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688A - 조립식 맨홀 - Google Patents

조립식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688A
KR20030092688A KR1020020030435A KR20020030435A KR20030092688A KR 20030092688 A KR20030092688 A KR 20030092688A KR 1020020030435 A KR1020020030435 A KR 1020020030435A KR 20020030435 A KR20020030435 A KR 20020030435A KR 20030092688 A KR20030092688 A KR 2003009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refabricated
block
groo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인프라 filed Critical (주)아이티인프라
Priority to KR102002003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688A/ko
Publication of KR2003009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케이블 및 전기 케이블의 분기점이나 연결부에 설치되는 조립식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의 분기점이나 연결부에 설치되는 조립식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은 맨홀 내벽을 포함하는 내주면, 맨홀 외벽을 포함하는 외주면으로 구성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블럭, 상기 상부블럭과 동일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블럭과 결합되는 중앙블럭 및 상기 중앙블럭과 결합되는 하부블럭을 가지며,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각 블럭끼리의 접합시 상단에 위치되는 상판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중심부는 평평한 단면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양 모서리 부분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양 모서리 사이는 평평한 단면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상판과 접하는 하판 접합부의 단면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 1홈, 양 모서리 부분은 상기 상판과 대칭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홈의 좌·우측에는 제 2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및 전기용 조립식 맨홀의 접합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맨홀{A Prefabricated Manhole}
본 발명은 통신용 케이블의 분기점이나 연결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Manhole)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조립식으로 매설되는 통신용 케이블의 맨홀의 상판과 하판의 접합면의 구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접합면의 특정 지점에 탄성력을 갖는 수팽창 지수재를 설치하여 맨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외부 유입수를 차단하는 조립식 맨홀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및 통신 관련 시설은 현대의 정보 통신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기반 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및 통신 관련 시설들은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연결되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케이블을 통한 유선망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선망의 근간을 이루는 케이블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고 관리하지 못한다면 정보 통신 사회의 기반이 흔들리는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선망의 설계 및 관리의 중요성으로 인해 유선망은 하나의 사회 간접 자본으로서 정부나 통신망 운용 회사에 의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종래 전신주 등으로 지상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던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은 지상 공간의 활용 및 미관상의 목적 등으로 정부나 통신망 운용 회사에 의해 양 끝단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차도나 인도의 지하 공간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통신 케이블 길이의 한계, 중계기의 설치, 분기 접속, 포설 작업의 용이성, 유지 보수의 용이성 등 다양한 이유로 지하 통신 선로는 수백 미터 내지 수 킬로미터마다 접속 지점을 갖고, 이 접속 지점마다 맨홀(Manhole)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선로의 대부분이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블의 특성으로 인해, 지하에 매설되는 부분에 대한 철저한 관리는 필수적이다.
맨홀은 통신용 맨홀 이외에도, 상수로나 하수로와 같은 수로의 관리를 위한 맨홀, 전기선 및 통신선의 관리를 위한 맨홀, 가스 배관의 관리를 위한 맨홀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또한, 맨홀은 매설물이 설치된 지하와 지상을 연결하여 매설물의 관리 및 조작을 위한 인원이나 장비가 투입되는 통로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통로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투입되어 관리에 지장을 주거나 매설물을 오염시키는 경우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맨홀의 상부 통로를 맨홀 뚜껑으로 덮어 밀폐시킨다.
한편,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지하 매설시 시공되는 맨홀은 맨홀이 시공되는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맨홀이 제작되는 현장타설식 맨홀과 공장 등에서 규격에 맞게 미리 맨홀을 제작한 후 매설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치하는 조립식 맨홀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장 타설식은 종래 주로 사용되는 시공 방법으로 먼저,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경로상에 맨홀이 설치될 지점에 적정 크기의 구덩이를 파고, 지면을 평탄화시킨후 설치 규격에 맞게 거푸집을 만든다. 거푸집을 만든 후에는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적정 시간 동안 콘크리트를 굳힌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형성된 맨홀의 주위에 흙을 다시 메우고 맨홀 내에서 전기 및 통신 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하는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 현장 타설식 맨홀의 시공 방법은 맨홀 시공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현장에서 바로 타설되는 관계로 맨홀의 품질이 저하되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을 요하는 특성상 도심지의 번화가나 교통량이 많은 도로 등에서 시공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통 장애를 유발시키거나 민원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현장 타설식 맨홀의 시공 방법이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조립식 맨홀의 시공 방법이다.
