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167A - 오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167A
KR20030097167A KR1020020034353A KR20020034353A KR20030097167A KR 20030097167 A KR20030097167 A KR 20030097167A KR 1020020034353 A KR1020020034353 A KR 1020020034353A KR 20020034353 A KR20020034353 A KR 20020034353A KR 20030097167 A KR20030097167 A KR 20030097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ank
line
basin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419B1 (ko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김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기 filed Critical 김석기
Priority to KR10-2002-003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4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35Halogen-containing polymers, e.g. PVC
    • C09K2200/0637Fluoro-containing polymers, e.g. PT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을 스크린조 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경사진 스크린의 위로 올라간 부분의 상부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파이프를 막폭기조의 저부에 연결하고, 막폭기조 내의 여과된 오폐수를 상기 노즐파이프로 역송하여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정화된 오폐수를 경사진 스크린 상에 분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크린 상에서 협잡물이 완전히 제거될 뿐만 아니라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이 간단하고, 특히 여과된 오폐수를 노즐 파이프를 통해 분사시키는 동력을 송풍기의 동력을 이용하므로 장치가 더욱 간단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노즐 파이프에서 오폐수를 계속적으로 분사하므로 오폐수를 처리하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균일하게 된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시스템{SYSTEM FOR TREATING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의 폭기조나 무산소조 등의 반응조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음식 찌꺼기 등의 미세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송풍기, 유량조정조, 막폭기조, 흡입모터, 방류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량조정조와 폭기조의 저부에는 송풍기에 연결된에어 디퓨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량조정조에는 유량감지센서와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조정조로 유입된 오폐수는 유량조정조 저부의 에어 디퓨저에서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정화된다. 유량조정조 내의 오폐수의 양이 소정치를 넘어서면 유량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펌프를 작동시켜 오폐수를 막폭기조로 보낸다. 막폭기조로 유입된 오폐수는 막폭기조 저부의 에어 디퓨저에서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막폭기조 내의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정화된다. 막폭기조 내의 정화된 오폐수는 흡입모터에 의해 방류조로 보내진다.
이러한 오폐수 처리시스템에서, 오폐수 내에 함유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하는데, 대개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다공판 형태의 스크린을 사용한다. 스크린은 소정의 스크린조 내에 위치되어 오폐수 내의 협잡물을 거른다. 유량조정조에서 나온 오폐수는 스크린 상에 흘러가게 되며, 이에 따라 스크린 상에는 협잡물이 쌓이게 되고, 스크린을 통과한 오폐수는 막폭기조로 유입된다.
스크린 상에 협잡물이 계속적으로 쌓여 스크린의 구멍을 완전히 막으면, 오폐수가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스크린 상에 쌓이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크린을 소정 각도로 요동시켰다. 스크린 상으로 오폐수가 흘러가게 하면서 스크린을 요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크린은 수평에서 20-30°정도로만 요동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스크린의 중앙부가 요동량이 작기 때문에 중앙부에 협잡물이 쌓이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스크린 상의 중앙부에 쌓여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스크린의 상부에흡입수단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크린 상의 협잡물을 빨아 당겨야만 했다.
