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264A -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264A
KR20030095264A KR1020030036109A KR20030036109A KR20030095264A KR 20030095264 A KR20030095264 A KR 20030095264A KR 1020030036109 A KR1020030036109 A KR 1020030036109A KR 20030036109 A KR20030036109 A KR 20030036109A KR 20030095264 A KR20030095264 A KR 2003009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ion
reaction gas
volatile organic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617B1 (ko
Inventor
선일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3009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1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at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01N2021/8578Gaseous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해 광분해 작용을 나타내는 광촉매 재료 및 제품의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속흐름방식에 의한 촉매의 성능평가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저농도부터 고농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performance of photocatalytic material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 내, 외장재 및 산업응용분야에 사용되는 광촉매 원료 및 제품의 연구, 개발, 생산공정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시판 제품의 성능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연속적인 제품생산 및 신규 연구개발활동에 필수적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s라 칭함) 등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오염물질을 연소시키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으로 채용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일정이상의 농도가 유지되지 못하면 연료비용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등의 공정유동성이 낮으며, 연소시 질소산화물(NOx), 다이옥신(Dioxine) 등이 발생하여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고, 설치 및 운전비용이 지나치게 높아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광촉매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방법이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광촉매 산화법이라 함은, 일정한담지체에 지지되어 있는 광촉매에 일정한 파장(400nm이하)의 빛을 조사하면, 최외곽의 전자가 전도대의 에너지준위로 이동하면서 기저상태의 에너지 준위에는 정공(hole)이 생성되며, 상기 정공에서의 산화반응에서 수산화 자유기(Hydroxyl Radical; OH-)가 생성되며, 이 수산화 자유기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강한 산화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광촉매 산화법은 촉매에 일정한 에너지 이상의 빛이 조사되어야만 활성화되는 특성과 표면반응으로서 촉매의 표면에 분해대상 물질이 흡착되어야만 하는 등, 일정이상의 효율을 얻기 위한 가스의 체류시간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어 이의 상업화가 제한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흡착제 이송을 통한 대기오염물질의 처리방법은 농도차에 의해서만 탈착 및 이동되어 탈착율이 낮고, 탈착시간과 반응시간이 동일하여 완전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정량이 흡착제에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실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농도로서 촉매표면에 오염물질의 흡착확률은 높으나 결국은 오염성분의 가스가 온도 및 농도확산에 의해 한번 지나는(single pass)동안 가스중의 오염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실상 대부분은 냉각기의 응축에 의한 것으로 응축수의 처리가 필요하며, 촉매의 반응에서도 고농도의 오염성분이 촉매표면을 감싸게 됨으로서 촉매의 활성이 저하(deactivation)되어 장기적으로는 그 효율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063호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을 광촉매 물질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염물질이 함유된 외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내부공간에 일정량의 흡착제가 충진되고, 복수개의 가열봉이 수직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처리조를 각각 갖추어 흡착, 탈착반응이 일정시간을 두고 번갈아가며 일어나는 흡탈착 처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처리조와 연통연결되어 탈착반응으로 탈착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산소공급조를 갖추어 상기 유입된 유해가스를 1차로 광분해하면서 온도·수분 조절 및 광촉매 반응기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및, 상기 산소공급조와 연통연결되어 1차 분해된 유해가스를 2차로 광촉매에 의해 분해하는 광촉매 분해처리조를 갖추어 가스를 재순환시키는 광촉매 분해반응부;를 포함하는 광촉매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광촉매 물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는 시판되고 있는 것이 없으며 