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059Y1 -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1059Y1 KR200301059Y1 KR2019980008819U KR19980008819U KR200301059Y1 KR 200301059 Y1 KR200301059 Y1 KR 200301059Y1 KR 2019980008819 U KR2019980008819 U KR 2019980008819U KR 19980008819 U KR19980008819 U KR 19980008819U KR 200301059 Y1 KR200301059 Y1 KR 2003010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te
- belt
- rods
- connector
- assembl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송설비인 벨트콘베어의 슈트에 설치되는 담파의 개폐정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슈트(200)의 개구부(10a)상단에는 복수개의 설치대(12)가 장착된 고정판(11)을 갖추며, 상기 설치대(12)의 반원공(12b)주변에는 C형고리(14)와 고리홀더(15)가 끼워지는 안착홈(13)을 형성하고, 상기 C형고리(14)가 체결되는 상부홈(17a)을 형성한 상단부에 샤프트(16)가 용접설치되며, 전면에 연결구(19)를 장착한 담파(17)를 갖춘 담파부(10)와, 좌,우가이드롤러(21a),(21b)가 상단에 장착된 좌,우수직축(22a),(22b)을 갖추고, 상기 좌,우수직축(22a),(22b)과 교차연결된 회전축(22)양단이 조립되는 베어링블록(23)을 상단에 각각 설치한 좌,우고정대(23a),(23b)를 갖추며, 상기 좌,우수직축(22a),(22b)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2로드(25),(26)와 연설되는 한쌍의 제 3로드(27)를 갖춘 동력전달부(20);및, 상기 제 3로드(27)사이에 양단이 연결되고, 제 1수직대(32a)의 베어링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회전축(36)중간에 래크기어(35a)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4)를 갖추고, 작동바(35)의 안내공(35b)에는 고정구(39a),(39b)의 안내봉(39)이 조립되며, 상기 작동바(35)의 선단에는 충격흡수구(37)를 갖추고, 상기 담파(17)의 연결구(19)와 연결되는 피연결구(38)를 갖춘 조정부(30)를 포함하는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송설비인 벨트콘베어의 슈트에 설치되는 담파의 개폐정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담파의 마모, 고착 및 탈락 등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점검함으로써 대형 설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수송물의 편심적치에 따른 벨트의 사행시 담파가 자동으로 조정되어 벨트사행을 바르게 잡아주는 개방슈트용 담파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기,무게 및 부피등이 일정하지 않은 콜과 같은 수송물이 낙하는 슈트의 직하부에는 수송물을 일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형으로 벨트를 순환시키는 벨트콘베어가 설치되고, 상기 슈트의 하부에는 벨트상에 낙하되는 수송물의 편적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담파조정장치를 갖추어 구성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담파조정장치(100)를 도시한 조립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슈트(200)를 구성하는 일측 플레이트(201)의 내부면에 고리형으로 형성된 한쌍의 설치대(111)를 용접취부하고, 상기 설치대(111)에 판부재인 담파(110)의 샤프트(112)를 걸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담파(110)의 후면에는 연결구(113)를 용접취부하고, 상기 연결구(113)와 선단이 핀부재(114)로 연결된 스크류(120)는 상기 플레이트(201)의 외부면에 설치된 고정베이스(121)에 조립되며, 상기 스크류(120)에는 너트(122)가 체결되고, 이를 용이하게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환봉(123)을 갖추어 구성한다.
한편, 수송물이 투입되는 슈트(200)내부면에 주로 형성되는 부착탄에 의하여 벨트콘베어(300)의 벨트(301)상으로 낙하적재되는 수송물이 일측으로 편적되면, 편적된 수송물에 의해서 일방향 진행되는 벨트(301)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사행되어 낙광 및 벨트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수시로 수송물의 편심적재여부를 확인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벨트(301)의 사행발생시 작업자는 벨트콘베어(300)의 수송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슈트(200)로 가서 스크류(120)에 조립된 너트(122)를 회전조작하여 고정베이스(121)에 조립되고, 담파(110)의 후면에 연결된 상기 스크류(120)를 전,후진시킴으로써, 상기 슈트(200)를 통해 공급되어 담파(110)에 부딪힌 다음 벨트(301)상으로 낙하되는 수송물이 벨트(301)상에 편심적재되지 않도록 스크류(120)의 선단에 조립된 상기 담파(110)의 설치각도를 수동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벨트(301)의 사행을 교정하였다.
