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436Y1 -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436Y1
KR200301436Y1 KR20-2002-0031512U KR20020031512U KR200301436Y1 KR 200301436 Y1 KR200301436 Y1 KR 200301436Y1 KR 20020031512 U KR20020031512 U KR 20020031512U KR 200301436 Y1 KR200301436 Y1 KR 200301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collar
body portion
dog colla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혜정
Original Assignee
신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혜정 filed Critical 신혜정
Priority to KR20-2002-003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견용 목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휴대시에는 애완견 목줄로서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에서는 애완견용 안전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애완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애완견의 움직임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용 안전 벨트 겸용 애완견 목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AN APPARATUD FOR USING BOTH A LEADER AND A SEATBELT FOR PETS}
본 고안은 애완견용 목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휴대시에는 애완견 목줄로서 사용할 수 있고, 차량 내에서는 애완견용 안전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견이 반려 동물로서 가정에서의 그 존재 비중이 높아지고, 차량을이용한 애완견의 동반 외출이 늘어남에 따라, 애완견이 차량에 탑승했을 때 애완견을 보호하고 운전자가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호 장치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또한, 애완견의 움직임을 사람의 일정 반경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애완견 목줄에 관한 다양한 고안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의 애완견 목줄은 주로 사람이 손으로 목줄을 파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뿐, 이러한 목줄의 길이 또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289880호)에는 애완견의 목에 채워진 목줄에 연결하는 줄에 완충기를 구비하여 애완견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해 줄이 당겨지는 힘을 상기 완충기 내의 스프링이 먼저 압축되면서 흡수하도록 한 애완견용 줄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애완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사람이 받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일 뿐 애완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은 아니므로, 상기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고 있지 아니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애완견 목줄은 목줄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 부재없이 목줄과 손잡이 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견 목줄과 애완견용 안전벨트가 각기 별개의 제품으로 설계되어 상호 호환이 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차량을 이용한 애완견 동반 외출시 애완견 목줄과 애완견용 안전벨트를 따로 소지하여야 했을 뿐 아니라, 목줄을 이용하는 경우는목줄을 애완견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착탈하여야 했고, 애완견용 안전벨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애완견을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개의 수단을 착탈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의 사항을 목적으로 안출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애완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애완견의 움직임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목줄 자체를 하우징 내에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목줄의 휴대 및 정리가 간편한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별개의 제품으로 소지하여야 했던 애완견 목줄과 애완견용 안전벨트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파지부와 몸체부의 연결 부위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의 톱니바퀴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가 차량용 안전벨트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요(凹)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철(凸)형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철(凸)형 돌출부는 차량 안전벨트 버클 중 요(凹)형 버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과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버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크게 목줄(안전벨트 줄)(110), 목줄 종단에 위치하고 애완견과 목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40), 몸체부(100), 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철((凸)형의 버클부(130), 및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된 파지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버클부(130)이 철(凸)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철형의 버클부(130)가 요(凹)형의 버클부로 쉽게 치환될 수 있다는 점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100)와 파지부(120)는 버클부(13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경우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파지부(120)의 결합부(124)는 철(凸)형일 수 있다. 이러한 버클부(130)를 통한 결합 구조는 통상 사용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결합 구조와 호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파지부(120)는 굽은형태로서 손으로 잡기 편리한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버클부(130)와 결합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124)를 가지고 있는 한, 다양한 변형예로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몸체부(300) 부위에 소정의 고정 수단(도시되지 아니함)이 구비되어, 고정 수단을 락(lock)시켰을 경우에는 애완견 목줄의 풀림이 고정되어 애완견의 움직임을 일정 반경 이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목줄 장치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변형예로서, 상기 파지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차량용 안전벨트로는 사용할 수 없지만, 아래 상술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와 유사한 원리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톱니바퀴부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구성하는 파지부(120) 중 몸체부와의 결합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120)의 상단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버튼(121)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착탈버튼(121)은 몸체부(100)의 버클부(130)가 파지부(120)에 결합되는 경우 스프링(122)의 동작 원리를 이용하여 착탈버튼(121)을 누르게 되면 지지부(123)가 아래로 향하게 되고, 이로 인해 버클부(130)가 빠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버클부(130)의 이탈시 도 2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스프링 구조에 의해 이탈 방향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이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파지부(120)의 결합부(124)는 기본적으로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 버클과 유사한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와 차량용 안전벨트의 결합에 관한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에 수납되어 있는 톱니바퀴부의 구조는 권리로서 보호받지 아니하는 모든 공지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톱니바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톱니바퀴부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당업자라면 주지하고 있는 것과 같이, 리트랙터는 통상시의 동작과 갑작스러운 움직임시의 동작이 서로 상이하다. 통상시에는 리트랙터부의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목줄(110)이 릴부(32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동작한다. 갑작스러운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톱니바퀴부 중 내부 톱니바퀴(330)과 외부 톱니바퀴(310) 사이의 마찰 계수가 작아져서 외부 톱니바퀴(310)가 지지부(340)에 물리게 되고, 이 경우 내부 톱니바퀴(330)의 측면에 위치한 고정핀(341)이 외부 톱니바퀴(310)의 측면에 위치한 고정자(351)에 고정됨으로써 내부 톱니바퀴(330)의 회전 또한 정지되며, 내부 톱니바퀴(330)과 함께 회전하는 릴부(320)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급작스러운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는 더 이상 목줄(110)이 풀리지 아니하므로, 목줄(110)과 고정되어 있는 대상 물체(애완견)는 더 이상의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에 수납되어 있는 톱니바퀴 구조와 이를 통한 애완견 목줄의 제어는 당업자라면 주지하는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100)의 릴부(320)는 애완견이 몸체부로부터 서서히 멀어지는 경우에는 목줄(110)이 풀리도록 동작하고, 목줄(110)로부터 받는 지지력이 없어지는 경우(목줄의 연결부(140)를 애완견으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릴부(320)에 위치한 스프링 구조(도시되지 아니함)의 작용으로 인해 목줄(110)이 자동적으로 릴부(320)에 감길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다른 변형예로서, 파지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애완견 안전벨트의 용도로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상술한 톱니바퀴부의 기능으로 인해 애완견의 행동 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애완견 목줄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애완견 목줄 장치는 애완견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경우에는 목줄이 풀리도록 동작하고, 애완견이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경우에는 상술한 톱니바퀴부(310, 330)와 지지부(340)의 동작에 의해 목줄이 더 이상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애완견 목줄 장치는 소정의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애완견의 움직임과는 무관하게 애완견 목줄의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가 차량용 안전벨트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다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애완견용 안전벨트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따른 장치의 파지부(120)를 몸체부(10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 후, 몸체부(100)에 위치하는 버클부(130)를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410)에 장착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의 몸체부(100)에 위치하는 버클부(130)는 요(凹)형 버클부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은 도 4에 도시된 버클(4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애완견과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애완견용 목끈 또는 애완견용 몸체 지지끈이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는 이러한 애완견용 목끈은 물론 애완견용 몸체 지지끈과도 도 1에 도시된 연결부(140)를 통하여 매우 편리하게 착탈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애완견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애완견의 움직임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견 안전 벨트 겸용 애완견 목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줄 자체를 하우징 내에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 및 정리가 간편한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 별개의 제품으로 소지하여야 했던 애완견 목줄과 애완견용 안전 벨트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애완견 안전벨트겸용 애완견 목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당업자라면 상술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지며, 이의 수정, 변경 등은 본 고안의 균등의 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Claims (10)