일부 학술적인 보고서 및 간이 연구보고서에 간략히 구성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대부분은 연속을 무시한 회분식 반응기이고, 또한, 반응가스의 농도도 고농도로 실시하고 있으며 측정장비도 고농도 가스분석용 가스검출튜브를 적용하여 실제 환경조건과는 상이한 평가조건을 적용함으로서 객관적인 평가결과로 인정하기 어렵고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에 연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성능 및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활동에 따른 지구 온난화물질, VOCs, 대기권오염물질 및 오존층파괴물질의 제어가 시급함에 따라 이들 대기오염물질,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해, 산화 및 환원을 위한 촉매제품이 개발됨에 따라, 기온 및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온습도 조절장치를 부착하고 회분식반응이 아닌 연속흐름식을 채택하여 광촉매에 의한 저농도로부터 고농도의 VOCs의 분해효율을 측정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Cs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는, 반응가스를 도입하는 반응가스 도입부, 광촉매 시료의 시험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광촉매 시료를 적재한 시험편과 자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혼합가스를 통과시켜 반응시키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서의 반응 전후의 광량을 비교측정하는 검출계, 및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 반응부 및 검출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기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는, 광촉매의 성능평가를 위한 반응가스, 상기 반응가스의 유량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질소가스 및 상기 반응가스의 반응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순도 공기를 저장 및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계; 상기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도입되는 유체의 유량흐름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밸브; 상기 도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량흐름 조절계(MFC); 상기 도입되는 유체들을 혼합하여 제공하는 가스혼합조; 및 상기 혼합된 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습도 조절용 폭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의 반응가스 도입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의 반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질소가스11: 반응가스
12: 고순도 공기14: 비활성가스 분배계
31: 고순도 공기 여과기15, 25 및 35: 전자개폐 밸브
16, 26 및 36: 유량흐름조절계(MFC)
40: 온습도 조절용 폭기조44 및 74: 온습도계
60: 유체 공급부70: 혼합가스 혼합조
80: 혼합가스 반응부81: UV 강도조절대
82: 자외선 램프83: 램프 지지대
84: UV 반사판(스테인레스스틸)85: 시험시료
86: 가스반응기 하우징87: UV센서
88: 광투과창판89: 시편 고정틀
90: 가스측정계91: 혼합반응가스 입구
92: 혼합반응가스 출구93: 농도 측정용 4방(four way) 밸브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체상 대기오염물질, 특히 VOCs에 대해 광분해 작용을 나타내는 광촉매 원료 및 제품의 오염물질 제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속흐름방식에 의한 촉매의 성능평가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저농도부터 고농도의 VOCs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가스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의 반응가스 도입부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기오염가스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의 반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참조부호 10은 질소가스, 11은 반응가스, 12는 고순도 공기, 14는 비활성 가스 분배계, 31은 고순도 공기 여과기, 15, 25 및 35는 전자개폐밸브, 16, 26 및 36은 유량흐름 조절계(이하, MFC라 칭함), 40은 온습도 조절 폭기조, 44 및 74는 온습도계, 60은 유체 공급부, 70은 가스혼합조, 80은 반응부, 81은 UV 강도조절대, 82는 자외선 램프, 83은 램프 지지대, 84는 UV 반사판(스테인레스스틸), 85는 시험시료, 86은 가스반응기 하우징, 87은 UV 센서, 88은 광투과창판, 89는 시편 고정틀(테프론 수지판), 90은 가스측정계, 91은 혼합반응가스 입구, 92는 혼합반응가스 출구 및 93은 농도 측정용 4방 밸브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전기 제어부, 반응가스 도입부(도 1 참조), 반응부(도 2 참조) 및 검출계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제어부는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도입되는 유체의 제어 및 조절을 실시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전기 제어부는 시스템 전원, UV 램프 전원, MFC 조절부, 온도 및 습도 조절센서, 전자식 개폐밸브 작동 조절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는 고순도 공기, 질소가스 및 반응가스를 일정한 압력 및 정량적으로 공급하여 반응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온습도 조절 및 기체흐름의 공간속도를 가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응가스 도입부는, 광촉매의 성능평가를 위한 반응가스(11), 상기 반응가스의 유량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질소가스(10) 