미설명부호 340은 상기 벨트(301)의 주행을 안내하는 캐리어롤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담파조정장치(100)는 사행을 검출하는 특별한 점검기구가 없고, 오로지 작업자의 시각에 의존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매우 크고, 장치(100)의 점검시에는 슈트(200)내부에 형성된 부착탄(200a)을 사전에 제거한 다음, 협소한 슈트(200)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담파(110)의 샤프트(112)가 조립된 설치대(111)와, 상기 담파(110)와 스크류(120)를 연결하는 연결구(113)와 연결핀(114)의 마모, 부식에 의한 탈락의 위험요인을 찾아내어 수리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슈트(200)내부공간에서의 수리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정기적인 수리작업시 의무적으로 작업팀을 배정하고 점검 및 수리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과다인력 투입으로 인하여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담파(110)가 슈트(200)내부에 설치되어 부식, 마모정도를 수시로 점검할 수 없는 관계로 샤프트(112)가 설치대(111)로 부터 탈락되면, 담파(110)가 하부로 낙하되어 수송설비인 벨트(301)를 절손시켜 벨트콘베어(300)의 수송작업을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벨트사행시 작업자는 그 즉시 수송작업을 일시 중지하고, 슈트(200)로 가서 담파(1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해야 하지만 낙하 수송물에 함유된 수분과 마찰로 인하여 체결부위 및 연결부위에서 부식이 심화되어 너트(122)와 스크류(120)를 이용하여 담파(110)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슈트외부에 설치되어 담파 및 설비의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고, 수송물의 편적에 의한 벨트사행시 무동력으로 작동되어 담파의 설치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키고, 사전의 철저한 설비점검을 통해 대형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벨트사행을 바르게 교정하여 낙탄을 방지하고, 수송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방슈트용 담파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담파조정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담파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와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담파부 11 .... 고정판
12 .... 설치대 13 .... 안착홈
16 .... 샤프트 17 .... 담파
20 .... 동력전달부 21a,21b .... 좌,우가이드롤러
22a, 22b .... 좌,우 수직축 23a,23b .... 좌,우고정대
25,26,27 .... 제 1,2,3로드 30 .... 조정부
31 .... 수평대 31a,32b .... 제 1,2수직대
34 .... 피니언기어 35 ..... 작동바
36 .... 회전축 37 ..... 충격흡수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슈트를 통해 낙하되는 수송물을 벨트로서 수송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슈트의 일측면에 절개형성된 개구부상단에는 복수개의 설치대가 장착된 고정판을 갖추며, 상기 설치대의 반원공주변에는 C형고리와 고리홀더가 끼워지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C형고리가 체결되는 상부홈을 형성한 상단부에 상기 반원공으로 끼워지는 샤프트가 용접설치되며, 전면에 연결구를 장착한 담파를 갖추고, 그 좌,우 및 하단에 실링밴드를 각각 갖추어 수송물의 편적을 방지하는 담파부와,
상기 벨트의 양측면과 접하는 좌,우가이드롤러가 상단에 장착된 좌,우수직축을 갖추고, 상기 좌,우수직축과 교차연결된 회전축양단이 조립되는 베어링블록을 상단에 각각 설치한 좌,우고정대를 갖추며, 상기 좌,우수직축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2로드와 연설되는 한쌍의 제 3로드를 갖추어 벨트사행감지시 작동되는 동력전달부 및,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 3로드사이에 양단이 연결되고, 수평대에 갖추어진 제 1수직대의 베어링블록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회전축중간에 작동바의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의 안내공에는 고정구의 안내봉이 조립되며, 상기 작동바의 선단에는 충격흡수구를 갖추고, 상기 담파의 연결구와 연결되는 피연결구를 갖추어 상기 담파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담파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와 조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1)는 도 2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송물을 벨트콘베어(300)의 벨트(301)상으로 안내낙하하는 슈트(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수송물 편적에 따른 벨트사행시 담파(17)의 설치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수송물의 낙하지점을 교정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담파부(10), 동력전달부(20) 및 조정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수송물이 벨트(301)상에 편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담파부(10)는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슈트(200)의 일측면 외부에 설비점검이 용이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플레이트(201)에 개구부(10a)를 절개형성하는바, 상기 개부부(10a)상단에는 복수개의 설치대(12)가 전면에 체결부재(12a)로서 일정간격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고정판(11)을 갖추며, 상기 각 설치대(12)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샤프트(16)가 끼워져 조립되는 반원공(12b)을 형성하고, 그 주변에는 C형고리(14)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리홀더(15)가 끼워지는 안착홈(13)을 함몰형성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부홈(17a)이 형성되는 담파(17)의 상단에는 샤프트(16)를 일체로 용접설치한다. 