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354A -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354A
KR20030097354A KR1020020034683A KR20020034683A KR20030097354A KR 20030097354 A KR20030097354 A KR 20030097354A KR 1020020034683 A KR1020020034683 A KR 1020020034683A KR 20020034683 A KR20020034683 A KR 20020034683A KR 20030097354 A KR20030097354 A KR 2003009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input terminal
video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954B1 (ko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9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영상표시장치는 표시부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판별부의 판별결과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콤포지트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비디오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외부입력단자를 제공함으로써 재료비 절감 및 외부기기 연결부의 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ternal input port of multi us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영상신호 수신시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로, 텔레비전은 튜너를 통해 RF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하여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다양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는 VCR, DVD, 위성방송수신기, PC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입력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콤포넌트 입력단자(10) 및 비디오 입력단자(20)가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되어 있다.
콤포넌트 입력단자(10)는 DVD 플레이어 등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휘도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휘도신호 입력단자(Y)와 색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색신호 입력단자(Pb, Pr) 및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를 구비한다.
비디오 입력단자(20)는 VCR 플레이어 등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신호 입력단자(V)와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콤포넌트 입력단자(10) 및 비디오 입력단자(20)를 각각 구비하는 이유는 콤포넌트 입력단자(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비디오입력단자(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콤포넌트 입력단자(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독립되어 전송되는 신호이며, 비디오 입력단자(2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가 합성한 형태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는 비디오 입력단자(2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콤포넌트 입력단자(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는 별도의 신호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외부 디바이스의 출력포트에 대응하는 외부입력단자를 모두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영상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전송되는 외부 디바이스에 따라 외부입력단자를 각각 구비해야하므로 외부입력단자 증가에 따른 구조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입력단자의 증가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연결시 과다한 외부입력단자로 연결이 복잡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비디오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외부입력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2에 도시된 외부입력단자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입력부105 : 판별부
110 : 제어부115 : 선택부
120 : 오디오처리부125 : 오디오출력부
130 : 스피커 135 : 영상처리부
140 : 영상출력부145 : 표시부
150 : OSD 발생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표시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단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입력단자는 휘도신호 입력단자, 두 개의 색차신호 입력단자 및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휘도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는 상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며,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컬러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표시부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와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영상처리를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별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는 외부입력단자(P1, P2), 입력부(100), 판별부(105), 제어부(110), 선택부(115), 오디오처리부(120), 오디오출력부(125), 스피커(130), 영상처리부(135), 영상출력부(140), 표시부(145) 및 OSD 발생부(150)를 구비한다.
외부입력단자(P1, P2)는 외부 디바이스(미도시)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자를 구비한다. 콤포넌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예로는 DVD 플레이어 및 DTV등을 들 수 있으며,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예로는 VTR 플레이어를 들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도시된 외부입력단자(P1, P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입력단자(P1, P2)는 콤포넌트1 또는 비디오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콤포넌트1/비디오1 입력단자(P1)과 콤포넌트2 또는 비디오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콤포넌트2/비디오2 입력단자(P2)를 구비한다.
외부입력단자(P1, P2)는 각각 휘도신호 입력단자(Y), 두개의 색차신호 입력단자(Pb, Pr) 및 두개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를 구비한다. 여기서, 휘도신호 입력단자(Y) 및 두개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는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되는 입력단자 이다.
콤포넌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시에는 휘도신호 입력단자(Y), 두개의 색차신호 입력단자(Pb, Pr) 및 두개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가 모두 사용된다. 이와 달리,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시에는 휘도신호 입력단자(Y) 및 두개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R, L)만 사용된다.
입력부(100)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부(100)는 유선방식에 의해 본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무선방식의 리모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P1, P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출력모드 선택키(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영상신호 출력모드로 콤포넌트1,콤포넌트2, 비디오1 및 비디오2 모드가 있다면, 출력모드 선택키는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마련된 출력모드 선택키를 한번 누르면 콤포넌트1이 선택되고 또 한번 누르면 콤포넌트2로 전환되며, 다시 한번 누르면 비디오1 모드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부(115)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대응하여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다.
판별부(105)는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한다. 판별부(105)는 외부입력단자(P1, P2) 중 휘도신호 입력단자(Y)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Color Burst)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별부(105)는 휘도신호 입력단자(Y)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신호를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별한다. 콤포지트 영상신호는 콤포넌트 영상신호와 달리 휘도신호와 색신호 뿐만 아니라 수직/수평 동기신호 및 컬러버스트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쳐서 전송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0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판별부(105)로부터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넌트 영상신호 또는 콤포지트 영상신호라는 판별결과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특성에 맞게 신호처리 하도록 영상처리부(135) 및 오디오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판별부(105)로부터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라는 판별결과신호가 입력되면, 콤포지트 영상신호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여 표시부(145)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포넌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모드로 출력하는 것을 입력부(10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출력모드 선택메뉴를 제공한다.