그러나, 스크린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이므로, 스크린 상의 협잡물을 빨아 당길때 스크린의 구멍을 통해 공기가 들어오게 되어 스크린의 구멍에 걸쳐진 협잡물은 완전히 빨아 당겨지지만 스크린의 구멍 외의 부분에 부착된 협잡물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서는 스크린 상에서 협잡물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 요동수단 및 흡입수단 등을 필요하게 되어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요동하는 스크린 상에 중앙부에 협잡물이 쌓였을 경우에만 흡입수단이 작동하여 협잡물을 간헐적으로 제거하므로 협잡물이 스크린 상에 걸린 동안에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흐름이 방해되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을 스크린조 내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경사진 스크린의 위로 올라간 부분의 상부에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노즐파이프를 막폭기조의 저부에 연결하고, 막폭기조 내의 여과된 오폐수를 상기 노즐파이프로 역송하여 상기 노즐파이프에서 정화된 오폐수를 경사진 스크린 상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오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조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조에서 스크린을 제외한 상태의 일부 파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의 일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노즐 파이프의 상세 정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송풍기(10),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스크린조(40), 오니저류조(50), 막폭기조(60), 흡입모터(70) 및 방류조(80)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오니저류조(50) 및 막폭기조(60)의 각각의 저부에는 에어 디퓨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의 저부에는 펌프(31)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막폭기조(60)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필터(61)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10)의 하류에는 주송풍라인(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송풍라인(120)의 도중에는 제1 유량조정조(2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1 분기송풍라인(121), 오니저류조(5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2 분기송풍라인(122), 제2 유량조정조(3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3 분기송풍라인(123), 막폭기조(6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4 분기송풍라인(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량조정조(20)와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 사이에는 제1 급송라인(13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와 상기 스크린조(40) 사이에는 제2 급송라인(1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조(40)와 상기 막폭기조(60) 및 오니저류조(50) 사이에는 제3 급송라인(150) 및 제4 급송라인(160)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막폭기조(60)와 상기 흡입모터(70) 사이에는 제5 급송라인(18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모터(70)와 상기 방류조(80) 사이에는 제6 급송라인(190)이 연결되어 있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폭기조(60) 내에는 에어 리프트 펌프(63)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리프트 펌프(63)는 제5 분기송풍라인(125)에 의해 상기 주송풍라인(120)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조(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일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는 상부 중앙에 V자형 홈(41a)이 형성된 칸막이(41)가 상기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조(40)를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로 분리하고, 상기 제2 공간부(40b) 내에는 직사각형의 스크린 받침대(44)가 상기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는 위로 올라간 부분이 상기 칸막이(41)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간 부분이 상기 스크린조(40)의 바닥면에 닿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의 아래로 내려간 부분은 상기 스크린조(40)의 타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와 상기 스크린조(40)의 타측벽 사이의 바닥면에는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반원통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 상에는 스크린 받침대(44)와 동일한 크기의 스크린(43)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43)의 위로 올라간 부분의 상부에는 다수의 노즐공(46)이 형성된 노즐파이프(45)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조(40)의 제1 공간부(40a)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의 펌프(31)에 연결된 상기 제2 급송라인(140)이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43)과 상기 스크린조(40)의 바닥면 사이의 전방벽에는 상기 막폭기조(60)에 연결된 상기 제3 급송라인(150)이 연결되고, 상기 반원통부(42)가 형성된 상기 스크린조(40)의 후방벽에는 상기 오니저류조(50)에 연결된 상기 제4 급송라인(160)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파이프(45)에는 상기 막폭기조(60)의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연결된 역송라인(17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은 크게 송풍기(10),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스크린조(40), 오니저류조(50), 막폭기조(60), 흡입모터(70) 및 방류조(8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오니저류조(50) 및 막폭기조(60)의 각각의 저부에는 에어 디퓨저(110)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량조정조(30)의 저부에는 펌프(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유량조정조(30)의 상부에는 펌프 제어부(33), 스위치(35) 및 개폐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 제어부(33)는 다수의 유량감지센서(34)를 구비하며, 유량감지센서(34)에서 감지한 신호에 의해 스위치(35)를 온/오프시켜 펌프(31)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개폐밸브(37)를 개폐한다. 제2 유량조정조(30) 내의 오폐수의 양이 소정치를 넘어서면 유량감지센서(34)가 이를 감지하며, 펌프 제어부(33)는 펌프(31)를 작동시켜 오폐수를 스크린조(40)로 보낸다.
막폭기조(60)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필터(61)와 에어 리프트 펌프(63)가 설치되어 있다.
멤브레인 필터(61)는 다수의 균일한 미세 구멍이 뚫려 있는 극히 얇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막을 다수개 적층하여 만든 필터로서, 미세 구멍에 의해 구멍의 지름보다 큰 입자를 표면 상에 포집함으로써 막폭기조(60) 내의 액체를 정화시킨다.
송풍기(10)의 하류에는 주송풍라인(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송풍라인(120)의 도중에는 제1 분기송풍라인(121), 제2 분기송풍라인(122), 제3 분기송풍라인(123), 제4 분기송풍라인(124) 및 제5 분기송풍라인(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기송풍라인(121)은 제1 유량조정조(2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분기송풍라인(122)은 오니저류조(5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분기송풍라인(123)은 제2 유량조정조(3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4 분기송풍라인(124)은 막폭기조(6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5 분기송풍라인(125)은 막폭기조(60) 내의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및 오니저류조(50) 내의 오폐수는 그 각각의 저부의 에어 디퓨저(110)에서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정화된다. 막폭기조(60) 내의 오폐수는 막폭기조(60) 저부의 에어 디퓨저(110)에서 발생되는 에어에 의해 정화됨과 동시에 막폭기조(60) 내의 멤브레인에 의해 정화된다.
