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741Y1 -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741Y1
KR200301741Y1 KR20-2002-0031044U KR20020031044U KR200301741Y1 KR 200301741 Y1 KR200301741 Y1 KR 200301741Y1 KR 20020031044 U KR20020031044 U KR 20020031044U KR 200301741 Y1 KR200301741 Y1 KR 200301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violet lamp
ultraviolet
flow rate
lam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수
Original Assignee
아쿠아월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월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쿠아월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1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의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에 따라 점등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58)으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56); 상기 필터(56)에 의해 정수된 물이 진입하는 입수측(62) 및 살균된 물이 배수되는 출수측(64)이 구비되고, 내부에 물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7)가 내장된 자외선램프관(54); 배관상에 직렬로 연결되며, 물의 흐름에 대응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유량감지센서(72); 상기 유량감지센서(72)의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관(54)으로 공급되는 전원(68)을 스위칭하는 스위치(70); 및 상기 자외선램프관(54)에 의해 살균된 물이 배출되는 수도(50) 및 수도밸브(52)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A UV sterilization device with fluid flowing sensor}
본 고안은 정수기의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흐름에 따라 점등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생수 또는 상수도(수원(水源))와 연결하여 음용수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가정, 사무실, 공장, 학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필터에 의한 정수외에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기능이 첨가된 정수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크게 필터(16), 자외선 램프관(14), 수도(10) 및 안정기(26)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원(18)(예를 들어, 상수도, 생수통 등)으로 부터 공급된 물은 우선 복수의 필터(16)를 거치면서 이물질들이 제거되어 정수된다. 그 다음, 정수된 물은 자외선 램프관(14)을 거치면서 물속에 포함된 미생물, 세균들이 살균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정수되고 살균된 물은 수도밸브(12)를 여는 순간 수도(10)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자외선 램프관(14)의 안정적인 점등을 위해 안정기(26)가 설치되며 교류전원(28)으로부터 배선(20)을 통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물의 흐름과 상관없이 자외선 램프가 항시 켜져 있어야 했다. 따라서, 전력의 소모가 많고, 자외선램프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수기 외부에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자외선 램프를 점등할 수 있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켜고, 사용후에는 다시 스위치를 꺼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물의 흐름이 있을 때(예를 들어, 물을 사용할 때)에만 한시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여 살균이 이루어지고, 물의 흐름이 없을 때(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자외선 램프가 꺼질 수 있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수원(18)의 상태에 따라 물이 역류하더라도 살균장치내에서 이러한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살균장치를 별도의 키트로 구성하여 다양한 장치에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수원(58)으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56); 상기 필터(56)에 의해 정수된 물이 진입하는 입수측(62) 및 살균된 물이 배수되는 출수측(64)이 구비되고, 내부에 물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7)가 내장된 자외선램프관(54); 배관상에 직렬로 연결되며, 물의 흐름에 대응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유량감지센서(72); 상기 유량감지센서(72)의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관(54)으로 공급되는 전원(68)을 스위칭하는 스위치(70); 및 상기 자외선램프관(54)에 의해 살균된 물이 배출되는 수도(50) 및 수도밸브(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 상기 유량감지센서(72)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78)가 더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전원(68)과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사이에는 안정기(66)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78); 및 상기 전원(68)과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사이에 설치되는 안정기(6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유량감지센서(72), 스위치(70), 체크밸브(78) 및 안정기(66)는 자외선살균키트(80)내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살균키트(80)에는 입수구(84)와 출수구(8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및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외선램프관(14, 54)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의 전자계통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가 별도의 키트내에 설치된 자외선살균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50 : 수도, 12, 52 : 수도밸브,
14, 54 : 좌외선 램프관, 16, 56 : 필터,
18, 58 : 수원, 20, 60 : 배선,
22, 62 : 입수측, 24, 64 : 출수측,
26. 66 : 안정기, 28, 68 : 전원,
70 : 스위치, 72 : 유량감지센서,
78 : 체크밸브, 80 : 자외선 살균키트,
82 : 출수구, 84 : 입수구,
90 : 제어부.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는 크게 필터(56), 자외선 램프관(54), 유량감지센서(72), 체크밸브(78), 수도(50), 안정기(66) 및 스위치(7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원(水源)(58)은 상수도 또는 생수통 등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 따라 정수나 살균이 되지 않은 물을 공급한다.