및 상기 반응가스의 반응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99.999% 이상의 고순도 공기(12)를 저장 및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60); 상기 유체 공급부(6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계; 상기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도입되는 유체의 유량흐름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밸브(15, 25, 35); 상기 도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MFC(16, 26, 36); 상기 도입되는 유체들을 혼합하여 제공하는 가스혼합조(70); 및 상기 혼합된 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습도 조절용 폭기조(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11)는 광촉매 시료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가스로서, 일정 농도 및 사용기한을 갖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및 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VOCs 표준가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11)는 포름알데히드에 고순도 공기를 정량비로 포회시켜 얻어지는 수 ppm의 일정 농도의 VOCs 가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반응가스(11)의 농도는 1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계는 질소가스, 반응가스, 고순도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조, 예를 들어 봄베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여과기(31)는 분체형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을 충진하여 고순도 공기에서 제거되지 않은 극미량의 기체상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개폐밸브(15, 25, 35)는 질소를 이용하여 MFC에 들어가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MFC(16, 26, 36)에서는 가스혼합조(70)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MFC(36)에서는 물이 담겨 있는 온습도 조절 폭기조(40)내에 공기를 정량적으로 폭기하여 습도를 포함한 공기를 가스혼합조(70)에 보내어 습도를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벤트(vent)시킬 수 있고, 반응기에 설치된 히팅쟈켓에 의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온습도 조절용 폭기조(40)는 촉매상에서 반응하는 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반응부(도 2 참조)는 광촉매 재료시편이 들어 있는 반응기에 혼합가스가 도입되어 광촉매에 의한 오염가스의 제거성능을 평가하는 부분으로, UV 발생부 및 반응기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UV 발생부에는 자외선 램프(82), UV 반사판(84), UV 강도조절대(81) 및 램프 지지대(8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82)는 광원으로서 사용하며, 특히 광화학용 형광램프, 즉, 블랙라이트 파장역 300∼400nm의 UV-A 램프, 250∼350nm 정도의 UV-B 램프, 200∼300nm의 UV-C 램프 등을 광학필터 또는 광조사 용기의 창판을 통과시키어 시료편이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조도는 필요에 따라 수 W/m2가 되도록 광조사 용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방사 조도의 측정에는 교정이 끝난 자외선 강도계를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광조사 용기에 외부의 빛이 입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UV 반사판(84)은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서, 특히 내식성 STS 304를 사용하여 램프에서 발생되는 UV가 반응기에 UV광이 집적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UV 반응부는 도 2와 같이 램프 지지대(83)를 구성하여 램프의 길이 및 지름에 상관없이 탈부착이 쉽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응기는 가스반응기 하우징(86, 특히 상향식 가스 반응기 하우징), UV 센서(87), 시편 고정틀(89), 광투과창판(8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반응기의 하우징(86)은 UV 열화를 고려하여 테프론으로 코팅하여 있다.
또한 UV 센서는 UV 강도조절대(81)의 거리조절에 따라 자외선 램프(82)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반응기의 상, 중, 하단에 3개를 설치하여 장시간 램프(82)를 가동하는 경우, 측정시의 시편 3분할 지점별, UV 강도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편 고정틀(89)은 시편의 크기 및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테프론 수지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판(88)은 평면상의 시험편과 평행하게 두께 5mm의 공간을 두어 설치하며, 이의 재질은 수정 유리판 또는 용융실리카판이다. 특히, 램프의 광원이 300nm 이상의 파장영역에는 수정 유리판 재질을 이용하여 시편에 도달하는 광량 및 파장을 조절하였고, 300nm 미만의 파장영역에는 용융실리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VOCs의 흡착은 적게 하고, 근적외선 조사에 견딜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고순도 공기와 정량비로 혼합된 반응가스는 시험편과 창판과의 사이의 공간만을 통과한다.
한편, 반응기(80)내 혼합반응가스가 도입되는 입구(91)의 부분은 혼합반응가스가 최단거리에서 시편의 표면위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반응할 수 있도록 40∼60°범위의 최적 각도로 설계한다.
