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357A - Rlc/mac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Rlc/mac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357A
KR20030096357A KR10-2003-7014426A KR20037014426A KR20030096357A KR 20030096357 A KR20030096357 A KR 20030096357A KR 20037014426 A KR20037014426 A KR 20037014426A KR 20030096357 A KR20030096357 A KR 2003009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frame
mac
frames
id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176B1 (ko
Inventor
세비레베노이스트
린투람피라이노
세비레길로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9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using pree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LAPDm에서는, 전송될 단문 메세지가 있을 때 모든 두 번째 시그널링 메세지를 선취함으로써, 단문 메세지 서비스가 구현된다. LAPDm 대신, 데이터 링크층에서 RLC/MAC 프로토콜이 이용될 때 또한, 동일한 선취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이 메커니즘은, 시그널링 채널 상에 전송되는 프레임들에 이용될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아이덴티티를 정의하고, 프레임에 관련된 아이덴티티에 적어도 기초하여 MAC 상에서 프레임들을 선취함으로써 제공된다. 아이덴티티들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Description

RLC/MAC 프로토콜{RLC/MAC PROTOCOL}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그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의 예로는 GSM(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등의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들, PCS(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DCS 1800(1800㎒를 위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등의 대응하는 시스템들, UMTS(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 등의 제 3 세대 이동 시스템들, 및 GSM 2+ 시스템들 및 미래의 제 4 세대 시스템들 등의 상기 설명된 시스템들에 기초한 시스템들이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한 전형적인 예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이다.
디지털 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트래픽 채널들을 통한 설정된 표준 음성 및 데이터의 연결에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문의 디지털 데이터 메세지들이 시스템의 제어 및 시그널링 채널들을 통해 실제 시그널링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주요 이유는, 트래픽 채널로부터의 프레임 도용(stealing)을 막기 위해서이다.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러한 단문의 디지털 데이터 메세지들은 일반적으로 단문 메세지라 칭한다. GSM에서, 이러한 단문 메세지의 전송에 이용되는 제어 채널들은, 연결되는 동안 이동국(MS)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의 전송에 이용되는 SACCH 및 실제 시그널링을 실행하는 SDCCH(독립형 전용 제어 채널)이다. 이동국이 트래픽 채널에 연결되어 있으면, 단문 메세지들은 SACCH 상에 발송된다. 이동국이 트래픽 채널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단문 메세지들은 SDCCH 상에 발송된다.
GSM에서, 단문 메세지 서비스는 데이터 링크층, 즉 층 2에 LAPDm(Dm 채널을 위한 링크 액세스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구현되었다. 이 LAPDm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SAPI)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들(SAP)에 의해, 상위층, 즉 층 3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이 LAPDm은 SAPI에 대해 2개의 서로 다른 값들을 갖는다. 시그널링은, 트래픽 채널과 관련된 SACCH 상에서 비확인(unacknowledged) 모드 동작을 이용하여 SAPI=0 프레임들로 전송된다. 단문 메세지들은, 트래픽 채널과 관련된 SACCH 상에서 확인 모드 동작을 이용하여 SAPI=3 프레임들로 전송된다. LAPDm 확인 모드 동작은 층 3 엔티티로부터의 메세지들의 우선 순위를 매김으로써, SAPI=3 프레임, 즉 단문 메세지가 전송을 대기하고있으면, 2개의 SAPI=0 프레임들은 연속적인 프레임들로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주목할 사항으로서, SAPI=3 프레임 이후에는 적어도 1개의 SAPI=0 프레임이 전송된다. 즉, 단문 메세지들은, 매 두 번째 시그널링 프레임, 즉 SAPI=0 프레임을 선취(pre-emption)함으로써 트래픽 채널에 관련된 SACCH 상에 전송된다.