제1 유량조정조(20)와 제2 유량조정조(30) 사이에는 제1 급송라인(130)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조(40)은 직육면체 형상이며, 스크린조(40)의 일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는 상부 중앙에 V자형 홈(41a)이 형성된 칸막이(41)가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스크린조(40)를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로분리한다. 제2 공간부(40b) 내에는 직사각형의 스크린 받침대(44)가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스크린 받침대(44)는 위로 올라간 부분이 칸막이(41)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간 부분이 스크린조(40)의 바닥면에 닿게 된다. 스크린 받침대(44)의 아래로 내려간 부분은 스크린조(40)의 타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스크린 받침대(44)와 스크린조(40)의 타측벽 사이의 바닥면에는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반원통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 받침대(44) 상에는 스크린 받침대(44)와 동일한 크기의 스크린(43)이 설치된다. 스크린(43)은, 도 4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43b)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43a)을 균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스크린(43)의 위로 올라간 부분의 상부에는 다수의 노즐공(46)이 형성된 노즐파이프(45)가 설치된다. 노즐파이프(45)의 선후단에는 노즐 파이프(45)로 유입되거나 노즐파이프(45)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볼 밸브(47)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조(40)의 제1 공간부(40a)의 상부에는 제2 유량조정조(30)의 펌프(31)에 연결된 제2 급송라인(140)이 연결되어 있다.
스크린(43)과 스크린조(40)의 바닥면 사이의 전방벽에는 막폭기조(60)에 연결된 제3 급송라인(150)이 연결되어 있다.
반원통부(42)가 형성된 스크린조(40)의 후방벽에는 오니저류조(50)에 연결된 제4 급송라인(160)이 연결되어 있다.
노즐파이프(45)에는 막폭기조(60)의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연결된 역송라인(170)이 연결되어 있다.
제2 유량조정조(30)의 오폐수는 펌프(31)에 의해 제2 급송라인(140)을 통해 스크린조(40)의 제1 공간부(40a) 내로 유입된다. 제1 공간부(40a) 내의 오폐수의 수위가 칸막이(41)의 홈(41a)을 넘어서면, 이 오폐수는 홈(41a)을 통과하여 스크린(43) 상으로 흘러간다. 스크린(43)을 통과하여 여과된 오폐수는 제3 급송라인(150)을 통해 막폭기조(60)로 유입된다. 스크린(43)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43) 상에 걸린 협잡물은,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의해 역송라인(170)을 통해 유입된 후 노즐 파이프(45)를 통해 스크린 상에 분사되는 여과된 오폐수에 의해 스크린(43) 상에서 씻겨 내려가 반원통부(42)로 흘러간다.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의해 역송라인(170)을 통해 유입된 후 노즐 파이프(45)에서 분사되는 여과된 오폐수는 스크린(43)을 통과한 것이므로 협잡물이 없어 노즐 파이프(45)의 노즐공(46)이 막히지 않는다.
반원통부(42) 내에 모인 협잡물은 노즐 파이프(45)에서 계속적으로 오폐수가 분사됨에 따라 제4 급송라인(160)을 통해 오니저류조(50)로 유입된다.
막폭기조(60)와 흡입모터(70) 사이에는 제5 급송라인(180)이 연결되어 있고, 흡입모터(70)와 방류조(80) 사이에는 제6 급송라인(190)이 연결되어 있으며, 막폭기조(60) 내의 여과된 오폐수는 흡입모터(70)에 의해 제5 급송라인(180) 및 제6 급송라인(190)을 통해 방류조(80)로 보내지며, 방류조(80)에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방류된다.
스크린의 변형된 형태로서, 도 5에 도시된 스크린(43')은 다수의 봉(43b')을 양측에서 브래킷(43c')으로 고정하여 봉(43b')들 사이에 미세한 간극(43a')을 형성한 것이다.