필터(56)는 역삼투압, 중공사막 형식의 필터가 필요에 따라 복수개 설치된 것으로, 배관을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56)는 물속의 이물질, 입자, 세균들을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자외선 램프관(54)은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내장되어 있으며, 그 둘레로 물이 통과되면서 자외선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관(54)의 상세한 내부 구성에 관해서는 도 2의 설명에서 추후 하기로 한다. 자외선램프관(54)의 일측에는 살균할 물이 들어가는 입수측(62)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살균된 물이 나오는 출수측(64)이 구비되어 있다.
자외선 램프관(54)에서 소모되는 전기에너지는 외부의 교류전원(68)에 의하여 공급되며, 배선(60)의 중간에 안정기(66)와 스위치(70)가 연결되어 있다.
유량감지센서(72)는 자외선램프관(54)의 출수측(64)에 연결되어 있다. 내부에 임펠러(미도시)와 영구자석이 조립되어 있어, 물이 흐름에 따라 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이다.
체크밸브(78)(one way valve)는 배관에 직렬로 연결되며,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수도(50)는 실제로 사용자가 정수 및 살균된 물을 받는 곳이며, 수도밸브(52)의 개폐에 의하여 물이 공급되기도 하고 차단되기도 한다.
스위치(70)는 전원(68)과 안정기(66) 사이에 설치되며, 유량감지센서(72)의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배선(6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한다.
도 2는 종래 및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외선램프관(14, 54)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는 자외선이 생성되어 방출되는 자외선램프(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둘레로 투명한 내관(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관(5)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관(3)이 조립되어 있다.
내관(5)과 외관(3) 사이에는 물이 지나가는 유동로(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관(5)을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유동로(1) 내의 물이 살균된다. ,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의 전자계통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감지센서(72)의 펄스신호는 제어부(90)(예를 들어, 마이컴,CPU, 또는 논리회로)로 전송되고, 제어부(90)는 스위치(70)를 동작시키며, 스위치(70)는 자외선램프(54)를 온/오프시킨다. 또한 전원부(68)는 제어부(90)와 자외선램프(54)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가 별도의 키트내에 설치된 자외선살균키트(8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트(80)의 내부에는 자외선램프관(54), 유량감지센서(72), 체크밸브(78), 스위치(70) 및 안정기(66)가 내장되어 조립된다. 또한, 키트(80)의 외관에는 물이 들어가기 위한 입수구(84)와 살균된 물이 나오기 위한 출수구(82)가 마련되어 있다. 즉, 키트(80)의 내부에서 입수구(84)는 입수측(62)과 연결되어 있고, 출수구(82)는 체크밸브(78)의 출력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키트(80)는 전원(68)을 연결하고, 입수구(84)에 정수된 물을 넣고, 출수구(82)에 수도밸브(52)를 연결하면, 정수 뿐만 아니라 살균된 물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회로도는 로직 게이트(IC칩), 복수의 트랜지스터, 저항,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원(58)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정수를 위해 필터(56)에서 불순물, 세균 등이 걸러진다. 그러나, 세균이 모두 필터링 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자외선램프관(54)의 입수측(62)으로 공급된 물은 유동로(1)를 지나면서 자외선에 의해 살균되어 출수측(64)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유량감지센서(72)를 지나면서 임펠러(미도시)를 회전시켜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펄스신호는 스위치(70)로 전송되어 전원(68)과 자외선램프관(54) 사이의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량감지센서(72)를 지난 물은 체크밸브(78)를 지난 후, 수도(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물이 흐르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정수와 살균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수도밸브(52)를 폐쇄하여, 물의 흐름이 정지하면, 유량감지센서(72)로부터 펄스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되지 못한다. 따라서, 스위치(70)가 개방되고, 전원(68)으로부터 자외선램프관(54)으로 전기에너기가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물의 흐름이 정지했을 때에는 자외선램프(7)가 꺼지게 된다. 즉, 정수작용도 살균작용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만약 물의 흐름이 멈춘 상황에서, 수원(58)의 상태에 따라 물의 역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체크밸브(78)가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물의 역류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체크밸브(78)가 없다면, 물의 역류를 유량감지센서(72)가 감지하게 되고, 따라서, 자외선램프가 점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유량감지센서(72)와 체크밸브(78)는 물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배관중 어느 곳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정수후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살균후에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의하면, 물의 흐름이 있을 때(예를 들어, 물을 사용할 때)에만 한시적으로 자외선 램프를 점등하여 살균이 이루어지고, 물의 흐름이 없을 때(예를 들어,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자외선 램프가 꺼지기 때문에 고가인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수원(18)의 상태에 따라 물이 역류하더라도 살균장치내에서 이러한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있기 때문에 역류로 인한 공기의 유입, 이로 인한 세균의 번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 램프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를 별도의 키트로 구성하여 다양한 장치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수원(58)으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56);