그러나, GERAN(GSM/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릴리스 5라 칭하는 GSM 2+ 시스템에서는, 덜 복잡한 프로토콜 스택들을 얻기 위해 LAPDm 대신 RLC/MA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이 제시되었다. RLC/MAC로 LAPDm을 교체하는 것에 관련된 문제들중 하나는, RLC/MAC에는 상기 설명된 선취 메커니즘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LC/MAC 프로토콜(무선 링크 제어/미디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 등의, 실제 시그널링(signalling) 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메세지 서비스의 구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PSCH(전용 물리 하위 채널)를 갖는 SACCH(저속 조합 제어 채널) 상에서의 RLC/MAC 프로토콜을 이용한 메세지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상기 SACCH는 조합 제어 채널로서, 이 채널의 한 프레임은 할당된 채널이 트래픽을 운반하는 방향에서 제어 시그널링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기본부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아키텍쳐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AC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이해하고 RLC/MAC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식별자들, 바람직하게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제 1 식별자는 시그널링 메세지를 나타내고, 제 2 식별자는 가능한 단문 메세지를 나타낸다)을 정의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를 갖는 매 두 번째 프레임을 선취하도록 프로토콜을 변경함으로써, 시그널링 프레임들을 선취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LAPDm이 이용되는 것 처럼 단문 메세지들의 전송을 허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단문 메세지 전송을 위해 음성 프레임들을 도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SACCH의 물리층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시그널링 채널들 간에 전송되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 또는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메세지 서비스가 RLC/MAC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한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GERAN 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되는바,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통신 시스템(1)의 기본부들 만을 도시하는 매우 단순화된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보여준다. 당업자라면 이 시스템(1)이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될 필요가 없는 네트워크 노드들, 기능들 및 구조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동국(MS)은 실제 단말기 및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식별 카드(SIM)(이는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이라고도 칭한다)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이동국은 일반적으로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및 실제 단말기에 의해 형성되는 엔티티를 의미한다. MS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할 수 있고 단문 메세지 서비스 또는 대응하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어떠한 장비가 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상기 시스템(1)은 코어 네트워크(CN)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를 포함한다. 이 GERAN은 한 그룹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들(도 1에는 미도시)로 형성되는바, 이들은 소위 Iu-인터페이스(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N)에 연결된다. 상기 GERAN은 GSM/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될 수 있고, 상기 CN은 GSM/UMTS 코어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위해, 상기 시스템(1)은 단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SMSC)에 연결된 단문 메세지 서비스 게이트웨이(SMSGW)를 포함한다. 이 단문 메세지 서비스 게이트웨이(SMSGW)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이동 교환국(SMS-GMSC) 및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위한 인터워킹 이동 교환국(SMS-IWMSC)에 대한 공통 용어이다. 상기 SMS-GMSC는 SMSC로부터 단문 메세지를 수신하고, 정보의 라우팅을 요구하며, 그리고 이 단문 메세지를 CN 및 GERAN을 통해 이동국(MS)에 전달한다. 이에 대응하여, SMS-IWMSC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SMSC)로 발송될 단문 메세지들을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PSCH를 갖는 SACCH의 Iu-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프로토콜 스택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대응하는 층들 및 서브 층들은 다른 인터페이스들에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층들과 서브 층들 간의 굵은 선들은 가능한 데이터 흐름들을 나타내며, 원들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 통신을 위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들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Iu-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3개의 프로토콜층들, 즉 물리층(L1), 데이터 링크층(L2) 및 네트워크층(L3)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링크층(L2)은 층(L3)의 RRC(무선 리소스 제어) 아래에 서브 층들, 즉 무선 링크 제어(RLC)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를 포함한다.
상기 RRC는, RRC와 RLC 사이에, RRC와 MAC 사이에, 그리고 RRC와 L1 사이에 제어 인터페이스(도 2에는 미도시)를 갖는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상기 RRC는 하위층들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RC는 제어 평면에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0, 3)을 제공하는바, 이중 하나는 특히 단문 메세지 서비스 또는 대응하는 사용자 데이터 메세지 서비스에 이용되고, 다른 하나는 시그널링에 이용된다. 각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SRBid), 또는 관련된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와 일대일로 맵핑될 수 있는 대응하는 아이덴티티에 의해 식별된다. 본 발명의 제 1, 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SRBid 0은 LAPDm의 SAPI=0에 대응하고, SRBid 3은 LAPDm의 SAPI=3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RRC는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RLC와 MAC를 적절하게 구성할 것이다.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은 RRC 연결 설정시 구성되어, 예를 들어 RRC 연결이 해제될 때 까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이 미리 정의된 디폴트 구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RRC는 종래 기술의 RRC와 달리, 한 연결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을 지정한다.