또한, 도입된 상기 일정 농도의 혼합가스는, UV와 광촉매에 의해 반응된 후 검출부로 이송되며 가스측정계(90)에 의해 혼합반응가스의 도입 전과, 혼합반응가스의 출구(92)의 농도를 측정하여 제거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측정계(90)는 VOCs의 측정을 위한 반응가스의 농도조절 및 확인용으로, 광이온 검출방식 검출계(PID: Photo Ioization Detecter)를 사용하고, 실제 정량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불꽃염화검출기로 분석하며, 시료분석용 루프를 설치하면 분석감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흐름식 반응기를 사용하여 광촉매 기능을 부여한 재료의 대기정화 성능시험에 따르면, 규정된 시험실 조건에서 시험재료를 연속흐름시 광반응장치에 장착하고 연속흐름 방식으로 일정농도의 VOCs를 유출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후 입출구에서의 VOCs의 농도를 측정하여 제거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환경하에서 광촉매 재료에 의한 대기오염가스의 제거과정을 모사하고 있다. 이때의 조건은 광촉매에 의해 대기오염물질의 제거가 일어나는 최적조건에 대응하지는 않지만 잠재적 제거 가능성 또는 자연 대기환경하에서 광촉매 재료의 성능평가를 위한 척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물질 및 재료는
-천연 및 합성 광촉매의 원료 및 그 혼합물(이산화티탄분말 또는 졸, 슬러리, 코팅제 등),
- 광촉매 원료를 이용한 제품 및 소재,
또는 -대기정화용 건축내외장재 등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광촉매 재료의 성능을 측정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광촉매 재료의 시험편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VOCs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시험관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 능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모의 오염 공기 공급장치, 광조사 용기, 광원, 오염물질 측정장치로 된다. 저농도의 오염물질을 다루는 경우에는 흡착 등에 의한 손실이 최소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시험편의 모양은 폭 20.0±0.5mm, 길이 100±0.5mm로 한다. 또한, 광촉매면 이외에 의한 가스흡착을 억제함과 동시에 세척 및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험편의 두께는 5mm 이내가 적당하다(본 발명의 방법과 동일한 시험조건이 확보된 경우에 한하여, 이외의 형상의 광촉매 재료도 사용할 수 있고, 두꺼운 시험편으로, 측면에 의한 흡착이 예상된 경우는 미리 측면을 실링(sealing)을 해 둔다).
하기 순서로 실시하고, 어두운 곳에서 흡착량, 광조사하의 제거량, 시험후의 탈착량을 조사한다.
a) VOCs 농도 100 vol ppm 이하, 습도 50 RH%, 온도 20.0±2.5℃의 반응가스가 안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공급장치를 미리 조정하여 둔다. 온도 및 습도의 측정은 반응가스의 혼합조내에 습도 센서에 의해 연속측정된다.
b) 광조사 용기내에 시험편을 설치하고, 창판까지의 공간의 두께를 조정한 후, 창판을 설치하고 밀폐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다. 반응기내 3개의 지점의 UV 센서로부터 UV 강도를 측정하고, 지지대 거리를 조정하여 반응에 필요한 UV 강도를 설정한다.
c) 광조사를 행하지 않고 흐름을 바꾸어, 광조사 용기에 반응가스를 도입한다. 유량은 3.0L/mim(평균 선속도로서 0.2m/s)로 조절한다. 20분간 계속하여, 빛이 없는 상태에서 반응가스의 농도변화를 기록한다. 단, 30분 후의 반응가스 농도가 공급농도의 90% 이하인 경우에는, 이것을 초과할 때까지 계속한다.
d) 광원을 켜고 광조사하의 반응가스 농도는 해당 측정분석계를 사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물질의 농도를 연속 5시간 범위내에서 적당한 구간으로 설정 기록한다.
