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370A -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370A
KR20030097370A KR1020020034701A KR20020034701A KR20030097370A KR 20030097370 A KR20030097370 A KR 20030097370A KR 1020020034701 A KR1020020034701 A KR 1020020034701A KR 20020034701 A KR20020034701 A KR 20020034701A KR 20030097370 A KR20030097370 A KR 20030097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mpressor
refrigerator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941B1 (ko
Inventor
이병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9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4Temperature balan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냉장고용 압축기의 운전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온화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해서 고내 감지온도를 높이면서 온도조절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이때의 동작으로 외부온도가 저온인 경우에서도 압축기를 구동시켜서 저온화현상에 따른 압축기의 운전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화현상에 따른 고내등을 점등시킬 때, 고내등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분압하므로서 고내등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Compensation circuit for low temperature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온도가 저온일 때,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냉장고용 압축기의 운전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온도가 높아졌을 때 음식물이 부패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온보다 저온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음식물의 보존시간을 가능한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는, 설정온도와 고내온도와의 비교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의 ±α값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그런데 냉장고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 특히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을 때, 냉장고는 외부온도의 영향을 받게 된다. 더군다나 냉장고가 야외에 설치되고 있는 경우에는 주위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설치상태에서 외부온도가 일정치 이하로 낮아지면, 냉장고의 냉장실은 고내온도와 설정온도 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냉장고의 운전율은 매우 낮아진다.
이것은 주위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때, 냉장실의 고내온도도 같이 낮아지기 때문에, 냉장고의 압축기 및 팬모터의 운전시간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다. 특히, 냉장실의 온도에 기초해서 냉동실의 냉기공급을 제어하는 냉장시스템의 경우에서는 냉장실의 저온화현상을 일으킬 때 냉동실에도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냉동실 보관 중인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저온화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종래는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것과 같은 저온보상회로를 구현하고 있다.
종래의 냉장고 저온보상회로는, 온도조절기 감지부에 저항발열체를 부착하고, 저온화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저항발열체가 온도조절기 감지부의 온도를 높여주도록 구성되고 있다.
즉,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교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부(1)의 제 1,2 단자에 전원공급선로(L1,L2)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선로(L1,L2) 사이에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3)와, 고내등(5)이 직렬 연결된 고내등 동작부(20)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고내등(5)은, 도어가 열렸을 때 온 동작되는 도어스위치(3)를 통해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전원입력부(1)의 제 3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선로(L1)에는 설정온도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하는 온도조절기(9)가 연결되고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9)의 다음 단에는 압축기구동부(31)로의 전원공급 또는 제상히터부(29)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상 타이머(21)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압축기구동부(31)로 공급된 전원은 압축기(15)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상히터구동부(29)로 공급된 전원은 제상히터(13)를 구동시킨다. 상기 제상 타이머(21)는, 초기상태가 압축기구동부(31) 측으로 연결상태(d-e)를 유지한다. 그리고 압축기구동시간이 완료되었을 때, 제상히터 측으로의 연결상태(d-f)를 갖게 된다.
상기 온도조절기(9)가 부착된 주변에는 발열저항(11)이 설치되고, 상기 발열저항(11)은 전원공급선로(L1,L3)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선로(L3)는, 상기 압축기구동부(31)의 공급선로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5)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할 때, 상기 발열저항(11)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냉장고에서 저온보상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품 내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입력부(1)로 입력되는 전원은 고내등 동작부(20)로 제공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부(1)로 입력되는 전원은 제상히터부(29)와 압축기구동부(31) 측으로 제공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열면, 도어스위치(3)가 온 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전원입력부(1)로 입력되는 전원은, 온 동작된 도어스위치(3)를 통해서 고내등(5)으로 공급되고, 고내등(5)은 점등되어진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상태일 때, 온도조절기(9)는 온 상태가 된다. 또한 제상타이머(21)의 카운트시간이 기설정되고 있는 압축기운전시간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일 때, 제상타이머(21)의 가동단자(d)는 단자(e)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온도조절기(9)와 제상타이머(21)를 통과한 전원은 압축기구동부(31)로 공급되면서, 압축기(15)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기(9)와 제상타이머(21)를 통과한 전원은, 냉동실모터(7)에 공급되어, 냉동실모터(7)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동작상태일 때, 압축기(15)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에서 주위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냉기가 냉기공급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냉장실 및 냉동실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로 냉기가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되면, 냉장실과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내려가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고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감지형 온도조절기(9)는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오프상태로 절환한다. 상기 온도조절기(9)가 오프상태가 되면, 전원입력부(1)로 입력되는 전원은 압축기구동부(31)로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압축기(1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압축기(15)는 정지상태로 제어된다.