RLC는 상위층(L3)에 특히 확인 및 비확인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RLC는, 프레임 헤더가, 단문 메세지들(본 발명의 제 1, 2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SRBid 3 프레임)에 대해서 또한 이용되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메세지들에 대한 확인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할 것이다. 비확인 데이터 전송은 시그널링 메세지들(본 발명의 제 1, 2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SRBid 0 프레임들)에 대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즉 각 아이덴티티에 대해, RLC 엔티티(4)는 전송될 프레임이 있게 되자 마자 설정되며, 이 엔티티는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DSPCH가 해제될 때 까지 존재한다.
MAC는 물리적인 서브 채널들에 대한 액세스 및 멀티플렉싱을 취급함으로써, 특히 각 무선 베어러 서비스에 이용될 논리 채널들을 정의한다. 이 MAC는 또한 MS 측정 보고(MS measurement reporting)를 책임진다. 한 이동국(MS)에 대해, 이동국측에 하나의 MAC 엔티티가 있고 네트워크측에 하나의 MAC 엔티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AC는, 다른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를 갖는 프레임이 있는 경우의 시그널링 메세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를 갖는 매 두번째 프레임을 선취할 것이다. 다시 말해, MAC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들에 기초하여 트래픽 흐름들 간의 Iu-모드 우선 순위를 취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MAC 프로토콜의 동작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MAC가 수신된 정보에 부가하는 헤더 정보 등에 대해서는 본 도면에서 언급하지 않는다. 도 2에서 설명된 기능은 각 주기 마다 수행된다. 즉, GERAN에서는, 매 480ms 마다, SACCH 상에 어떤 것이 전송된다. 전송할 어떠한 측정 보고도 없다면, 필 프레임(fill frame)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필 프레임은 MAC층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 프레임은 RLC 또는 RRL 레벨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MAC에는 2개의 입력들(즉, SRBid 0 프레임들에 대한 입력 0, SRBid 3 프레임들에 대한 입력 3) 및 3개의 버퍼들(즉, SRBid 0 프레임들에 대한 InBuffer 0이라 칭하는 1개의 입력 버퍼, SRBid 3 프레임들에 대한 InBuffer 3이라 칭하는 다른 1개의 입력 버퍼 및 OutBuffer라 칭하는 1개의 출력 버퍼)이 있다. 상기 InBuffer 3은 FIFO형 버퍼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A는 단계(301)에서 SRBid 3 프레임들에 대한 입력 3을 읽고, 이 입력 3이 비어있지 않으면(단계 302), 단계(303)에서 입력 3의 내용을 InBuffer 3에 부가하고, 그리고 단계(304)에서는 SRBid 0 프레임들에 대한 입력 0을 읽는다. MAC는 입력 0이 비어있었다면(단계 302), 동일한 단계(304)로 진행될 것이다. 입력 0이 비어있지 않으면(단계 305), MAC는 단계(306)에서 입력 0의 내용을 InBuffer 0에 부가한다. 이후, MAC는 단계(307)에서 InBuffer 3이 비었는 지를 체크한다. 만일 비어있지 않으면, MAC는 단계(308)에서 이전 주기에 전송된 프레임이 SRBid 0 프레임이었는 지를 체크한다. 만일 그렇다면, MAC는 단계(309)에서 InBuffer 3의 제 1 요소를 InBuffer 3으로부터 OutBuffer로 이동시키고, 단계(310)에서 InBuffer 0을 비우며, 그리고 단계(311)에서 OutBuffer의 내용을 SACCH 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SRBid 0 프레임의 선취는 단계(310)에서 일어난다. 이는 선취기(pre-emptor)라 칭하는 선취 기능에 의해 수행된다.
이전 주기에서 전송된 프레임이 SRBid 0 프레임이 아니었거나(단계 308), 또는 InBuffer 3이 비어있다면(단계 307), MAC는 단계(312)에서 InBufer 0의 요소를 InBuffer 0으로부터 OutBuffer로 이동시킨 다음, 단계(311)에서 OutBuffer의 내용을 SACCH 상에 전송한다.