출력모드 선택메뉴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145)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출력모드 선택메뉴는 콤포넌트1, 콤포넌트2, 비디오1, 비디오2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판별부(105)로부터 콤포지트 영상신호라는 판별결과신호가 입력되면, 콤포넌트1 및 2 메뉴를 삭제하고 비디오1 및 2 메뉴만 표시부(145)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110)는 판별부(105)로부터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넌트 영상신호라는 판별결과신호가 입력되면, 콤포넌트1 및 2메뉴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10)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모드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출력모드와 상이한 경우 표시부(145)의 화면을 뮤팅처리 즉, 무신호 상태로 처리한다. 예컨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인데 사용자의 선택모드가 콤포넌트 출력모드인 경우, 제어부(110)는 표시부(145)의 화면을 블랙(Black) 또는 블루(Blue)화면으로 뮤팅처리 한다. 또는 제어부(110)는 표시부(145)의 화면상에 에러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OSD 발생부(150)를 제어한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복조하고, 복조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출력부(125)를 통해 스피커(130)로 출력된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음량/음질조정 및 음성다중처리나 스테레오 신호처리 등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35)는 선택부(115)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인 경우, 콤포지트 영상신호에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고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45)에 맞도록 스케일링 하여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표시부(145)로 출력한다.
한편, 영상처리부(135)는 선택부(115)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넌트 영상신호인 경우, 콤포넌트 영상신호를 표시부(145)에 맞도록 스케일링하여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표시부(145)로 출력한다. 콤포넌트 영상신호는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가 분리된 형태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이다. 따라서, 영상처리부(135)는 콤포넌트 영상신호를 표시부(145)에 맞도록 스케일링 처리만 하여 출력하면 된다.
OSD 발생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러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45)의 화면 소정 부위에 표시한다.
표시부(145)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출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표시부(145)의 예로는 음극선관(CRT) 및 액정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판별부(105)는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수신되면(S200), 휘도신호 입력단자(Y)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컬러 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인가를 판단한다(S210).
제어부(110)는 S210 판별단계에서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라는 판별결과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선택모드가 콤포지트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20).
S22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 선택모드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콤포지트 모드인 경우,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분리하도록 영상처리부(135)를 제어한다(S230).
영상처리부(135)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는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어 표시부(145)의 화면에 표시된다(S240).
S22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 선택모드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모드와 상이한 경우, 제어부(110)는 에러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45)에 표시하도록 OSD 발생부(150)를 제어한다(S250).
한편, S210 단계의 판단결과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콤포지트 영상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10)는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콤포넌트 영상신호로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선택모드가 콤포넌트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60).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모드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산신호의 모드와 일치하는 경우 영상신호를 표시부(145)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S260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선택모드가 외부입력단자(P1, P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모드와 상이한 경우, 제어부(110)는 에러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45)에 표시하도록 OSD 발생부(150)를 제어한다(S270). OSD 발생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러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14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비디오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외부입력단자를 제공함으로써 재료비 절감 및 외부기기 연결부의 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표시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입력단자는 휘도신호 입력단자, 두 개의 색차신호 입력단자 및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휘도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는 상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 수신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며, 상기 영상신호에 상기 컬러버스트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표시부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콤포넌트 영상신호 및 콤포지트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입력단자와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영상처리를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판별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콤포지트 영상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컬러버스트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2-0034683A 2002-06-20 2002-06-20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46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683A KR100460954B1 (ko) 2002-06-20 2002-06-20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683A KR100460954B1 (ko) 2002-06-20 2002-06-20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354A true KR20030097354A (ko) 2003-12-31
KR100460954B1 KR100460954B1 (ko) 2004-12-09

Family

ID=3238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683A KR100460954B1 (ko) 2002-06-20 2002-06-20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9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319B1 (ko) * 2002-08-0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38798B1 (ko) * 2006-07-20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KR101420730B1 (ko) * 2007-10-31 2014-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신호 수신방법
WO2017135664A1 (ko) * 2016-02-04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399A (ja) * 1992-03-12 1993-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レクタ外付け拡張装置
JPH10304397A (ja) * 1997-04-28 1998-11-13 Toshiba Corp 映像入力切換回路
KR100429194B1 (ko) * 1999-12-14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73756B1 (ko) * 2001-04-24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용의 영상신호입력단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이를통한 영상재생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319B1 (ko) * 2002-08-0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38798B1 (ko) * 2006-07-20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출력 방법
KR101420730B1 (ko) * 2007-10-31 2014-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영상신호 수신방법
WO2017135664A1 (ko) * 2016-02-04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CN107851944A (zh) * 2016-02-04 2018-03-27 三星电子株式会社 连接器
US10411425B2 (en) 2016-02-04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to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954B1 (ko)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8707C (en) System providing freeze of closed captioning data
KR100237303B1 (ko) 복합 영상기기의 주변 시스템 연결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460954B1 (ko) 공용으로 사용되는 외부입력단자를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9049808A (ja) 画像処理装置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H11355685A (ja) 表示装置
KR100211797B1 (ko) 비디오 신호 전환회로 및 방법
KR20030093467A (ko) 복수의 외부입력단자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외부입력신호선택방법
JP4424371B2 (ja) 表示装置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JPH06233203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9990019261A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00045177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외부 입력 선택방법
KR20040000235A (ko) 비디오 모드로의 전환이 간편한 영상신호 수신장치
KR20050057729A (ko) Pip모드시 주화면과 부화면의 개별 제어방법
KR20070058925A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0141857B1 (ko) 부화면을 이용한 화면조정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JPH089811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18102B1 (ko) 복합 영상기기의 채널 독점방법
JP2005109593A (ja) テレビ放送受信器
KR19990039754A (ko) 텔레비전의 다이나믹 이퀄라이저 표시 시스템
KR0181017B1 (ko) 텔레비전수상기의 vcr 플레이시 채널자동절환방법
KR20000040644A (ko) 텔레비젼의 사용자 설정에 의한 출력화면제어방법
JPH06303548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20000042739A (ko) 텔레비전의 메뉴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