조립식은 현장 타설식과 달리, 현장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맨홀을 타설하지 않고 사전에 공장에서 맨홀을 제작하여 제작된 맨홀을 운반하여 시공 현장에서 조립 거치하여 맨홀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조립식은 공장에서 사전에 맨홀을 제작하므로 현장 타설식에 비해 시공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중장비가 필요하지 않는 등 간편하게 맨홀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산 공장에서의 엄격한 관리를 통해 맨홀의 품질을 균일화 및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 시간의 단축으로 교통 장애 및 주민들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맨홀(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빈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의 맨홀 내벽(15)의 상단부에 맨홀 뚜껑(12)이 설치된다. 맨홀 뚜껑(11)은 맨홀 내부로 맨홀 뚜껑(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개 원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맨홀 외벽(16)의 특정 지점에 다수의 통신용 케이블이 맨홀(10)으로 삽입되기 위한 인입관로(14)이 맨홀 내벽(15)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인입관로(14)은 맨홀(10)으로 삽입되는 통신 케이블의 개수나 방향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맨홀 내벽(15)과 맨홀 외벽(16)사이의 공간은 대개 콘크리트 등으로 채워져 있다. 절단선 AA'는 맨홀(10)의 맨홀 내벽(15)과 맨홀 외벽(16) 사이를 화살표 B 방향으로 절단한다. 절단선 AA'로 절단한 경우의 상판(18)과 하판(19)의 접합부 단면도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조립식 맨홀(10)을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맨홀 외함의 상판(20)과 하판(22)은 접합하는 부분의 형틀이 절삭 및 가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판(20)과 하판(22)이 접합하는 부분에 생기는 미세한 틈새에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먼저 주입재(24)를 펌프를 이용하여 주입시킨다. 그런 다음, 접합부의 양 끝단에 수분과 접촉하면 팽창하는 수팽창 지수재(26)를 끼워 넣는다. 여기서, 접합부에 주입되는 주입재(24)는 굳게 되면 강도가 강해지고 수축성이 거의 없어 접착력이 뛰어난 모르타르(Morta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접합 방법은 최초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막아주는 수팽창 지수재(26)가 일반적으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쉽게 접합부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접합부에 충진된 모르타르는 접착력은 뛰어나지만 수축력이 없어 장기간 맨홀을 사용하게 되면 상판(20)이나 하판(22)과의 접착면에 균열이 생겨 맨홀(10)의 내부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맨홀(10) 외부의 온도 변화가 커지면 콘크리트와 주입재(24)의 열팽창 계수가 서로 상이하므로 콘크리트와 주입재(24)의 접합에 균열이 발생하여 균열이 생긴 틈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조립식으로 매설되는 통신용 케이블의 맨홀의 상판과 하판의 접합면의 구조를 변경하고, 변경된 접합면의 특정 지점에 탄성력을 갖는 수팽창 지수재를 설치하여 맨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외부 유입수를 차단하는 조립식 맨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립식 맨홀을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접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일측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맨홀의 내부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번호의 설명>
10, 30 : 맨홀 12 : 방수해치
14 : 인입관로 15, 52 : 맨홀 내벽
16, 54 : 맨홀 외벽 18, 47 : 상판
19, 48 : 하판 24 : 주입재
26, 44 : 수팽창 지수재 40 : 차수판
41 : 방수판 42 : 백업재
43 : 돌출부 44 : 중심부 홈
45 : 주변부 홈 46 : 씰링테이프
50 : 틈 52 : 맨홀 내벽
54 : 맨홀 외벽 62 : 내주면
64 : 외주면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의 분기점이나 연결부에 설치되는 조립식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30)은 중공부를 갖는 맨홀 내벽(52)을 포함하는 내주면(62), 상기 내주면(62)보다 외주가 크며 상기 맨홀 내벽(52)을 둘러싸는 맨홀 외벽(54)을 포함하는 외주면(64)으로 구성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블럭(32), 상기 상부블럭(32)과 동일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블럭(32)과 결합되는 중앙블럭(33) 및 상기 중앙블럭(33)과 결합되는 하부블럭(36)을 가지며, 상호 결합되는 상기 상부블럭(32), 상기 중앙블럭(34) 및 상기 하부블럭(36)의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각 블럭끼리의 접합시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47)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중심부는 일정한 길이의 평평한 단면을 갖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양 모서리 부분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43)와 상기 양 모서리 사이는 평평한 단면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상판(47)과 