다수의 봉(43b')들 사이에 미세한 간극(43a')이 형성되도록 하여 양측의 브래킷(43c')에 고정한 형태의 스크린(43')은 경사진 스크린(43') 상부의 노즐 파이프에서 분사되는 여과된 오폐수가 스크린(43') 상에 걸린 협잡물이 아래로 보다 잘 흘러 내려가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스크린 상에 설치된 노즐 파이프에서 여과된 오폐수를 스크린 상에 분사하므로, 스크린 상에서 협잡물이 완전히 제거될 뿐만 아니라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이 간단하고, 특히 여과된 오폐수를 노즐 파이프를 통해 분사시키는 동력을 송풍기의 동력을 이용하므로 장치가 더욱 간단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노즐 파이프에서 오폐수를 계속적으로 분사하므로 오폐수를 처리하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균일하게 된다.

Claims (3)

  1. 송풍기(10),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스크린조(40), 오니저류조(50), 막폭기조(60), 흡입모터(70) 및 방류조(80)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유량조정조(20), 제2 유량조정조(30), 오니저류조(50) 및 막폭기조(60)의 각각의 저부에는 에어 디퓨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의 저부에는 펌프(31)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막폭기조(60)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필터(61)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10)의 하류에는 주송풍라인(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송풍라인(120)의 도중에는 제1 유량조정조(2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1 분기송풍라인(121), 오니저류조(5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2 분기송풍라인(122), 제2 유량조정조(3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3 분기송풍라인(123), 막폭기조(60) 내의 에어 디퓨저(110)에 연결된 제4 분기송풍라인(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량조정조(20)와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 사이에는 제1 급송라인(13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와 상기 스크린조(40) 사이에는 제2 급송라인(14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조(40)와 상기 막폭기조(60) 및 오니저류조(50) 사이에는 제3 급송라인(150) 및 제4 급송라인(160)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막폭기조(60)와 상기 흡입모터(70) 사이에는 제5 급송라인(18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모터(70)와 상기 방류조(80) 사이에는 제6 급송라인(190)이 연결되어 있는 오폐수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막폭기조(60) 내에는 에어 리프트 펌프(63)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 리프트 펌프(63)는 제5 분기송풍라인(125)에 의해 상기 주송풍라인(120)에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조(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일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는 상부 중앙에 V자형 홈(41a)이 형성된 칸막이(41)가 상기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조(40)를 제1 공간부(40a)와 제2 공간부(40b)로 분리하고,
    상기 제2 공간부(40b) 내에는 직사각형의 스크린 받침대(44)가 상기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전후방벽 내에 꼭 맞게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는 위로 올라간 부분이 상기 칸막이(41)에 부착되고 아래로 내려간 부분이 상기 스크린조(40)의 바닥면에 닿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의 아래로 내려간 부분은 상기 스크린조(40)의 타측벽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와 상기 스크린조(40)의 타측벽 사이의 바닥면에는 스크린조(40)의 전후방을 가로질러 반원통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 받침대(44) 상에는 스크린 받침대(44)와 동일한 크기의 스크린(43)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43)의 위로 올라간 부분의 상부에는 다수의 노즐공(46)이 형성된 노즐파이프(45)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조(40)의 제1 공간부(40a)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의 펌프(31)에 연결된 상기 제2 급송라인(140)이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43)과 상기 스크린조(40)의 바닥면 사이의 전방벽에는 상기 막폭기조(60)에 연결된 상기 제3 급송라인(150)이 연결되고,
    상기 반원통부(42)가 형성된 상기 스크린조(40)의 후방벽에는 상기 오니저류조(50)에 연결된 상기 제4 급송라인(160)이 연결되고,
    상기 노즐파이프(45)에는 상기 막폭기조(60)의 에어 리프트 펌프(63)에 연결된 역송라인(17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직사각형 판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을 균일하게 형성한 형태이거나 다수의 봉들 사이에 미세한 간극을 형성되도록 다수의 봉을 양측에서 브래킷으로 고정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량조정조(30)의 상부에는 펌프 제어부(33), 스위치(35) 및 개폐밸브(3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펌프 제어부(33)는 다수의 유량감지센서(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10-2002-0034353A 2002-06-19 2002-06-19 오폐수 처리장치 KR10047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53A KR100471419B1 (ko) 2002-06-19 2002-06-19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53A KR100471419B1 (ko) 2002-06-19 2002-06-19 오폐수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11U Division KR200299975Y1 (ko) 2002-06-19 2002-06-19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67A true KR20030097167A (ko) 2003-12-31
KR100471419B1 KR100471419B1 (ko) 2005-02-21

Family

ID=3238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353A KR100471419B1 (ko) 2002-06-19 2002-06-19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419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38B1 (ko) * 2008-10-31 2010-05-06 주식회사 젠스텍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US9023206B2 (en) 2008-07-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rame system for membrane filtration modules
US9022224B2 (en) 2010-09-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CN104817176A (zh) * 2015-04-30 2015-08-05 浙江商达环保有限公司 气动曝气提升系统
US9206057B2 (en) 2007-05-29 2015-12-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533261B2 (en) 2012-06-28 2017-01-0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otting method