상기 압축기(15)가 정지상태로 제어되면, 증발기에서 열교환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냉기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내로 냉기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고내온도가 상승되고, 온도조절기(9)는 다시 온 상태로 절환되어진다. 그리고 다시 압축기(15)가 재가동되면서 고내로 냉기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주위온도가 일정치 이하로 낮아졌을 때, 주위온도가 고내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고내의 냉기가 냉장고 문의 개폐 동작, 외부온도 등에 의해서 냉장고 외부로 빠져나가야만, 고내온도가 상승되어 다시 압축기(15)의 재가동이 이루어지는데, 외부온도가 저온인 경우에서는 고내온도와 외부온도와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냉기가 손실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고내온도가 상승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온화현상이 발생되면, 온도조절기(9)는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온화현상에 의하여 온도조절기(9)의 오프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압축기(15)는 장시간동안 운전을 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고내로 냉기 공급은 완전히 억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냉동실로 냉기공급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냉장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만 하는 냉동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는 발열저항(11)을 온도조절기(9) 부근에 설치하고 있다. 즉, 압축기(15)가 장시간 운전하지 않을 때, 상기 발열저항(11)의 발생열로 온도조절기(9)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높아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발열저항(11)은, 전원입력부(1)에 직접 연결된 전원공급선로(L1)과 압축기구동부(31)에 연결된 전원공급선로(L3)의 사이에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저항(11)의 저항치는, 압축기(15)의 저항치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입력부(1)의 전원이 온도조절기(9)의 온/오프 동작으로 일정주기로 압축기구동부(31) 또는 제상히터부(29)로 공급되면, 상기 발열저항(11)에서 발열되는 열은 일정치 이하로 제한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온도조절기(9)가 일정시간 이상동안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전원입력부(1)로 입력되는 전원은, 제품 내에서 소모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이때의 전원은 발열저항(11)에 계속해서 공급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발열저항(11)은, 전원공급량이 일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높은 열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온도조절기(9) 부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때의 열로 온도조절기(9)는, 다시 온 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온도조절기(9)의 온동작으로 압축기구동부(31)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도 외부온도가 소정치(5도~15도) 이하에서는 대응이 어려운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것은, 상기 발열저항(11)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이 일정치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온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외부 설치 제품의 경우에서는 저온화현상시에 압축기의 운전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온도가 저온일 때,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운전율을 높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화현상에 따른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할 때, 고내등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저온보상을 위한 제어 회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온보상을 위한 제어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되고 있는 전압분압회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원입력부103 : 도어스위치
105 : 고내등107 : 팬모터
109 : 온도조절기113 : 제상히터
115 : 압축기117 : 과전류보호스위치
119 : 제상온도조절기121 : 제상타이머
123 : 휴즈125 : 바이메탈형 스위치
150 : 전압분압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는, 전원이 공급되면, 고내 냉기 발생을 위하여 구동되는 압축기와; 고내등의 점등을 위하여 구동되는 고내등구동부와; 전원입력부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서 연결되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로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온도조절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있는 기계실의 일측에 부착되어, 감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 온 동작하는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의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전압분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의 온 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고내등구동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내등구동부는, 가동단자를 전원공급부에 연결한 3단자 도어 스위치와; 상기 3단자 도어 스위치의 제 1 고정단자에 연결된 고내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와 전압분압회로는, 상기 3단자 도어 스위치의 제 2 고정단자와 상기 고내등 사이에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병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온보상을 위한 제어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는, 주위온도가 저온이 아닌 경우의 제어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교류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입력부(101)의 제 1,2 단자에 전원공급선로(L111,L112)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선로(L111,L112) 사이에 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103)와, 고내등(105)이 직렬 연결되고 있다. 상기 고내등(105)은, 도어가 열렸을 때 온 동작되는 도어스위치(103)를 통해서 전류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전원입력부(101)의 제 3 단자는 그라운드에 접지되고 있다.
