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371A -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 Google Patents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371A
KR20030095371A KR1020030068520A KR20030068520A KR20030095371A KR 20030095371 A KR20030095371 A KR 20030095371A KR 1020030068520 A KR1020030068520 A KR 1020030068520A KR 20030068520 A KR20030068520 A KR 20030068520A KR 20030095371 A KR20030095371 A KR 20030095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bottle
tube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431B1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2003-006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4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상테의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유체(流體)를 그 유압(流壓)에 의하여 필요한 곳에 투여하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이들 유체를 안전하게 투여할 목적으로 발명한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외벽에 눈금(1)이 있는 투명한 연질 병(2)의 상단 나사에 패킹(3)이 끼워진 뚜껑(4)을 결합하되 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증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에 흡입관(17)의 열린 쪽을 장착하고,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에 배출관(18)의 닫힌쪽을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배출관(18)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하며. 구멍(12)에 호스(10)를 장착하거나, 상기 내관(5)의 환형턱(6)밑에 내장시킨 연질볼(7)을 스프링(8)으로 밀어주는 마개(9)를 결합하고, 내관(13)에 볼(16)이 내장된 구부(14)상하에 형성된 관(15)을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관(15)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로서 이 투여장치는 물약을 환자에게 안전하게 먹이며, 화장품이나 조미료 등의 유체를 필요한 곳에 안전하게 투여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omitted}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유체(流體)를 그 유압(流壓)에 의하여 필요한 곳에 투여하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이들 유체를 안전하게 투여할 목적으로 발명한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상태의 물약, 조미료, 화장품 등의 유체(流體)를 그 유압(流壓)에 의하여 필요한 곳에 투여하는 생활용품을 개발함으로써 소중한 자원의 손실 없이 필요한 곳에 이들 유체를 안전하게 투여할 목적으로 발명한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아에게 물약을 먹일 때 유실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액체상태의각종 화장품이나 조미료를 사용할 때 그 용기의 뚜껑을 일일이 여닫는 불편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유아에게 물약을 먹일 때나 액체상태의 각종 화장품이나 조미료를 사용하는 용기의 뚜껑을 여닫지 않고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이들 유체의 유압에 의해 액체상태의 물약이나 화장품 및 조미료 등의 유체를 필요한 곳에 안전하게 투여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는 본 발명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사시도
[도 1b] 는 본 발명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 유압을 이용한 투여장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2b] 는 본 발명 유압을 이용한 투여장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도 1a] [도 1b] 및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에 눈금(1)이 있는 연질의 투명한 병(2)의 상단 나사에 패킹(3)이 끼워진 뚜껑(4)을 결합하되 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의 환형턱(6) 밑에 내장시킨 연질볼(7)을 스프링(8)으로 밀어주게 한 다음 구멍이 천공된 마개(9)를 결합하여 이들 스프링(8)과 연질볼(7)이 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에는 개폐용 볼(16)을 내장시킨 구부(14)의 상하에 형성된 관(15)을 장착하며, 뚜껑(4) 바깥의 구멍(12)에는 호스(10)를 결착하여 이 부분으로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하며,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관(15)의 하단은 병(2)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구성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에 눈금(1)이 있는 연결의 투명한 병(2)의 상단 나사에 패킹(3)이 끼워진 뚜껑(4)을 결합하되 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에는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는 흡입관(17)의 열린 쪽을 내관(5)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6)에까지 끼워서 해탈되지 않도록 장착하며, 이 흡입관(17)안에서 ↓표 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때는 밀폐되었던 흡입관(17) 하단의 양쪽 벽면이 벌어지면서 공기가 병(2)의 안으로 들어가고, 내관(5)의 밖에서 ↓표의 반대방향으로 공기가 흐를 때는 흡입관(17) 하단의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중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에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완전 밀폐되는 배출관(18)의 밀폐된 쪽을 도면과 같이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배출관(18)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구성하며, 배출관(18) 안에서 ↑표 방향으로 유체가 흐를때는 배출관(18) 상단의 양쪽 벽면이 벌어지면서 유체가 배출되고, 내관(13) 안에서 ↑표의 반대 방향으로 유체가 흐를 때는 배출관(18) 상단의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유체의 역류를 막도륵 하며, 뚜껑(4) 바깥의 구멍(12)에 호스(10)를 결착하여 이 결착된 부분으로 유체가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의 두 병(2)은 그 크기만 상이하고, 그 모든 구성은 완전 동일하다.