(반응가스 초기 농도 벤젠 2 ppmv, NO 1ppmv)
반응시간 벤젠제거율(%) 톨루엔제거율(%) NO제거율(%)***
시편 1* 시편2** 시편 1 시편 2 시편 3 시편4
0분 0 0 0 0 0 0
30분 23.0 18.5 48.5 73.0 92.5 50.7
60분 25.9 20.2 51.7 75.8 92.3 50.5
120분 27.4 20.3 51.4 77.1 92.0 49.9
180분 27.6 20.1 51.9 77.3 92.0 49.0
240분 28.2 30.1 56.2 78.4 91.8 48.2
300분 30.0 20.0 60.7 78.8 91.5 48.0
시편 1 : 석영판상에 코팅된 TiO2CVD (10×20cm)
시편 2 : 알루미늄 네트상에 코팅된 TiO2(10×20cm)
시편 3 : 세라믹 보드상의 TiO2혼합물 (10×20cm)
시편 4 : 세라믹 보드상의 TiO2혼합물 (5×10cm)
*UV-A 광원, 50% RH, 반응가스 유속 2L/분
**UV-C 광원, 50% RH, 반응가스 유속 2L/분
***UV-A 광원, 50% RH, 반응가스 유속 3L/분
본 발명의 장치는 광촉매 제품 및 시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로서 온습도 조절 및 자외선 강도 조절이 가능하고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기체상 대기 오염물질을 연속흐름방식에 의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고 연속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Claims (2)

  1. 반응가스를 도입하는 반응가스 도입부, 광촉매 시료의 시험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광촉매 시료를 적재한 시험편과 자외선 광원 사이에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로부터 도입된 혼합가스를 통과시켜 반응시키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서의 반응 전후의 광량을 비교측정하는 검출계, 및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 반응부 및 검출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기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 도입부는,
    광촉매의 성능평가를 위한 반응가스, 상기 반응가스의 유량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질소가스 및 상기 반응가스의 반응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고순도 공기를 저장 및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상기 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계;
    상기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도입되는 유체의 유량흐름을 조절하는 전자개폐 밸브;
    상기 도입되는 유체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유량흐름 조절계(MFC);
    상기 도입되는 유체들을 혼합하여 제공하는 가스혼합조; 및
    상기 혼합된 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습도 조절용 폭기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가스는 일정 농도를 갖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및 자일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표준가스, 또는 포름알데히드에 고순도 공기를 정량비로 포회시켜 얻은 일정 농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KR10-2003-0036109A 2002-06-04 2003-06-04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KR100468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1378 2002-06-04
KR1020020031378 200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64A true KR20030095264A (ko) 2003-12-18
KR100468617B1 KR100468617B1 (ko) 2005-01-27

Family

ID=323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109A KR100468617B1 (ko) 2002-06-04 2003-06-04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20B1 (ko) * 2006-11-28 2008-03-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외선 발광소자와 자외선-촉매를 적용한 접촉연소식가연성 가스센서
CN104634920A (zh) * 2015-02-11 2015-05-20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气相光催化反应气路装置
CN106053710A (zh) * 2016-07-21 2016-10-26 西南石油大学 气相污染物光催化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WO2016147266A1 (ja) * 2015-03-13 2017-11-24 富士通株式会社 反応状態測定装置
CN107930393A (zh) * 2018-01-10 2018-04-20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降解挥发性有机物的气相光催化反应装置
CN110045057A (zh) * 2019-05-24 2019-07-23 北京北大明德科技发展有限公司 催化剂性能评价装置及方法
KR20200113136A (ko) * 2019-03-22 2020-10-06 (주)벤텍프런티어 광촉매의 공기정화 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CN112213405A (zh) * 2019-07-12 2021-01-12 上海博馨环境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型VOCs在线监测系统
KR20210051411A (ko) * 2019-10-30 2021-05-10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20220080391A (ko) * 2020-12-07 2022-06-14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샘플가스의 지구 온난화 지수 산정을 위한 대기 중 수명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33Y1 (ko) 2012-01-09 2013-11-05 주식회사 디카팩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KR102155714B1 (ko) 2020-07-07 2020-09-14 한국세라믹기술원 광·암조건 동시 측정용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177152B1 (ko) 2020-07-30 2020-11-10 한국세라믹기술원 범용 건축자재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102458710B1 (ko) 2021-04-22 2022-10-24 한국세라믹기술원 광촉매 분말 성능 평가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20B1 (ko) * 2006-11-28 2008-03-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외선 발광소자와 자외선-촉매를 적용한 접촉연소식가연성 가스센서
