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847Y1 -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 Google Patents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847Y1
KR200301847Y1 KR20-2002-0030724U KR20020030724U KR200301847Y1 KR 200301847 Y1 KR200301847 Y1 KR 200301847Y1 KR 20020030724 U KR20020030724 U KR 20020030724U KR 200301847 Y1 KR200301847 Y1 KR 200301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air
motor
ring blower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룡
Original Assignee
황원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룡 filed Critical 황원룡
Priority to KR20-2002-003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26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 F04D29/5833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flow schemes and regulation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6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블로워의 내부에서 모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로 1차 냉각하고 2차로 배출하여 별도의 베어링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연장할 수 있는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고압과 고속의 공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력수단이 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임펠러를 장착하고 상기 임펠러의 양측 단에 설치하되 모터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부에 구비한 상,하부케이싱과 상기 상,하부케이싱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링블로워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외측으로 형성된 외측유로와, 상기 외측유로에서 유동된 공기가 내측유로로 유동되어 베어링을 공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Ring Blower of air cooler structure bearing for bearing}
본 고안은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블로워의 내부에서 모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로 1차 냉각하고 2차로 배출하여 별도의 베어링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연장할 수 있는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블로워(Ring Blower)는 모터에 체결되는 정교하게 가공된 링(Ring)식 임펠러(IMPELLER)와 케이싱(CASING)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이면서 높은 토출압과 흡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송풍기의 일종으로서, 임펠러가 회전하면 흡입구 공기는 임펠러의 원심력으로 압력이 상승하면서 토출구로 고압의 공기가 흐르고, 이 공기는 케이싱에 눌려 임펠러 날개와 날개 사이에서 와류 운동이 발생하여 토출구까지 반복하므로 강한 흡입과 토출을 병행할 수 있고 터보(TURBO) 블로워보다 7~8배의 고압을 얻을 수 있는 효율이 높은 송풍기이다.
또한, 링블로워는 오일의 사용이 없어 공기가 깨끗하고, 공기 흐름이 맥동없이 연속적이며, 설치에 있어 방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유지 보수가 적게 드는 잇점이 있어 방적기계 등의 섬유기계산업과, 프레스 등의 공작기계산업, 포장기, 의료기계산업, 탈수기 등의 세탁기계 및 각종 공해장소 환기 및 배출장치 설치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블로워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싱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링블로워의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링블로워(1)는 흡입관(6)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고압과 고속의 공기로 배출관(7)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동력수단이 되는 모터(M)를 하부케이싱(3) 일측에 장착하고 상기 모터(M)의 축에 임펠러(5)를 장착하고 상기 임펠러(5)의 측단에 설치하되 모터(M)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B)을 내부에 구비한 상,하부케이싱(2, 3)과 상기 상,하부케이싱(2, 3)의 내부에 유로(4)를 형성한 구조였다.
또한, 상기 흡입관(6)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케이싱(2, 3)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4)로 유동하여 고압의 공기로 배출관(7)을 통해 배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링블로워(1)는 동력수단인 모터(M)에 의해 임펠러(5)가 회전함으로써 흡입공기를 고압과 고속의 공기로 배출됨을 상,하부케이싱(2, 3)의 내부에 베어링(B)을 설치해 모터(M)의 축을 지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때, 공기압축에 따른 임펠러(5) 및 케이싱(2, 3)과 공기와의 마찰열과 축의 고속 회전에 의한 베어링(B)과의 마찰열에 의하여 베어링(B) 온도가 상승하여 베어링(B)의 온도상승에 수명이 단축되거나 별도의 냉각장치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링블로워의 내부에서 공기압축에 따른 임펠러 및 케이싱과 공기와의 마찰열과 축의 고속 회전에 의해 모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로 냉각한 후 배출하여 별도의 베어링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연장할 수 있는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링블로워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싱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링블로워의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방향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상기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케이싱 단면도,
도 6은 상기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링블로워 11 : 상부케이싱
12 : 하부케이싱 13 : 외측유로
14 : 내측유로 17 : 임펠러
18 : 흡입관 19 : 배출관
B : 베어링 M : 모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고압과 고속의 공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력수단이 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임펠러를 장착하고 상기 임펠러의 양측단에 설치하되 모터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부에 구비한 상,하부케이싱과 상기 상,하부케이싱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한 링블로워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외측으로 형성된 외측유로와, 상기 외측유로에서 유동된 공기가 내측유로로 유동되어 베어링을 공냉하고 공압의 공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케이싱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의 내부에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는 외부의 공기를 링블로워(10)의 상,하부케이싱(11, 12)의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하부케이싱(12)의 일측에 설치된 동력수단인 모터(M)의 축에 임펠러(17)가 장착되고 상기 임펠러(17)가 장착되는 모터(M)의 축에 걸리는 하중을 케이싱(11, 12)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베어링(B)을장착하고 상기 베어링(B)을 상,하부케이싱(11, 12)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고압의 공기로 압축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순환함과 동시에 베어링(B)을 냉각하여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하부케이싱(11, 12)의 대향되게 접촉되는 측면에 공기가 유동하는 외측유로(13)와 내측유로(14)를 형성하여 흡입된 공기로 베어링(B)을 공냉한 다음 배출관(19)으로 배출한다.