상기 도어스위치(103)는, 3단자형으로 구성되고 있고, 가동단자(a)는 전원공급선로(L111)에 연결되고, 단자(b)는 고내등(105)에 연결되며, 단자(c)는 주위온도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되는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를 통해서 상기 고내등(105)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고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온동작되어서 고내등(105)으로 전류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고내등(105)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고내온도를 높이면서 후술되는 온도조절기(109)를 온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와 고내등(105)의 사이에는 전압분압회로(150)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고내등(105)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분압시켜서, 고내등의 점등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만이 고내등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므로서, 고내등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압분압회로(150)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제품의 종류 및 제품의 정격전압, 고내등(105)의 정격전압 등에 따라서 콘덴서 또는 병렬 연결된 저항과 콘덴서 또는 직렬 연결된 콘덴서 저항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도어스위치(103)의 초기상태는,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은, 단자(a)와 단자(c)가 연결되고 있는 상태이고, 바이메탈형 스위치(125)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스위치(103)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에서 차단되어 고내등(105)에 공급되지 못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외부온도가 저온상태가 아닌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일정온도(약 5도 에서 15도 사이) 이하가 감지될 때 온 동작되고, 감지온도가 상기 일정온도를 벗어났을 때 오프 동작되도록 구성된 스위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압축기가 설치되고 있는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저온화현상에 의해서 압축기(115)가 장시간동안 구동되지 않을 때, 기계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때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온 상태로 동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의 동작으로 인해서 다시 압축기(115)가 구동되면, 기계실은 상기 압축기(115)의 발생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되어진다. 이와 같이 기계실의 온도가 상승되면,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온도조절기(109)는, 전원공급선로(L111)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109)의 다음 단에는 압축기(115)로의 전원공급 또는 제상히터(113)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상 타이머(121)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109)는, 온도감지형 스위치이다. 즉, 냉장고의 고내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또는 제품의 동작을 위해 최적으로 기설정한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오프 동작한다. 따라서 고내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온 동작되어 압축기 및팬모터로 전원공급을 유도하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낮아졌을 때, 오프 동작되어 압축기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온도조절기(109)는 고내 일측에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고내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에 의해서 온/오프 동작상태를 조절한다.
상기 제상 타이머(121)는, 타이머(T)와 3단자 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3단자 스위치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되어서 상기 온도조절기(109)의 일측에 가동단자(d)를 연결하고, 압축기(115)로의 전원공급선로 일측에 단자(e)를 연결하며, 제상히터(113)로의 전원공급선로 일측에 또 하나의 단자(f)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기(109)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압축기(115)와 제상히터(113)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T)는, 압축기운전시간에 세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타이머(T)에서 압축기운전시간에 도달하기까지 상기 온도조절기(109)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압축기(115)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압축기운전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온도조절기(109)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제상히터(113)로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상타이머(121)의 단자(f)에는, 제상운전시에 일정온도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오프 동작되는 제상온도조절기(119)가 연결되고, 상기 제상온도조절기(119)를 통해서 제상히터(13)가 연결된다. 상기 제상타이머(121)의 단자(e)에는, 과전류보호스위치(117)가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보호스위치(117)를 통해서 압축기(115)가 연결된다. 상기 과전류보호스위치(117)는, 압축기(115)에 공급되는 전류가 과전류상태일 때, 압축기 보호를 위해서 압축기(115)로의 전류공급을 차단하기 위한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상타이머(121)의 단자(e)와 전원공급선로(L112) 사이에는 냉동실 팬모터(107)가 연결되어서, 압축기 구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이 공급될 때, 상기 냉동실 팬모터(107)에도 전원이 공급되면서 냉동실 팬모터(107)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부호 123은 온도 휴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저온화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압축기의 운전율을 높이기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제품 내부로 전원이 입력되면, 전원입력부(101)로 입력되는 전원은 고내등(105)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스위치(103)의 앞단까지 제공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부(101)로 입력되는 전원은 온도조절기(109)의 앞단까지 제공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열면, 도어스위치(103)가 도 2에 도시된 초기상태(a-c 연결상태)에서 단자(a)와 단자(b)가 연결되는 상태로 절환된다. 이때, 전원입력부(101)로 입력되는 전원은, 도어스위치(103)의 단자(a-b 연결상태)를 통해서 고내등(105)으로 공급되고, 고내등(105)은 점등되어진다.