접하는 하판(47)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돌출부(4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 1홈(44)이 형성되고, 양 모서리 부분은 상기 상판(47)과 대칭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홈(44)의 좌·우측에는 제 2홈(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은 직육면체와 같은 네모난 형상을 가지며, 상부블럭(32), 중앙블럭(34) 및 하부블럭(36)이 순차적으로 접해 있는 3단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블럭(32)의 표면상에는 맨홀(30) 내부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방수해치(31)가 설치되는데, 방수해치(31)는 지상으로부터의 수분이나 오염 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중앙블럭(34)은 도 1에서 설명하였듯이, 다수의 통신용 케이블이 삽입되는 맨홀(30)의 핵심 부분이다.
하부블럭(36)은 맨홀(30)이 지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지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나 벌레 등으로부터 중앙블럭(34)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은 먼저, 지면을 평탄화시킨 다음 하부블럭(36), 중앙블럭(34) 그리고 상부블럭(32)의 순서로 조립하는데, 각 블럭간의 접합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물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이 3단구조로만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2단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맨홀(30)의 접합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의 상부블럭(32)과 중앙블럭(34), 중앙블럭(34)과 하부블럭(36)은 접합부를 통해 결합된다. 또한, 각 접합부의 단면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서로 접하는 각 블럭을 상판(47)과 하판(48)으로 표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의 상판(47)과 하판(48)의 접합부 형틀 역시 생산 공장에서 미리 제조 규격에 맞추어 절삭 및 가공을 거치므로 맨홀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접합부 형틀이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47)과 하판(48)의 접합부는 맨홀(3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맨홀(30)의 내부로 누설되는 수분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조물을 접합부에 설치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먼저, 상판(47)에 대해 설명하면 상판(47)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평평한 단면을 갖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47)의 양 모서리 부분은 경사져 있으며 상판(47)의 양 모서리 부분과 돌출부(43) 사이는 평평한 단면으로 이어져 있다.
하판(48)에 대해 설명하면, 하판(48)의 양 모서리 부분은 상판(47)의 양 모서리 부분과 대칭되도록 경사진 형상이며, 하판(48)의 중심부에는 상판(47)의 돌출부(43)와 대응되는 평평한 단면을 갖는 중심부 홈(49)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48)의 중심부 홈(49)에는 상판(47)의 돌출부(43)가 끼워져 상판(47)과 하판(48)이 결합된다.
중심부 홈(49)의 좌·우에는 동일한 모양과 깊이를 갖는 주변부 홈(45)이 중심부 홈(49)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주변부 홈(45)은 그 크기와 파여진 홈의 깊이가 중심부 홈(49)보다 작으며, 파여진 홈의 끝단이 중심부 홈(49)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단면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심부 홈(49)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의 주변부 홈(45)이 형성되어 있지만, 좌측이나 우측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거나 좌·우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주변부 홈(4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접합부의 각 홈에 끼워지는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면, 상판(47)의 돌출부(43)와 하판(48)의 중심부 홈(49)의 접합부에는 씰링테이프(Sealing Tape)(46)가 설치된다. 씰링테이프(46)는 상판(47) 및 하판(48)과 접하는 부분은 접착성을 갖는 고무 재질이며, 상판(47) 및 하판(48)과 접하지 않는 내부는 일반적인 고무 재질로 되어 있다. 씰링테이프(46)는 접합부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하판(48)의 주변부 홈(45)에는 수팽창 지수재(44)가 끼워져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수팽창 지수재(44)는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 등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침수 및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우수한 지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나 합성 수지재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며 물이나 습기와 접촉하면 스스로 체적을 팽창시켜 지수를 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이 수팽창 지수재(44)와 접촉하면 수팽창 지수재(44)는 자신의 체적을 최대 4배까지 팽창시켜 상판(47)이나 하판(48)의 재질인 콘크리트에 형성된 공극을 막아 수분의 침투를 억제시킨다.