상기 슈트(200)를 통해 낙하하는 수송물과 직접접촉하는 상기 담파(17)는 슈트(200)의 크기에 따라 직사각형의 판부재로 갖추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담파(17)의 조립은 샤프트(16)를 설치대(12)의 반원공(12b)내로 끼운 다음, 상기 C형고리(14)의 손잡이(14a)를 안착홈(13)을 따라 회전시켜서 그 선단을 상기 상부홈(17a)으로 삽입하면, 상기 담파(17)가 샤프트(16)를 중심으로 힌지작동가능하도록 상기 C형고리(14)로서 샤프트(16)를 고정하여 담파(17)의 탈락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담파(17)의 좌,우양측 및 하단에는 상기 슈트(200)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수송물이 좌,우 및 하단부근에 발생되는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18)과 체결부재(18d)로서 복수개의 실링밴드(18a),(18b),(18c)를 각각 설치한다. 특히, 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실링밴드(18c)는 상기 담파(17)의 설치각도변화에 따라 변하는 틈새크기에 관계없이 낙하수송물의 외부유출을 차단하여 낙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첩가능한 주름부재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송물의 편적시 발생하는 벨트사행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동력전달부(20)는 도 2와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벨트(301)의 양측면과 항상 접하는 좌,우가이드롤러(21a),(21b)가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좌,우수직축(22a),(22b)을 갖추는바, 이러한 좌,우수직축(22a),(22b)에는 회전축(22)을 각각 직각으로 교차설치하고, 그 양단은 좌,우고정대(23a),(23b)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블록(23)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때, 상기 좌,우고정대(23a),(23b)가 상부면에 수직설치되는 프레임(310)은 벨트콘베어(300)의 좌,우에 배치되어 이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수직축(22a),(22b)은 벨트사행발생시 일측으로 치우치는 벨트(301)와 접해지는 좌,우가이드롤러(21a),(21b)의 밀림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작동되며, 상기 좌,우가이드롤러(21a),(21b)는 벨트(301)와 접해지는 각 드럼(21)의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갖추며, 이러한 드럼(21)의 외부면에는 벨트(301)와의 접촉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부재를 감싸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좌,우수직축(22a),(22b)의 하단은 제 1로드(25)의 양단에 고정핀(24)으로 연결구성되고, 상기 제 1로드(25)의 일단에 연결된 제 2로드(26)의 타단에는 또다른 고정핀(24)으로서 직각설치되는 한쌍의 제 3로드(27)를 연결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2 및 3로드(25),(26),(27)는 벨트사행에 따른 좌,우수직축(22a),(22b)의 좌,우움직임을 후술하는 조정부(30)로 전달하여 담파(17)의 설치각도조정작업을 연속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송물과 접촉되는 담파(17)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30)는 도 2와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벨트콘베어(300)를 따라 고정설치되는 또다른 고정구조물인 프레임(320)에 연결구성된 수평대(31)에 갖추어지는바, 이러한 수평대(31)상에는 베어링부재(33a)를 내장한 베어링블록(33)을 상단에 각각 설치한 한쌍의 제 1수직대(32a)를 갖추고,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상기 제 3로드(27) 끝단에 형성된 반원고정공(27a)에는 회전축(36)의 반원단부(36a)가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36)의 중간에는 경사설치된 작동바(35)의 하부에 형성된 래크기어(35a)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4)를 복수개의 체결부재(34a)로서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35)의 상부에는 안내공(35b)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안내공(35b)에는 수평대(31)상에 수직설치된 한쌍의 고정구(39a),(39b)상단에 마련된 각 안내봉(39)이 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34)와 래크기어(35a)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맞물려 상기 작동바(35)의 전,후진이동을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35)의 선단에는 상기 담파(17)의 연결구(19)와 핀부재(19a)로서 연결되는 피연결구(38)를 갖추고, 상기 피연결구(38)에는 스프링부재(37a)와 합성고무(37b)로 이루어진 충격흡수구(37)를 갖추어 수송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담파(17)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여 구성부품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대(31)상에는 또다른 제 2수직대(32b)를 갖추어 상기 피니언기어(34)와 