    상기 필터(56)에 의해 정수된 물이 진입하는 입수측(62) 및 살균된 물이 배수되는 출수측(64)이 구비되고, 내부에 물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7)가 내장된 자외선램프관(54);
    배관상에 직렬로 연결되며, 물의 흐름에 대응하여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유량감지센서(72);
    상기 유량감지센서(72)의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관(54)으로 공급되는 전원(68)을 스위칭하는 스위치(70); 및
    상기 자외선램프관(54)에 의해 살균된 물이 배출되는 수도(50) 및 수도밸브(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 상기 유량감지센서(72)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78)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68)과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사이에는 안정기(66)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원(58) 및 수도(5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78); 및
    상기 전원(68)과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사이에 설치되는 안정기(6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램프관(54), 유량감지센서(72), 스위치(70), 체크밸브(78) 및 안정기(66)는 자외선살균키트(80)내에 구비되며,
    상기 자외선살균키트(80)에는 입수구(84)와 출수구(8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KR20-2002-0031044U 2002-10-17 2002-10-17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KR200301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44U KR200301741Y1 (ko) 2002-10-17 2002-10-17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044U KR200301741Y1 (ko) 2002-10-17 2002-10-17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741Y1 true KR200301741Y1 (ko) 2003-01-24

Family

ID=4939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044U KR200301741Y1 (ko) 2002-10-17 2002-10-17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7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872B1 (ko) 2009-11-26 2010-06-09 (주)케이에스피 유속감지에 의한 교류전원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정수기 또는 음수기
KR101416980B1 (ko) 2012-06-21 2014-07-0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환원수 생성장치
WO2024019209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흐르는 물 살균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872B1 (ko) 2009-11-26 2010-06-09 (주)케이에스피 유속감지에 의한 교류전원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정수기 또는 음수기
KR101416980B1 (ko) 2012-06-21 2014-07-0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환원수 생성장치
WO2024019209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마이크로디스플레이 흐르는 물 살균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0691A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6685825B1 (en) Water treatment system combining ozone injection and monitoring apparatuses
US20070163934A1 (en) Sterilize valve and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301741Y1 (ko) 유량감지센서가 구비된 자외선 살균장치
KR20100111537A (ko) 근접살균방식의 자외선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102263914B1 (ko) 정수장치
CN106216114B (zh) 花洒机构、沐浴装置及花洒抑菌方法
KR200330424Y1 (ko)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 꼭지
CN113461102A (zh) 杀菌装置和水龙头
CN219429758U (zh) 流动水杀菌装置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KR0125272Y1 (ko) 정수기
CN110407389A (zh) 一种可移动的无废水速热杀菌净水机
CN212532593U (zh) 全屋净水器
CN209567932U (zh) 一种内置纯水箱的反渗透净水机
CN212198592U (zh) 水龙头末端杀菌装置、水龙头及净水机
KR200376626Y1 (ko) 카트리지형 자외선 살균장치
RU274927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злами универсальной модуль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очистки во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злами универсальной модуль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очистки воды на ее основе
CN210595636U (zh) 一种超滤净水机
CN212425506U (zh) 水龙头及水龙头组件
CN108679267B (zh) 一种多功能电子水龙头
KR100367371B1 (ko) 오존수 제조기
CN212712843U (zh) 一种水龙头紫外led杀菌装置
JP3037029U (ja) 逆浸透膜を用いた浄水器
KR20100009412U (ko)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된 정수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