입력 0이 비었다면(단계 305), MAC는 단계(313)에서 InBuffer 0에 필 프레임을 부가하고, 계속해서 단계(307)로 진행하여 InBuffer 3이 비었는 지를 체크한다. 이 필 프레임은 SACCH 상에서의 연속적인 전송을 위해 부가된다(단계 3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SRBid 3 프레임들은 MAC 내에 버퍼링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MAC는 SRBid 3 프레임이 전송되었을 때 대응하는 RLC 엔티티에게 확인 응답을 할 것이며, RLC는 확인 응답을 수신한 후에만 다른 SRBid 3 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확인 응답은, 예를 들어 도 3의 단계들(309 및 31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AC는 SRBid 0 프레임을 하나의 SRBid 3 프레임으로 단순히 교체함으로써, 전송될 SRBid 3 프레임이 있을 때마다, SRBid 0 프레임들의 반을 버릴 것이다. 다시 말해, SRBid 3 프레임은 SACCH 상에서 SRBid 0 프레임들로부터 대역폭을 훔친다.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AC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있는 라운드 로빈 원리(round robin principle)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MAC는 InBuffer 0, 이후 InBuffer 3으로부터 프레임을 전송한 다음, 프레임이 존재하면, InBuffer 0 등으로부터 프레임을 다시 전송한다. InBuffer 0에는, SRBid 0 프레임들이 있다. InBuffer 3에는, SRBid 3 프레임들이 있다. InBuffer들은 FIFO 원리에 따라 비워진다.
상기 본 발명은 MAC 내에 버퍼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버퍼들없이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단지 2개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및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들) 만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것에 의해 낮은 우선 순위 프레임을 선취함으로써 여러 개의 무선 베어러들 간의 어떠한 선취 메커니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수단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시그널링 채널들 내에서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의 선취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은 상기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바,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들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변경들은, 애플리케이션 주문형 집적회로(ACIC) 그리고/또는 EPLD, FPGA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들에 의해, 부가된 또는 갱신된 소프트웨어 루틴들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과학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및 그의 실시예들은 상기 설명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 링크층에서 MA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시그널링 채널 상에 전송되는 프레임들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그널링 채널 상에 전송되는 프레임들과 이용될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아이덴티티들을 정의하는 단계와; 그리고
    임의의 프레임에 관련된 아이덴티티에 적어도 기초하여, MAC 상에서 상기 프레임들을 선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 프레임을 제 1 아이덴티티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 2 아이덴티티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와; 그리고
    전송될 상기 제 2 아이덴티티에 관련된 프레임이 있을 때 마다, 상기 제 1 아이덴티티에 관련된 모든 두 번째 프레임을 선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의된 아이덴티티들이 있을 때 연결에 대해 동일한 양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아이덴티티를 상기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에 맵핑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에 기초하여, MAC 내의 프레임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데이터 링크층에서 MA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시그널링 채널 상에 전송되는 프레임들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그널링 채널과의 연결에 대해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들을 지정하는 단계와; 그리고
    임의의 프레임의 상기 무선 베어러에 적어도 기초하여, MAC 상에서 프레임들을 선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들은 SACCH를 갖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이며,
    시그널링 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확인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가 될 적어도 하나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MAC 프로토콜이 데이터층에서 이용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채널 상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한 연결에 대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들(0, 3)과; 그리고
    프레임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에 적어도 기초하여, MAC 상에서 프레임들을 선취하는 선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들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또한 이용되며, 상기 무선 베어러들중 적어도 하나는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데에만 이용되며 선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들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37014426A 2001-05-07 2001-05-07 Rlc/mac 프로토콜 KR100631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01/000433 WO2002091763A1 (en) 2001-05-07 2001-05-07 Rlc/mac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357A true KR20030096357A (ko) 2003-12-24
KR100631176B1 KR100631176B1 (ko) 2006-10-04

Family

ID=855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426A KR100631176B1 (ko) 2001-05-07 2001-05-07 Rlc/mac 프로토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05040B2 (ko)
EP (1) EP1396160B1 (ko)
JP (1) JP2004525584A (ko)
KR (1) KR100631176B1 (ko)
CN (1) CN1240237C (ko)
AT (1) ATE505928T1 (ko)
AU (1) AU2001258468B2 (ko)
BR (1) BR0117005A (ko)
CA (1) CA2446698C (ko)
DE (1) DE60144445D1 (ko)
MX (1) MXPA03010156A (ko)
WO (1) WO2002091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90B1 (ko) * 2004-07-06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간의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602B2 (en) * 2004-09-13 2008-12-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figuring signaling radio bearer information in a user equipment protocol stack