그리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상태일 때, 온도조절기(109)는 온 상태가 된다. 또한 제상타이머(121)의 카운트시간이 기설정되고 있는 압축기운전시간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일 때, 제상타이머(121)의 가동단자(d)는 단자(e)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온도조절기(109)와 제상타이머(121)를 통과한 전원은 압축기(115)로 공급되어 압축기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기(109)와 제상타이머(121)를 통과한 전원은, 냉동실의 팬모터(107)에 공급되어 팬모터(107)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동작상태일 때, 압축기(115)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에서 주위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된 냉기가 냉기공급유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냉장실 및 냉동실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로 냉기가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되면, 냉장실과 냉동실의 고내온도가 내려가고,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고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온도감지형 온도조절기(109)는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오프상태로 절환한다. 상기 온도조절기(109)가 오프상태가 되면, 전원입력부(101)로 입력되는 전원은 압축기(115)로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압축기(11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압축기(115)는 정지상태로 제어된다.
상기 압축기(115)가 정지상태로 제어되면, 증발기에서 열교환동작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냉기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내로 냉기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고내온도가 상승되고, 온도조절기(109)는 다시 온 상태로 절환되어진다. 그리고 다시 압축기(115)가 재가동되면서 고내로 냉기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상타이머(121)는, 설정된 압축기구동시간이 경과하면, 스위치의 단자를 (d-f) 연결상태로 절환한다. 상기 제상타이머(121)의 절환동작으로 압축기(115)와 팬모터(107)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고, 공급전원은 제상온도조절기(119)를 통해서 제상히터(113)에 공급되어진다. 이때의 공급전원으로 제상히터(113)는,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동작으로 수행한다.
한편, 외부온도가 일정치 이하로 낮아지면, 외부온도는 고내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고내의 냉기가 냉장고 문의 개폐 동작, 외부온도 등에 의해서 냉장고 외부로 빠져나가야만, 고내온도가 상승되어 다시 압축기(115)의 재가동이 이루어지는데, 외부온도가 저온인 경우에서는 고내온도와 외부온도와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냉기가 손실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고내온도가 상승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온화현상이 발생되면, 온도조절기(109)는 계속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온화현상에 의하여 온도조절기(109)의 오프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압축기(115)는 장시간동안 운전을 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고내로 냉기 공급은 완전히 억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냉동실로 냉기공급도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냉장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만 하는 냉동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온화현상이 발생되면, 압축기(115)가 설치되고 있는 기계실 내부 온도도 낮아진다. 이때, 기계실 일측에 설치되고 있는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감지온도가 일정온도(약 5도 ~15도) 이하가 되면 온 상태로 동작을 절환한다.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의 온 동작은, 고내등(105)의 동작에 영향을 준다.
즉, 도어스위치(103)의 초기상태가 단자(a-c)를 연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가 온 동작되면(도 3의 도시상태), 상기 도어스위치(103)의 앞단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이 상기 도어스위치의 단자(a-c)와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를 통해서 고내등(105)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내등(105)은, 전압분압회로(150)에 의해서 분압된 전압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압분압회로(150)는, 제품의 종류, 고내등의 종류 등에 따라서 상기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를 통과한 전압을 고내등(105)의 점등을 위해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분압시켜서 출력한다. 따라서 고내등(105)은, 상기 전압분압회로(150)에서 분압된 전압에 의해서 점등되어진다.