CN104634920A (zh) * 2015-02-11 2015-05-20 中国科学技术大学 一种气相光催化反应气路装置
JPWO2016147266A1 (ja) * 2015-03-13 2017-11-24 富士通株式会社 反応状態測定装置
CN106053710A (zh) * 2016-07-21 2016-10-26 西南石油大学 气相污染物光催化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7930393A (zh) * 2018-01-10 2018-04-20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降解挥发性有机物的气相光催化反应装置
KR20200113136A (ko) * 2019-03-22 2020-10-06 (주)벤텍프런티어 광촉매의 공기정화 성능 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CN110045057A (zh) * 2019-05-24 2019-07-23 北京北大明德科技发展有限公司 催化剂性能评价装置及方法
CN112213405A (zh) * 2019-07-12 2021-01-12 上海博馨环境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复合型VOCs在线监测系统
KR20210051411A (ko) * 2019-10-30 2021-05-10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중 구조형 접촉식 현장 광촉매 성능평가 장치
KR20220080391A (ko) * 2020-12-07 2022-06-14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샘플가스의 지구 온난화 지수 산정을 위한 대기 중 수명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617B1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61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용 광촉매 성능평가장치
Dibble et al. Kinetics of the gas-solid heterogeneous photocatalytic oxi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near UV illuminated titanium dioxide
US10295517B2 (en) Heated graphite scrubber to reduce interferences in ozone monitors
Augugliaro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nitrophenols in aqueous titanium dioxide dispersion
Wang et al. The kinetics of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gas phase over TiO2 supported on glass bead
CA2045517C (en) Gas-soli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s
Obee et al. Effects of moisture and temperature on the photooxidation of ethylene on titania
Wang et al.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 smog chamber for studying gas-phase chemical mechanisms and aerosol formation
Plum et al. Hydroxyl radical rate constants and photolysis rates of. alpha.-dicarbonyls
US6752957B1 (en) Photocatalytic reactor and method for destruction of organic air-borne pollutants
Ao et al. Inhibition effect of SO2 on NOx and VOCs during the photodegradation of synchronous indoor air pollutants at parts per billion (ppb) level by TiO2
US8395776B2 (en) Ozone monitor with gas-phase ozone scrubber
CN112370966B (zh) 一种用于VOCs非均相反应的间歇式光反应器及其应用
Malayeri et al. Kinetic modeling of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 ethyl ketone in air for a continuous-flow reactor
CN1621844A (zh) 二氧化钛薄膜自洁净玻璃光催化活性检验方法
Zheng et al. Degradation of methyl mercaptan by a microwave-induced photoreaction process
Mothes et al. A chamber study on the reactions of O 3, NO, NO 2 and selected VOCs with a photocatalytically active cementitious coating material
KR20080039643A (ko) 오존/자외선/촉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악취 처리방법
Hall et al.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studies of UV/titania photocatalytic oxidation of VOCs in honeycomb monoliths
CN213600650U (zh) 一种光催化降解NOx反应及测试系统
Mehling et al. Photocatalytic ozonation in an immersion rotary body reactor for the removal of micro-pollutants from the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Yao Application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treatment of air from livestock buildings and industrial facilities
Jacoby Destruction of trichloroethylene in air via semiconductor mediated gas-solid heterogeneous photocatalysis
JPH05504835A (ja) 硫黄含有および非硫黄含有化合物の同時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274483A (ja) パルス式流通型光触媒評価装置および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