  1.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에 있어서,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요(凹)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용자 파지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철(凸)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형 돌출부는 차량 안전벨트 버클 중 요(凹)형 버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철(凸)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의 톱니바퀴 구조는 애완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애완견 목줄이 상기 몸체부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7.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에 있어서,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어 있고,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과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된 버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애완견용 목줄이 수납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견 목줄은 애완견을 상기 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9. 애완견 목줄 장치에 있어서,
    애완견 목줄;
    상기 애완견 목줄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톱니바퀴 구조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목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애완견 목줄의 풀림을 고정시키기 위한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견 목줄 장치.
KR20-2002-0031512U 2002-10-22 2002-10-22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KR200301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12U KR200301436Y1 (ko) 2002-10-22 2002-10-22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12U KR200301436Y1 (ko) 2002-10-22 2002-10-22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436Y1 true KR200301436Y1 (ko) 2003-01-24

Family

ID=4939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512U KR200301436Y1 (ko) 2002-10-22 2002-10-22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4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4857B2 (en) Animal control device
US7610880B2 (en) Animal control device
US6955138B2 (en) Retractable leash assembly with a quick connect coupling assembly
US6481382B2 (en) Collar with self-retracting leash
US9700018B2 (en) Retractable pet leash provided with a protective shell
US7162978B2 (en) Retractable leash assembly with a quick connect coupling assembly
US20170079245A1 (en) Dog leash with integrated clip mechanism
US6935277B2 (en) Lead with ergonomic handgrip
US20070039560A1 (en) Pet restraining device
US11445706B2 (en) Pet leash control device
EP2584892A1 (en) Combination retractable leash assembly and wearable locket for companion pet
US20010015179A1 (en) Retaining and guiding configuration
EP3267788A1 (en) Pet leash
US6629511B2 (en) Quick release leash and quick release coupling assembly
US20130167781A1 (en) Combination Retractable Leash Assembly and Wearable Locket for Companion Pet
US20120318212A1 (en) My Doggie Yo-Yo
US20180184621A1 (en) Ergonomic pet harness with enhanced retractable leash
US11147243B2 (en) Dog collar and leash assembly
US10383313B2 (en) Dog harness with a safety attachment
CN102056516B (zh) 漫步约束装置
KR200301436Y1 (ko) 애완견 안전벨트 겸용 목줄 장치
US11357213B2 (en) Leash assembly
KR100464276B1 (ko) 애완견용 목줄 연결장치
JP3193155U (ja) 首輪付ペット用リーシュ
JP5568323B2 (ja) リード付き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