タンクとその組立工法
KR100857013B1 (ko) 여과 물탱크
JP7459350B2 (ja) 水がベイスン(basin)に入らないようにするためのチューブ
KR101690976B1 (ko) 드레인 시스템
KR200348734Y1 (ko) 만곡형 수직연장패널 결합구조의 원통형 저장탱크
KR200339426Y1 (ko) 화학 제품 담지용 드럼통
CN211849750U (zh) 一种方形组合式消防水箱
JP2000282522A (ja) 組立式タンク
KR200273237Y1 (ko) 배관 내장형 저장탱크
EP2913309A1 (en) Container with filter
JP2001173034A (ja) 簡易貯水タンク
AU2005239719B1 (en) Closures for Pipes
KR200479748Y1 (ko) 보강플랜지를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CN212344663U (zh) 一种绿植柱的水槽式安装结构
JP2000336705A (ja) 簡易組立タンク
CN212742872U (zh) 一种水封式反吊膜面防臭排水结构
KR101026135B1 (ko) 밑판 보강구조를 갖는 원통형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CN210032046U (zh) 排水地漏
CN211714151U (zh) 管壁与墙体接缝处的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