즉, 고속과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얻기 위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관(18)의 흡입구(15)를 통해 흡입하여 동력수단인 모터(M)의 축에 장착된 임펠러(17)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하부케이싱(11, 12)의 내부에 형성된 직경이 큰 외측유로(13)와 상기 외측유로(13) 보다 직경이 작은 내측유로(14)에 의해 상,하부케이싱(11, 12) 내부에 모터(M)의 축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B)의 마찰열을 공기의 유동에 의해 냉각하고 공기를 배출구(16)를 통해 배출관(19)으로 배출한다.
상기 하부케이싱(12)은 하단에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18)과 연통하는 흡입구(15)와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9)과 연통하는 배출구(16)가 구비되며, 내측유로(14)는 외측유로(13)보다 바닥으로부터 가깝게 높이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유로(13)에서 내측유로(14)로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베어링(B)의 열을 냉각할 때 용이한 냉각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동력수단인 모터(M)를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하면 모터(M)의 일측에 장착된 상,하부케이싱(11, 12)의 내부에 장착된 임펠러(17)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되는 임펠러(17)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흡입관(18)과 흡입구(15)를 통해 상,하부케이싱(11, 12) 내부로 유동되며 유입된 공기는 외측유로(13)에 1차적으로 유동되다가 상기 외측유로(13)보다 바닥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직경이 작게 형성된 내측유로(14)로 유동되어 임펠러(17)의 고속회전에 따른 마찰열로 인한 베어링(B)에 발생되는 열을 공기의 순환에 의해 냉각하고 상기 내측유로(14)에 유동된 공기는 다시 외측유로(13)로 유동되어 배출구(16)를 통해 배출관(19)으로 고속과 고압의 공기를 배출하여 고속회전에 따른 베어링(B)의 마찰열을 외부의 공기로 냉각하여 순환시키므로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는 링블로워의 내부에서 공기압축에 따른 임펠러 및 케이싱과 공기와의 마찰열과 축의 고속 회전에 의해 모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로 냉각한 후 배출하여 별도의 베어링 냉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수명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고압과 고속의 공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동력수단이 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의 축에 임펠러(17)를 장착하고 상기 임펠러(17)의 양측단에 설치하되 모터(M)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B)을 내부에 구비한 상,하부케이싱(11, 12)과 상기 상,하부케이싱(11, 12)의 내부에 유로(13, 14)를 형성한 링블로워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12)의 외측으로 형성된 외측유로(13)와, 상기 외측유로(13)에서 유동된 공기가 내측유로(14)로 유동되어 베어링(B)을 공냉하고 고압의 공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KR20-2002-0030724U 2002-10-15 2002-10-15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KR200301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24U KR200301847Y1 (ko) 2002-10-15 2002-10-15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724U KR200301847Y1 (ko) 2002-10-15 2002-10-15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847Y1 true KR200301847Y1 (ko) 2003-01-24

Family

ID=4939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724U KR200301847Y1 (ko) 2002-10-15 2002-10-15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8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20B1 (ko) 2011-05-23 2012-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20B1 (ko) 2011-05-23 2012-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WO2012161436A2 (ko) * 2011-05-23 2012-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WO2012161436A3 (ko) * 2011-05-23 2013-01-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US9551354B2 (en) 2011-05-23 2017-01-24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Regenerative-type fluid machinery having a guide vane on a channel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187B1 (ko) 다단형 건식 진공펌프
CN1111652C (zh) 无油涡轮压缩机
KR101173168B1 (ko) 다단형 건식 진공펌프
KR101888156B1 (ko) 분리된 냉각 기로를 구비한 터보 압축기
RU2607116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вентилятор
CN201874822U (zh) 螺杆式真空泵
KR200301847Y1 (ko) 링블로워의 베어링 공냉구조
KR100568523B1 (ko) 팬 조립체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와 공기조화기
KR100970719B1 (ko) 터보 블로워의 외함
CN208793207U (zh) 一种化工泵冷却降温结构
CN2767711Y (zh) 内置风源无油润滑涡卷空压机
KR100474323B1 (ko) 터보압축기의모터냉각장치
KR102050811B1 (ko) 냉각 열평형이 가능한 고속 양단 터보기계
CN112879304A (zh) 一种无油涡旋真空泵偏心主轴自驱动冷却装置及使用方法
JP4229385B2 (ja) ポンプ装置
KR100353771B1 (ko) 송풍기의 베어링 방열구조
CN116498570B (zh) 一种自散热型的循环离心泵
CN217002315U (zh) 一种气悬浮鼓风机的风冷结构
CN220396101U (zh) 节能磁悬浮透平真空泵
CN209800301U (zh) 一种高速电机驱动的离心式压缩机和鼓风机
CN215911978U (zh) 一种电动机的风冷结构
KR970010553B1 (ko) 마그네트펌프의 통풍장치
CN2764972Y (zh) 复合离心压缩机
KR200333289Y1 (ko) 로터리 베인형 진공펌프
KR19990084504A (ko) 스크류 진공펌프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