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752Y1 - 도어록의 해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752Y1
KR200301752Y1 KR20-2002-0031357U KR20020031357U KR200301752Y1 KR 200301752 Y1 KR200301752 Y1 KR 200301752Y1 KR 20020031357 U KR20020031357 U KR 20020031357U KR 200301752 Y1 KR200301752 Y1 KR 200301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se
connecting rod
door lock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운
Original Assignee
(주)아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거스 filed Critical (주)아거스
Priority to KR20-2002-0031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에 장착되는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는 도어록의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록킹수단(350)이 구비된 모티스(300)가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10)의 실내면에 설치되는 케이스(20)에 장착되는 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정장치는, 상기 케이스(20)의 내ㆍ외측에 걸치도록 가로질러서 설치되며, 수동 및 자동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모티스(300)에 연결되는 해정부(100)와; 상기 해정부(100)에 연동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동 및 자동에 의해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일원화된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어 제조비용과, 제품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각 부품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하여 생산과정을 효율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의 해정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에 장착되는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는 도어록의 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구조가 단순하며, 결합을 위한 고도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동 및 자동에 의해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는 도어록의 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도어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는 모티스의 데드볼트 등과 같은 록킹수단을 작동시키는 해정장치로는 여러가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해정장치들은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와 모티스사이를 다수개의 축결합 요소들에 의해 연결하게 되며, 이러한 축결합 요소들은 정교하게 결합되어 손잡이에 가해지는 외력을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요소에 전달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동조작에 의해 록킹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정장치들은 다수개의 축결합요소들 즉, 부품들로 이루어져서 각 결합요소들은 정교함을 필요로 하게 되며, 그로 인한 생산비용의 상승 및 조립과정의 비효율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작에 의해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는 해정장치는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자동 조작되는 도어록에 설치되는 경우에 별개로 작동되는 이원화된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어 제조비용의 상승, 제품의 중량 및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 및 자동에 의해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일원화된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어 제조비용과, 제품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도어록의 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각 부품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하여 생산과정을 효율화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의 기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해정부 110;연결대
130;로드 140;고정부재
150;손잡이 170;체결부재
200;기어부 210;구동모터
230;구동기어 240;회동기어
245;키안착홀 250;제어플랜지
본 고안은 록킹수단(350)이 구비된 모티스(300)가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10)의 실내면에 설치되는 케이스(20)에 장착되는 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정장치는, 상기 케이스(20)의 내ㆍ외측에 걸치도록 가로질러서 설치되며, 수동 및 자동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모티스(300)에 연결되는 해정부(100)와; 상기 해정부(100)에 연동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도어록의 해정장치의 기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어록의 해정장치는 데드볼트 등의 록킹수단(350)이 구비된 모티스(300)가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10)의 실내면에 설치되는 케이스(2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홀(3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대(110)와, 케이스(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로드(130)와,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대(1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손잡이(150)로 이루어진 해정부(100)와; 상기한 연결대(110)의 일측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키안착홀(245)이 형성된 회동기어(240)와, 자동조작시 작동되는 구동모터(210)의 회동축에 장착되어 회동기어(24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240)로 이루어진 기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정부(100)는 케이스(20)에 형성된 관통홀(30)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연결대(110)의 일측이 도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티스(300)의 데드볼드 등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고, 연결대(110)의 타측에는 케이스(2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손잡이(150)가 장착되어서, 이 손잡이(150)를 수동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연결대(110)를 매개로 하여 로드(130)에 회동력이 전달되어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에 회동력이 전달되어 록킹수단(350)이 동작되며, 그로 인해 록킹의 해지 및 설정을 하게 된다.
