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213Y1 -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213Y1
KR200301213Y1 KR20-2002-0031438U KR20020031438U KR200301213Y1 KR 200301213 Y1 KR200301213 Y1 KR 200301213Y1 KR 20020031438 U KR20020031438 U KR 20020031438U KR 200301213 Y1 KR200301213 Y1 KR 200301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phone
cover
outer she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현
Original Assignee
문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현 filed Critical 문승현
Priority to KR20-2002-0031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덮개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그리고 연결부덮개 각각은 내피와,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각 내피에는 휴대폰의 상, 하부몸체가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having a dual layer}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간편한 휴대를 위해 휴대폰 케이스 또한 많이 애용되고 있는데 도 1b는 그 중에서 도 1a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케이스를 보여준다.
종래 휴대폰 케이스(5)는 휴대폰(1)의 상부본체(2)를 수납할 수 있는 상부케이스(6)와, 휴대폰(1)의 하부본체(3)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케이스(7), 그리고 상기 상, 하부본체를 연결하는 힌지타입의 연결부(4)를 감싸는 연결부덮개(8)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9는 배터리 충전을 위한 공간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외측에 PVC, 내측은 우레탄재질로 되어 있어, 내, 외측케이스는 박음질로 연결되고, 휴대폰의 외관의 흠집을 보호하기는 하지만 단순히 긁힘을 방지하는 수준이고, 실제로 휴대폰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휴대폰을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또는 휴대폰 배터리를 교환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을 케이스에 착탈함에 있어 보다 쉽게 할 수있는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휴대폰 및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일 단면구성도.
도 5는 도 3의 일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상부케이스 262 : 외피
264 : 내피 266 : 충진물
300 : 연결부덮개 400 : 하부케이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덮개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그리고 연결부덮개 각각은 내피와,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각 내피에는 휴대폰의 상, 하부몸체가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케이스 내피에는 액정커버가 더욱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내피에는 버튼커버가 더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와 외피, 상, 하부몸체포켓 그리고 액정커버, 버튼커버의 결합은 고주파 열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물은 에어, 물, 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와 외피, 상, 하부몸체포켓 그리고 액정커버, 버튼커버는 P. V. 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만 달리할 뿐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측면도를 보여주는데,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기본적으로 휴대폰의 상부본체를 수납하는 상부케이스(200)와, 휴대폰의 하부본체를 수납하는 하부케이스(400), 그리고 휴대폰의 상, 하부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감싸는 연결부덮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의 일부(A)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3에 의하면 상기 상, 하부케이스(200, 400)와 연결부덮개(300)는 휴대폰 본체와 접하는 내피(264)와 상기 내피(264)와 결합되는 외피(262)의 이중 구조로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 외피(264, 262) 사이에는 충진물(266)이 채워진다.
상기 충진물(266)은 휴대폰 케이스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휴대폰을 보호하는 완충작용을 하며 에어, 물, 겔(gel) 등 완충작용이 가능하기만 하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상, 하부케이스(200, 400)에는 휴대폰의 상, 하부본체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상, 하부본체포켓(220, 420)이 형성되며, 상부케이스(200)에는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액정커버(260), 하부케이스에는 휴대폰의 버튼부를 보호하는 버튼커버(44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 하부본체포켓(220, 420)은 휴대폰의 상, 하부본체의 일부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과 케이스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준다.
미 설명부호 222, 422, 424는 각각 수신 홀, 마이크 홀, 그리고 케이블 홀이다. 460은 배터리 보호부 이다.
그리고 상기 내피(264)에 외피(262)를 결합시키는 것과, 상기 내피(264)에 상, 하부몸체포켓(220, 420), 액정커버(260) 및 버튼커버(440)를 결합시키는 것은 고주파 열 접합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 외피(264, 262), 상, 하부몸체포켓(220, 420) 그리고 액정커버(240) 및 버튼커버(440)의 재질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P. V. 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색상 역시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액정커버(240) 및 버튼커버(440)는 휴대폰의 액정화면과 버튼부를 감싸는 점을 감안한다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외부 액정화면을 가지는 휴대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액정커버(260) 중 외부 액정화면과 접하는 부분(263)은 투명한 재질의 내피(264)만으로 구성하여 휴대폰을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외부 액정화면을 볼 수 있게 해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버튼커버(440)를 생략하여 휴대폰을 케이스에 착탈하거나 또는 휴대폰 배터리의 교환시 그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카메라를 부착한 핸드폰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 카메라부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덮개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을 수납하는 케이스의 구조를 이중으로 하고 충진물을 개재시킴으로서 휴대폰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를 케이스의 일부에만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휴대폰과 케이스의 착탈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4)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덮개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그리고 연결부덮개의 바깥쪽은 각각 내피와,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각 내피에는 휴대폰의 상, 하부몸체가 삽입되는 포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 내피에는 액정커버가 더욱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 내피에는 버튼커버가 더욱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은 에어, 물, 겔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 상, 하부몸체포켓 그리고 액정커버, 버튼커버는 P. V. 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02-0031438U 2002-10-22 2002-10-22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KR200301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38U KR200301213Y1 (ko) 2002-10-22 2002-10-22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38U KR200301213Y1 (ko) 2002-10-22 2002-10-22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213Y1 true KR200301213Y1 (ko) 2003-01-17

Family

ID=4939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38U KR200301213Y1 (ko) 2002-10-22 2002-10-22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6620A (zh) * 2018-07-30 2018-10-23 安徽优阿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纳的手机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6620A (zh) * 2018-07-30 2018-10-23 安徽优阿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纳的手机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8732B2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US6355374B1 (en) Arrangement in an electric apparatus
KR200301213Y1 (ko) 이중구조의 휴대폰 케이스
JP2001046132A (ja) 携帯電話等携帯型通信端末器用保護カバー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90117466A (ko) 개인용 휴대 통신기기 보호커버
JPH07288567A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10110402A (ko) 휴대폰 중심 축의 화상 카메라와 안테나의 기능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KR20170002529U (ko)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JP2923257B2 (ja) 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KR200313384Y1 (ko) 배터리케이스와 결합된 핸드폰케이스
JP4540599B2 (ja) 携帯端末
KR100525170B1 (ko)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KR200470206Y1 (ko) 모바일폰 케이스
CN219875806U (zh) 电子设备
CN212065918U (zh) 防水袋
CN210444339U (zh) 一种新型军工级三防手机壳
CN220673803U (zh) 一种终端设备保护壳
CN207491398U (zh) 电子装置的壳体组件及电子装置
CN212969761U (zh) 一种多功能塑胶手机壳
JP3718497B2 (ja) 携帯型通信装置
KR19980067240U (ko) 핸드폰 케이스
KR200394704Y1 (ko) 휴대 단말기의 충격 방지 쿠션
KR200285135Y1 (ko) 다용도 결속끈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