마찬가지로 작동바(35)의 래크기어(35a)와 맞물리는 보조피니언기어(34a)를 설치하여 벨트사행시 작동되는 작동바(35)의 전,후진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장치(1)가 설치된 슈트(200)를 통해 낙하되는 수송물이,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방향으로 주행하는 벨트(301)의 좌측에 편적되어 상기 벨트(301)가 수송물의 무게에 의해서 우측으로 사행되면, 상기 벨트(301)의 우측면과 항상 접하고 있던 우측 가이드롤러(21b)가 사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롤러(21b)를 상단에 갖추고, 프레임(310)상에 고정설치된 우측 고정대(23b)의 베어링블록(23)에 회전축(22)을 회전가능하도록 조립한 우측 수직축(22b)은 회전작동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축(22b)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롤러(21b)의 이동방향과 반대인 화살표 A방향(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축(22b)과 한쌍으로 벨트(301)좌측에 설치되는 또다른 수직축(22a)도 동일한 방향으로 같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좌,우 수직축(22a),(22b)의 하단에는 제 1로드(25)가 연설되고, 이에 연결된 제 2로드(26)의 일단에는 제 3로드(27)가 수직설치됨에 따라, 마주하는 상기 한쌍의 제 3로드(27)에 양단이 연결고정됨과 동시에, 위치고정된 제 1수직대(32a)의 베어링블록(33)에 외주면이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상기 조정부(30)의 회전축(36)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상기 벨트(301)의 사행이동량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축(36) 길이중간에 조립된 피니언기어(34)와 래크기어(35a)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4)에 의해서 안내공(35b)내에 안내봉(39)이 끼워진 작동바(35)는 상기 벨트(301)의 사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바(35)의 피연결구(38)에 연결된 담파(17)가 외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담파(17)의 샤프트(16)가 설치대(12)의 반원공(12b)에 힌지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담파(17)는 외측방향으로 설치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슈트(200)내로 투입되어 상기 담파(17)에 부딪힌 다음 벨트좌측에 적재되던 수송물을 설치각도가 조정된 상기 담파(17)로서 우측으로 적재시켜 벨트사행을 교정함으로써, 벨트주행을 바르게 잡아주면서 낙광 및 벨트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수송물의 편적이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벨트우측에 발생되어 벨트사행이 좌측방향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벨트(301)의 좌측면에 접하는 좌측 가이드롤러(21a)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좌측 수직축(22a)은 화살표 방향 B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축(22a),(22b)의 하단에 연결된 제 1, 2 및 3로드(25),(26),(27)도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되고, 위치고정된 제 1수직대(32a)의 베어링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상기 조정부(30)의 회전축(36)은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상기 벨트(301)의 사행이동량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축(36)에 조립된 피니언기어(34)가 래크기어(35a)와 맞물려 회전되면, 상기 작동바(35)는 벨트사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그 선단의 피연결구(38)에 연결된 담파(17)를 슈트(200)내부로 전진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대(12)의 반원공(12b)에 힌지작동가능하도록 조립된 상기 담파(17)의 설치각도를 내측방향으로 변화시켜 벨트우측에 적재되던 수송물을 좌측에 적재함으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벨트사행을 올바르게 자동으로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슈트(200)하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슈트(200)내부로 들어가 부착탄(200a)을 제거하고 설비점검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에 의한 육안점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마모,부식에 의한 교체주기가 짧은 구성부품의 교체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고, 작입투입인력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담파(17)의 탈락에 의한 벨트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안정된 설비운전이 가능하고, 벨트사행시 담파(17)의 설치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벨트주행이 바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낙광발생이 없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인력을 줄일 수 있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수송작업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 슈트(200)를 통해 낙하되는 수송물을 벨트(301)로서 수송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슈트(200)의 일측면에 절개형성된 개구부(10a) 상단에는 복수개의 설치대(12)가 장착된 고정판(11)을 갖추며, 상기 설치대(12)의 