또한, 기어부(200)는 해정부(100)를 이루는 연결대(110)의 일측부에 삽입 안착되는 회동기어(240)가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30)와 치합되도록 배치되어서, 케이스(20)의 외부에 설치되는 키패드 등을 이용한 전자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이 회동기어(240)에 전달되어 상기한 해정부(100)를 회동시키게 됨으로서,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된 로드(130)가 회동하여 록킹수단(350)이 록킹의 해지 및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연결대(110)는 케이스(20)의 관통홀(30)을 가로질러서 케이스(2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타측의 외주면에는 관통홀(3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턱(113)이 관통홀(30)의 내경보다 크게 단차져서 형성되고, 타측면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손잡이(150)의 일측에 구비된 다각형 특히,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한 결합핀(155)이 삽입 고정되도록 결합핀(155)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춘 일정깊이의 핀결합홈(125)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면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다각형 특히,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한 로드(130)가 삽입되는 일정깊이의 로드결합홈(118)이 형성되는데, 이 로드결합홈(118)은 로드(13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0)의 관통홀(30)을 가로질러서 케이스(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대(110)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단면 중심을 기준하여 대향하도록 하나이상의 키(120)가 형성되는데, 이 키(120)는 연결대(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나,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에 삽입되는 회동기어(240)가 작을 경우에는 곤란하며, 키(120)의 형성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의 일측부에는 로드결합홈(118)을 가로질러서 연결대(110)의 단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체결홀(115)이 형성되는데, 이는 로드결합홈(118)에 삽입되는 후술할 체결홀(135)이 형성된 로드(130)가 로드결합홈(118)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한 체결홀들(115,135)을 가로질러 체결부재(170)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연결대(110)의 일측에 형성된 로드결합홈(118)에 타측부가 삽입되는 로드(130)는 닥가형, 특히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구비하며, 로드결합홈(118)에 삽입되는 타측부에는 상기한 연결대(110)의 체결홀(115)에 부합하는 체결홀(135)이 관통 형성되고, 이 체결홀들(115,135)을 가로질러서 체결부재(170)가 설치됨으로서, 로드(130)는 연결대(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로드(130)는 그 일측이 도어(10)에 장착되는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그 길이는 설치가 완료된 후, 적어도 해정부(100)에 전달된 회동력을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구비되어야만 한다.
한편, 로드(130)를 연결대(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각 체결홀(115,135)에 가로질러 설치되는 체결부재(170)는 탄성을 갖춘 스프링핀(Spring Pin)을 사용하여 각 체결홀들(115,135)이 동심을 이루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각 체결홀들(115,135)을 가로질러 설치됨으로서, 각 체결홀들(115,135)이 동심을 갖추기 위한 정교함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효율이 증대된다.
상기한 로드결합홈(118)에 삽입되는 로드(130)에는 연결대(110)의 일측면과 일치되거나 소폭 거리를 유지하여 고정홈(138)이 로드(130)의 다수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한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후술할 회동기어(240)가 연결대(11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고정링 등의 고정부재(140)가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연결대(110)의 핀결합홀(125)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핀(155)이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50)는 수동에 의해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를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핀(155)이 핀결합홀(125)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대(11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회동기어(240)와, 구동모터(210)의 회동축에 장착되어 회동기어(240)에 치합되는 구동기어(230)로 이루어지는 기어부(200)는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케이스(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0)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회동하게 되면, 구동기어(230)가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에 치합된 회동기어(240)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로 인하여,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가 회동하게 됨으로서, 로드(130)가 회동하여 모티스(300)의 록킹수단(350)을 동작시키는 작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회동기어(240)는 그 중앙부에 키(120)가 형성된 연결대(110)의 단면형상에 부합하는 키안착홀(245)이 형성되어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용이하게 연결대(1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150)에 수동의 회동력을 가하게 되면, 연결대(110)의 회동에 의해 회동기어(240)도 회동하게 됨으로, 기어부(200)를 구성하는 회동기어(240)와 구동기어(230)는 상호간에 정ㆍ역회전 할 수 있는 기어장치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연동되는 기어부(200)와 해정부(100)에 의해서 수동 및 자동으로 모티스(300)의 작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서, 수동 및 자동의 회동력에 따른 별개의 설치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키게 되며,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외부에서 모티스(300)의 작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켜 도어(10)를 잠그거나, 잠김을 해제하게 되면, 기어부(200)에 연동되는 해정부(100)의 손잡이(150)가 회동되어 도어(10)의 잠김 및 해제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기어(240)의 양측 어느 일면에 회동기어(240)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갖도록 