US9604166B2 (en) 2011-09-30 2017-03-2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9764289B2 (en) 2012-09-26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securement device
US9764288B2 (en) 2007-04-04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module protection
US9815027B2 (en) 2012-09-27 2017-11-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CN107774137A (zh) * 2016-08-31 2018-03-09 福建省粤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纳滤膜处理喷漆废水的装置
US9914097B2 (en) 2010-04-30 2018-03-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925499B2 (en) 2011-09-30 2018-03-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solation valve with seal for end cap of a filtration system
US9962865B2 (en) 2012-09-26 2018-05-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potting methods
US10322375B2 (en) 2015-07-14 2019-06-1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device for filtration system
US10427102B2 (en) 2013-10-02 2019-10-0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4288B2 (en) 2007-04-04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module protection
US10507431B2 (en) 2007-05-29 2019-12-1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206057B2 (en) 2007-05-29 2015-12-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573824B2 (en) 2007-05-29 2017-02-2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cleaning with pulsed airlift pump
US9023206B2 (en) 2008-07-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rame system for membrane filtration modules
KR100956138B1 (ko) * 2008-10-31 2010-05-06 주식회사 젠스텍 와류형처리부와 경사진 섬유상필터를 갖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US10441920B2 (en) 2010-04-30 2019-10-1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914097B2 (en) 2010-04-30 2018-03-1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flow distribution device
US9022224B2 (en) 2010-09-24 2015-05-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9630147B2 (en) 2010-09-24 2017-04-2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Fluid control manifold for membrane filtration system
US11065569B2 (en) 2011-09-30 2021-07-20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Singapore Pte. Ltd. Manifold arrangement
US9604166B2 (en) 2011-09-30 2017-03-2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9925499B2 (en) 2011-09-30 2018-03-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Isolation valve with seal for end cap of a filtration system
US10391432B2 (en) 2011-09-30 2019-08-27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anifold arrangement
US9533261B2 (en) 2012-06-28 2017-01-03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Potting method
US9962865B2 (en) 2012-09-26 2018-05-0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potting methods
US9764289B2 (en) 2012-09-26 2017-09-19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mbrane securement device
US9815027B2 (en) 2012-09-27 2017-11-14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Gas scouring apparatus for immersed membranes
US10427102B2 (en) 2013-10-02 2019-10-01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US11173453B2 (en) 2013-10-02 2021-11-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Singapores Method and device for repairing a membrane filtration module
CN104817176A (zh) * 2015-04-30 2015-08-05 浙江商达环保有限公司 气动曝气提升系统
US10322375B2 (en) 2015-07-14 2019-06-18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Aeration device for filtration system
CN107774137A (zh) * 2016-08-31 2018-03-09 福建省粤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纳滤膜处理喷漆废水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419B1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419B1 (ko) 오폐수 처리장치
US5372711A (en) Two stage system for skimming floating particles
US4923600A (en) Water clarification system adapted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of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US66724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 water
KR20100038216A (ko) 산기 장치의 세정 방법
US2004022216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articulate removal from liquids
KR100681715B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200299975Y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의 스크린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JPH10263566A (ja) 水処理装置
US20070170106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sludge, and membrane unit
JP5617009B1 (ja) 排水処理装置
JP3175010B2 (ja) 固液分離装置
JPH01249113A (ja) 水平濾床型低圧損上向流濾過装置
JP3827410B2 (ja) 膜分離装置用散気装置
JP3191559B2 (ja) 固液分離装置
JP4140155B2 (ja) 浸漬平膜分離装置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JP2008093552A (ja) 移床式ろ過装置
KR200337375Y1 (ko) 탈취장치를 내장한 분뇨 및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JP3479632B2 (ja) 排水処理装置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20040048679A (ko) 모듈형 여과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하폐수처리방법
SU1747389A1 (ru) Флот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