RU2420040C2 (ru) * 2005-07-21 2011-05-2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лучшение srb по hs-dsch во время смены ячейки
US20080056218A1 (en) * 2006-08-29 2008-03-06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frame handover or assignment messages
KR101893868B1 (ko) * 2008-02-01 2018-09-04 옵티스 와이어리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통신 단말기 및 우선순위가 매겨진 제어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
CN103138905B (zh) * 2011-11-24 2016-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Rlc数据包传输的确认方法及rlc am实体发送方
CN103227757B (zh) 2012-08-31 2016-12-28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转发方法及设备
KR102367148B1 (ko) * 2014-06-23 2022-02-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통신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 및 장치
US10264407B2 (en) 2015-06-25 2019-04-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Intelligent multi-bean medium access control in ku-band for mission-oriented mobile mesh networks
CN108289065B (zh) * 2017-01-10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540B1 (en) * 1999-10-28 2005-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FI104869B (fi) * 1995-05-24 2000-04-14 Ericsson Telefon Ab L M Menetelmä verkkojen välisen puheyhteyden muodostamiseksi ja älyverkkopalvelu
US5881050A (en) * 1996-07-23 1999-03-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on-disruptively assigning link bandwidth to a user in a high speed digital network
KR100563592B1 (ko) * 1998-10-01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분기방법
US6167029A (en) * 1998-10-13 2000-12-26 Xaqti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data flow control
US6967963B1 (en) * 1998-12-01 2005-11-22 3Com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method for ensuring on-time delivery of packets containing time-sensitive data
FI107487B (fi) * 1999-03-08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Datalähetyksen salausmenetelmä radiojärjestelmässä
FI109320B (fi) * 1999-11-02 2002-06-28 Nokia Corp Signalointimenetelmä
US6738368B1 (en) * 2000-05-12 2004-05-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rioritization and flow control of a spread spectrum multiuser channel
US6901060B1 (en) * 2000-05-17 2005-05-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a plurality of data connections onto one temporary block flow
US7126939B2 (en) * 2000-07-24 2006-10-24 Nortel Networks Limited Packet-based calls in a wireless network
US6701151B2 (en) * 2001-03-27 2004-03-02 Ericsson Inc. Short access for realizing a signaling radio bearer in ger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90B1 (ko) * 2004-07-06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간의 mac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위한 고정형 무선 접속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7754A (zh) 2004-06-23
CN1240237C (zh) 2006-02-01
EP1396160B1 (en) 2011-04-13
DE60144445D1 (de) 2011-05-26
BR0117005A (pt) 2004-04-20
MXPA03010156A (es) 2004-03-10
US20040184434A1 (en) 2004-09-23
EP1396160A1 (en) 2004-03-10
AU2001258468B2 (en) 2006-10-19
US8005040B2 (en) 2011-08-23
KR100631176B1 (ko) 2006-10-04
WO2002091763A1 (en) 2002-11-14
CA2446698C (en) 2010-03-23
ATE505928T1 (de) 2011-04-15
JP2004525584A (ja) 2004-08-19
CA2446698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5641B (fi) Resurssien varaus pakettimuotoisessa tiedonsiirrossa
FI108103B (fi) Välittäjätaso protokollasovitusten toteuttamiseksi digitaalisessa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KR100464447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패킷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EP1212900B1 (en)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from a network in a packet switched data transmission system
US6163546A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FI100567B (fi) Verkkosovitin ja datansiirtomenetelmä matkaviestinverkossa
KR100415115B1 (ko)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혼잡 통보 방법 및 장치
FI101581B (fi) Kiinteän verkon protokollien sovittaminen matkaviestinverkkoon signalo intituen puuttuessa
US20040151156A1 (en) Method for using several logical channels for one radio bearer between mobile station and a network
KR100631176B1 (ko) Rlc/mac 프로토콜
US20020018472A1 (en) Radio link protocol with reduced signaling overhead
CA2189791A1 (en) Centralized interworking function for a mobile radio network
AU2001258468A1 (en) RLC/MAC Protocol
KR10041491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우선순위에 따른 호처리시스템 및 방법
RU2285350C2 (ru) Протокол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каналом/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среде передачи
AU1357401A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media packets for packet-based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Brasche et al. Analysis of multi-slot MAC protocols proposed for the GSM phase 2+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S8873492B2 (en) Method for selecting an A-interface resour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573428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ERTMS et al. Radio Transmission FFFIS for EuroRadio
KR20060025875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