그렇기 때문에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의 환형턱(6) 밑에 내장시킨 연질볼(7)을스프링(8)으로 밀어주게 한 다음 구멍이 천공된 마개(9)를 결합하여 스프링(8)과 연질볼(7)이 해탈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되지만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내관(5)에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는 흡입관(17)의 열린 쪽을 내관(5)의 내벽에 형성된 환형턱(6)에까지 끼워서 해탈되지 않도록 장착해도 된다.
그리고 [도 2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예 개폐용 볼(16)이 내장된 구부(14)의 상사에 형성된 관(15)을 장착하고, 뚜껑(4)바깥의 구멍(12)에 호스(10)를 결착하여 이 부분으로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하며,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관(15)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구성해도 되지만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에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완전 밀폐되는 배출관(18)의 밀폐된 쪽을 도면과 같이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배출관(18)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도 1a] [도 1b]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a] 와 같이 호스(10)끝을 구멍(11)에 끼워서 병(2)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병(2)안의 유체나 그 냄새가 나오지 않게 한다.
병(2) 안에 있는 물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물약이 많이 있는 [도 1b] 의 호스(10) 끝을 [도 2a] 의 구멍(11)에 끼우고 [도 1b] 에 있는 병(2)의 원주 면을 손으로 누르면 그 안에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물약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 약물을 밀어내는 유압(流壓)에 의하여 물약이 호스(10)를 통해 [도 2a] 의 뚜껑(4) 안쪽에 형성된 내관(5)의 환형턱(6) 밑에 스프링(8)으로 탄지 된 연질볼(7)을 밀어내면서 병(2)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a] 의 호스(10)끝을 환자의 입안에 넣고 병(2)의 원주 면을 손으로 누르면 그 안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면서 구멍(11)으로 배출되려고 하는 공기는 스프링(8)으로 탄지 된 연결볼(7)이 환형턱(6)밑에 밀착되면서 구멍(11)을 막기 때문에 구멍(11)으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압축된 공기는 물약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압력이 가해진 물약은 그 유압에 의해 구부(14)에 내장된 볼(16)을 밀어 올리며 호스(10)를 통해 환자의 입에 들어간다.
손으로 누르고 있던 병(2)을 누르지 않게 되면 이 병(2)이 원상복귀 되며 흡입력이 생기면서 연질볼(7)은 열리고, 볼(16)은 닫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구멍(11)을 통해 흡입된다.
이상과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물약을 안전하게 먹이면서 투여한 물약의 양을 눈금(1)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병(2)을 세척할 때는 뚜껑(4)을 열고 세척하면 된다.
병(2)에 액체상태의 조미료나 화장품을 넣었을 때는 뚜껑(4)을 여닫을 필요 없이 병(2)의 원주 면을 손으로 누르면 위와 같은 작용원리에 의하여 액체상태의 조미료나 화장품이 호스(10)로 나오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액체상태의 화장품이나 조미료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작용원리도 물약을 먹일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a] 와 같이 호스(10)끝을 구멍(11)에 끼워서 병(2)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병(2)안에 있는 유체나 그 냄새가 나오지 않도록 한다.
병(2) 안에 있는 물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물약이 많이 있는 [도 1b] 의 호스(10)끝을 [도 2a] 의 구멍(11)에 끼우고 [도 1b] 에 있는 병(2)의 원주 면을 손으로 누르면 그 안에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물약에 압력이 가해지므로 이 물약이 호스(10)를 통하여 [도 2b] 의 뚜껑(4)안쪽의 내관(5)에 장착된 흡입관(17) 하단의 양쪽 벽면을 벌리면서 병(2)안에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b] 의 호스(10)끝을 어린 환자의 입에 넣고 병(2)의 원주 면을 손으로 누르면 그 안에 있는 공기가 압축되면서 구멍(11)으로 배출되려는 공기는 흡입관(17) 하단의 양쪽 벽면이 서로 밀착되며 막히므로 구멍(11)으로 배출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압축된 공기는 물약에 압력을 가하므로 이 물약은 그 유압에 의해 배출관(18) 상단의 양쪽 벽면을 벌리면서 호스(10)를 통해 환자의 입으로 들어간다.
손으로 누르고 있던 병(2)을 누르지 않게 되면 병(2)이 원상복귀 되면서 흡입력이 생기므로 배출관(18) 상단의 양쪽 벽면은 서로 밀착되면서 물약의 역류를 막고, 내관(5)에 장착한 흡입관(17) 하단의 양쪽 벽면이 벌어지면서 공기가 흡입된다.