돌출되는 제어대(255)가 형성된 제어플랜지(250)를 부설하고, 이 제어대(255)의 회동을 간섭하도록 케이스(20)의 관통홀(30)을 중심으로 제어대(255)와 동일한 반경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260)를 케이스(20)에 설치하면, 회동기어(24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서, 연동되는 해정부(100)를 제어하게 되어 무리한 수동 및 자동의 동력 전달로 인한 작동으로 인한 모티스(300)의 작동장치(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어부(200)의 구동기어(230)와 회동기어(240)의 치형을 헤리컬기어의 치형특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치형이 서로 일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구동기어(230)와 회동기어(240)가 서로 교차되지 않는 직각의 축선을 이루게 되어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직각을 이루는 회동기어(240)에 의해 전달하게 됨은 물론 정ㆍ역회전이 원활하게 실시되어 연동되는 기어부(200)와 해정부(100)에 의해서 수동 및 자동으로 모티스(300)의 작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되고, 기어부(200)의 설치공간이 축소되어 제품의 중량이 감소되며,구동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잇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동 및 자동에 의해 모티스의 록킹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일원화된 설치구조를 가지게 되어 제조비용과, 제품의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각 부품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하여 생산과정을 효율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록킹수단이 구비된 모티스가 내측에 마련되는 도어의 실내면에 설치되는 케이스에 장착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정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ㆍ외측에 걸치도록 가로질러서 설치되며, 수동 및 자동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록킹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일측이 상기 모티스에 연결되는 해정부와;
    상기 해정부에 연동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부는 상기 케이스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모티스에 연결되는 로드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는 회동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장착되어 회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단면 중심을 기준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하나 이상의 키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의 일측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기 회동기어에는 상기 키가 형성된 상기 연결대의 일측부의 단면형상에 부합하는 키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
  4. 제2항 있어서,
    상기 회동기어의 일측면에는 회동기어보다 큰 반지름을 갖도록 돌출되는 제어대가 형성된 제어플랜지가 부설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동기어의 회동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제어대를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
  5. 제2항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회동기어는 서로 교차되지 않는 직각의 회동축선을 각각 갖도록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해정장치.
KR20-2002-0031357U 2002-10-21 2002-10-21 도어록의 해정장치 KR200301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57U KR200301752Y1 (ko) 2002-10-21 2002-10-21 도어록의 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57U KR200301752Y1 (ko) 2002-10-21 2002-10-21 도어록의 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752Y1 true KR200301752Y1 (ko) 2003-01-24

Family

ID=4932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357U KR200301752Y1 (ko) 2002-10-21 2002-10-21 도어록의 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09Y1 (ko) 2008-11-06 2010-08-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기어마모방지용 전자식 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09Y1 (ko) 2008-11-06 2010-08-03 주식회사 아이레보 기어마모방지용 전자식 문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4586B1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with key override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US6807834B2 (en) Electric door lock with a coupling mechanism for selective engagement between a deadbolt operating spindle and a door handle
US20160258189A1 (en) Electronic Control for Lock Assembly and Conversion Method
EP2732112B1 (en) Door lock with anti-ligature function
AU2019202691B2 (en) Clutch engagement assembly of door lock and driving device thereof
US10890019B2 (en) Reversible electric door lock
KR102655160B1 (ko) 도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0476224Y1 (ko) 도어락의 기어 클러치 구조체
KR200301752Y1 (ko) 도어록의 해정장치
US6230864B1 (en) Clutch mechanism
KR20180114861A (ko) 레버형 도어락의 클러치 연결 구동 조립체
EP1411198A1 (en) Latch Mechanism
KR200476806Y1 (ko) 슬립 기능을 갖는 회전동력 전달 구조체가 장착된 도어록
FI12336U1 (fi) Aukaisulaite ja vääntöosa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KR20150001050U (ko) 도어락용 클러치 방식 기어박스
KR200334303Y1 (ko) 수동 및 전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
US11555333B2 (en) Electronic lock having dislocated transmission mechanism inside
KR20180114839A (ko) 레버형 도어락의 구동 조립체
EP3995650A1 (en) Electronically operated door lock comprising a clutch
KR200301751Y1 (ko) 도어록의 작동장치
KR200292162Y1 (ko) 디지털 도어 록킹장치의 실내측 레버 무부하 회전장치
CN218117483U (zh) 驱动结构及电子锁
US20220213715A1 (en) Cylinder Lock With Improved Str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