반원공(12b)주변에는 C형고리(14)와 고리홀더(15)가 끼워지는 안착홈(13)을 형성하고, 상기 C형고리(14)가 체결되는 상부홈(17a)을 형성한 상단부에 상기 반원공(12b)으로 끼워지는 샤프트(16)가 용접설치되며, 전면에 연결구(19)를 장착한 담파(17)를 갖추고, 그 좌,우 및 하단에 실링밴드(18a),(18b),(8c)를 각각 갖추어 수송물의 편적을 방지하는 담파부(10)와,상기 벨트(301)의 양측면과 접하는 좌,우가이드롤러(21a),(21b)가 상단에 장착된 좌,우수직축(22a),(22b)을 갖추고, 상기 좌,우수직축(22a),(22b)과 교차연결된 회전축(22)양단이 조립되는 베어링블록(23)을 상단에 각각 설치한 좌,우고정대(23a),(23b)를 갖추며, 상기 좌,우수직축(22a),(22b)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2로드(25),(26)와 연설되는 한쌍의 제 3로드(27)를 갖추어 벨트사행감지시 작동되는 동력전달부(20) 및,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 3로드(27)사이에 양단이 연결되고, 수평대(31)에 갖추어진 제 1수직대(32a)의 베어링블록(33)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회전축(36)중간에 작동바(35)의 래크기어(35a)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34)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35)의 안내공(35b)에는 고정구(39a),(39b)의 안내봉(39)이 조립되며, 상기 작동바(35)의 선단에는 충격흡수구(37)를 갖추고, 상기 담파(17)의 연결구(19)와 연결되는 피연결구(38)를 갖추어 상기 담파(17)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슈트의 담파자동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819U KR200301059Y1 (ko) | 1998-05-26 | 1998-05-26 |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819U KR200301059Y1 (ko) | 1998-05-26 | 1998-05-26 |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800U KR19990041800U (ko) | 1999-12-27 |
KR200301059Y1 true KR200301059Y1 (ko) | 2003-03-19 |
Family
ID=493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8819U KR200301059Y1 (ko) | 1998-05-26 | 1998-05-26 |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105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861B1 (ko) * | 2001-10-26 | 2007-07-26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크린의 낙하수송물 분산유도장치 |
KR100779669B1 (ko) * | 2001-11-14 | 2007-11-26 | 주식회사 포스코 |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수송물의 적재위치 가변장치 |
KR100812158B1 (ko) * | 2001-12-20 | 2008-03-12 | 주식회사 포스코 | 벨트 사행에 따른 편적 방지 기능을 갖는 선회슈트장치 |
KR101415831B1 (ko) * | 2012-07-13 | 2014-07-07 | 주식회사 포스코 |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
CN107583758B (zh) * | 2017-09-30 | 2023-10-20 | 台州市军融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 一种旋转钩式筛分除杂设备 |
CN109184217B (zh) * | 2018-10-30 | 2020-09-29 | 湖南交通职业技术学院 | 一种公路材料搅拌站防尘输送装置 |
-
1998
- 1998-05-26 KR KR2019980008819U patent/KR2003010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800U (ko) | 1999-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094206A (en) | Conveyor systems | |
KR200301059Y1 (ko) | 개방슈트의 담파 자동 조정장치 | |
US4372440A (en) | End shaft mount for conveyor | |
FI3529179T3 (fi) | Materiaalinkäsittelylaitteen kuljetinhihnajärjestely | |
JP5909853B2 (ja) | 青果物選別コンベアのチエン張り装置 | |
CN211997357U (zh) | 90度转弯输送机 | |
CA1144101A (en) | Engagement mechanism for engaging conveyance containers to endless chains in continuous conveyance system | |
KR101277891B1 (ko) | 운송물 처리장치 | |
KR102681518B1 (ko) | 반송 분류 장치 | |
CN115258609B (zh) | 装配履带用链轨输送系统 | |
KR100838152B1 (ko) | 벨트 컨베이어용 완충장치 | |
US3029923A (en) | Log aligning mechanism | |
KR100815729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 |
KR101188085B1 (ko) |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 | |
US3065646A (en) | Conveyor belt take-up mechanism | |
JPS5936020A (ja) | 選別機用コンベア装置 | |
KR200184033Y1 (ko) | 편적 수정 장치 | |
US2916139A (en) | Reversible belt training idler | |
KR200179961Y1 (ko) | 벨트 콘베어 설비의 사행방지 자동 조정 스탠드 | |
KR100931148B1 (ko) |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 |
KR102714815B1 (ko) | 사행 조정용 자동조심장치 | |
CN117902228B (zh) | 一种港口码头货物运输机 | |
SU740633A1 (ru) | Став ленточного конвейера | |
CN215046904U (zh) | 一种翻转式加料平台 | |
KR102264339B1 (ko)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