상기 고내등(105)이 점등되었을 때, 고내등(105)에서 복사열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열은 고내 설치되고 있는 온도조절기(109)에 영향을 미친다. 즉, 상기 온도조절기(109)는, 상기 고내등(105)의 점등 동작으로 인하여 발생된 복사열에 의해서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온도조절기(109)가 온상태가 되면, 다시 압축기(115)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압축기(115)의 재가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저온화현상에서도 압축기(115)의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므로서 고내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으로 압축기(115)가 재가동될 때, 압축기의 발생열로 인해서 기계실 내부 온도가 상승되고, 이때 바이메탈형 스위치(125)는 상승된 기계실온도에 의해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진다. 이와 연동하여 고내등(105)도 소등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는, 저온화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해서 고내 감지온도를 높이면서 온도조절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저온화현상으로 고내등이 동작될 때, 고내등으로 고압이 흘러서 고내등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내등으로의 공급전압을 분압시키고 있다.
이러한 동작으로 본 발명은 외부온도가 저온인 경우에서도 압축기의 구동은 가능하게 되어, 저온화현상에 따른 압축기의 운전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화현상에 따른 고내등의 점등동작으로 고내등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얻게 된다.
첫째, 본 발명은 외부온도가 저온일 때, 고내등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운전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므로서, 저온화현상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발열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저온화현상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고내등의 공급전압을 분압시켜주므로서 고내등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전원이 공급되면, 고내 냉기 발생을 위하여 구동되는 압축기와;
    고내등의 점등을 위하여 구동되는 고내등구동부와;
    전원입력부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서 연결되고, 고내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로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온도조절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있는 기계실의 일측에 부착되어, 감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일 때 온 동작하는 바이메탈스위치와;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의 출력전압을 분압하는 전압분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의 온 동작과 연동해서 상기 고내등구동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등구동부는,
    가동단자를 전원공급부에 연결한 3단자 도어 스위치와;
    상기 3단자 도어 스위치의 제 1 고정단자에 연결된 고내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이메탈스위치와 전압분압회로는, 상기 3단자 도어 스위치의 제 2 고정단자와 상기 고내등 사이에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병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분압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KR1020020034701A 2002-06-20 2002-06-20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KR10081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701A KR100817941B1 (ko) 2002-06-20 2002-06-20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701A KR100817941B1 (ko) 2002-06-20 2002-06-20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370A true KR20030097370A (ko) 2003-12-31
KR100817941B1 KR100817941B1 (ko) 2008-03-31

Family

ID=3238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701A KR100817941B1 (ko) 2002-06-20 2002-06-20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18B1 (ko) * 2008-06-01 2010-07-07 이근식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9836B (zh) * 2014-10-29 2017-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及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563U (ko) * 1986-04-07 1987-10-19
JPH1137641A (ja) * 1997-07-23 1999-02-12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冷蔵庫用蛍光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蛍光ランプを備えた冷蔵庫
KR20000015415A (ko) * 1998-08-28 2000-03-15 전주범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577122B1 (ko) * 1999-08-30 200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18B1 (ko) * 2008-06-01 2010-07-07 이근식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941B1 (ko) 200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7041A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responsive control means for combined direct and fan-cooled operation
EP3435014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22068A (sl) Regulacija hladilno zamrzovalnega aparata
US4949548A (en)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refrigerating unit
KR100817941B1 (ko)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KR100817940B1 (ko) 냉장고의 저온보상회로
JPH10197129A (ja) 冷蔵庫
JP3021976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の制御装置
KR1005574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158901Y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KR100239534B1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259921B1 (ko) 바이메탈제어형제상회로
KR0141729B1 (ko) 냉장고의 냉동실 온도조절장치
KR20050033978A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JPH08210750A (ja) 冷蔵庫
KR0128747Y1 (ko) 디스팬서가 장착된 냉장고의 물통온도 제어장치
KR200230979Y1 (ko) 안전장치를갖는디스펜서회로
KR19990056268A (ko) 직냉식 냉장고의 쾌속냉동시스템
KR012738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시 냉각팬정지지연회로
KR20170001947U (ko) 전력 조절 장치
KR100294210B1 (ko) 냉장고의제어장치
KR20000028517A (ko) 팬이 하나인 냉장고의 냉동실 온도 제어방법
KR100273954B1 (ko) 원-팬 냉장고의 냉동실 온도 제어방법
KR19990056251A (ko) 직냉식 냉장고의 쾌속냉동시스템
JP200210702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