이상과 같은 작용의 반복으로 물약을 안전하게 먹이면서 투여한 물약의 양을 눈금(1)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병(2)을 세척할 때는 뚜껑(4)을 열고 세척하면 된다.
병(2)에 액체상태의 조미료나 화장품을 넣었을 때는 뚜껑(4)을 여닫을 필요 없이 병(2)을 누르면 위와 같은 작용원리에 의해 액체상태의 조미료나 화장품이 호스(10)로 나오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엑체상태의 화장품이나 조미료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작용원리가 물약을 먹일 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연질의 투명한 병으로 구성된 투여장치로 물약을 어린 환자에게 안전하게 먹일 수 있으며, 액체상태의 화장품이나 조미료를 사용할 때는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여닫는 불편 없이 유체를 필요한 곳에 투여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벽에 눈금(1)이 있는 투명한 연결 병(2)의 상단 나사에 패킹(3)이 끼워진 뚜껑(4)을 결합하되 이 뚜껑(4)의 안쪽 바닥에 형성된 내관(5)(13) 중 구멍(11)이 천공된 내관(5)에 흡입관(17)의 열린 쪽을 장착하고, 구멍(12)이 천공된 내관(13)에 배출관(18)의 닫힌쪽을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배출관(18)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하며, 구멍(12)에 호스(10)를 장착하거나, 상기 내관(5)의 환형턱(6)밑에 내장시킨 연질볼(7)을 스프링(8)으로 밀어주는 마개(9)를 결합하고, 내관(13)에 볼(16)이 내장된 구부(14)상하에 형성된 관(15)을 장착하여 뚜껑(4)을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관(15)의 하단이 병(2)의 바닥에 근접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KR10-2003-0068520A 2003-09-29 2003-09-29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KR10045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20A KR100454431B1 (ko) 2003-09-29 2003-09-29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520A KR100454431B1 (ko) 2003-09-29 2003-09-29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363A Division KR100458480B1 (ko) 2001-06-28 2001-06-28 수압을 응용한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371A true KR20030095371A (ko) 2003-12-18
KR100454431B1 KR100454431B1 (ko) 2004-10-27

Family

ID=3238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20A KR100454431B1 (ko) 2003-09-29 2003-09-29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756A (zh) * 2017-09-30 2017-12-19 谢瑞珠 一种儿童血液科输液护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006B1 (ko) 2006-09-01 2007-06-28 이영규 유체토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5756A (zh) * 2017-09-30 2017-12-19 谢瑞珠 一种儿童血液科输液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4431B1 (ko)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1605A (en) Infant pacifier - fluid administering unit
US5772685A (en) Infant pacifier-fluid administering unit
US200602530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vacuation and cleansing of a colonostomy bag
JP4124959B2 (ja) 無菌の接続装置
US3467270A (en) Cap
BRPI0408780A (pt) conector para embalagens contendo lìquidos medicinais e embalagem para lìquidos medicinais
EP0882466A3 (de) Vorrichtung zur dosierten Verabreichung einer Medikamentflüssigkeit
JP2003321038A (ja) 注出容器
PT1115362E (pt) Recipiente para administracao intravenosa
DE60105194D1 (de) Zusammendrückbarer flüssigkeitsspender
KR20030095371A (ko) 유압(流壓)을 이용한 유체 투여장치.
ATE274925T1 (de) Ausgabevorrichtung
RU200332U1 (ru) Дозатор жидких моющих средств
FR2814968B1 (fr) Dispositif distributeur avec buse integrale et capuchon
JPS5837398Y2 (ja) 医療用移注用具
KR101213196B1 (ko) 기능성 젖병
KR200201882Y1 (ko) 입구큰 젖병의 작은 젖꼭지 매개용구
KR100623902B1 (ko) 약 먹이는 젖병
CN201609548U (zh) 单向阀多通器
CN206474465U (zh) 一种洗涤液和消毒液供给系统及采用该系统的垃圾处理器
KR200451870Y1 (ko) 일회용 액상 내용물 용기
JPS5831558Y2 (ja) 医療用移注用具
WO1998025572A9 (en) An infant pacifier - fluid administering unit
KR910007080Y1 (ko) 튜우브형 치약 토출장치
JP3143802U (ja) 鼻腔洗浄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