주변부 홈(45)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갖는 맨홀 외벽쪽의 볼록한 부분에는 백업(Backup)재(42)가 끼워져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백업재(42)는 서로 접합하는 단면의 접합 깊이의 조정,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갖으며 합성 고무나 실리콘(Silicon)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맨홀 내벽과 맨홀 외벽측의 접합부에는 접착 및 방수 기능이 뛰어난 에폭시(Epoxy) 수지로 제조된 방수재(41)가 끼워진다. 방수재(41)가 끼워진 후에는 맨홀 내벽 및 맨홀 외벽과 방수재(41) 사이의 미세한 공간을 실리콘 등을 충진하는 마감 처리를 하여 방수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맨홀 외벽측의 접합부에는 에폭시 수지로 제조된 차수판(40)을 접착시켜 마감 처리한 부위를 보호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판(47)과 하판(48)의 접합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들이 상판(47)이나 하판(48)과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각 구조물들은 상판(47) 및 하판(48)의 접합면과 완전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맨홀 외벽으로부터 맨홀(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맨홀 외벽측에 설치된 차수판(40), 방수재(41), 백업재(42), 수팽창 지수재 (44)에 의해 저지당한다. 만약, 맨홀 외벽에서 유입된 수분이 씰링테이프(46)까지 도달하더라도 씰링테이프(46) 및 오목한 중심부 홈(49)에 의해 다시 저지당한다.
또한, 중심부 홈(46)을 기준으로 맨홀 내벽측의 경사진 부분을 통과한 극소량의 수분마저도 수팽창 지수재(44), 백업재(42), 방수재(41)에 의해 맨홀 내부로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차단당하므로 맨홀 외벽으로부터 맨홀 내벽으로의 수분의 유입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물론, 수분 이외의 이물질 및 기타 용액도 마찬가지로 맨홀 내부로의 유입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당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의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맨홀 외벽(54)에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틈(50)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맨홀은 4개의 각 변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틈(50)을 가지고 있다. 물론, 틈(50)은 수분의 유입 방지를 위하여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리콘 등을 사용한 마감 처리와 차수막(40)이 부착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맨홀 외벽(54)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 맨홀 내벽(52)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였듯이 각 판의 접합면에 설치된 방수 기능을 갖는 여러 개의 구조물을 통과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맨홀(30)의 내부로의 수분 유입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30)도 종래 맨홀(10)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비어 있는 내주면(62)과 내주면(62)보다 외주가 크며 내주면(62)을 둘러싸고 있는 외주면(64)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주면(62)과 외주면(64) 사이는 콘크리트 재질로 채워져 있다. 도 6을 보면 외주면(64)의 맨홀 외벽(54)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맨홀 외벽(54)에 형성된 틈(50)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직사각형 모양의 접합부에서 도 4에서 설명한 구조물들을 거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수 구조에 의해 수분의 유입은 완벽하게 차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의 상판과 하판의 접합부에 여러 단계의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맨홀 외부로부터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가 올라가면 팽창하는 특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제작된 복수개의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종래 조립식 맨홀의 단점인 콘크리트와 주입재의 열팽창 계수의 상이함으로 발생하는 접합면의 균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3)

  1. 케이블의 분기점이나 연결부에 설치되는 조립식 맨홀에 있어서,
    상기 맨홀(30)은 중공부를 갖는 맨홀 내벽(52)을 포함하는 내주면(62), 상기 내주면(62)보다 외주가 크며 상기 맨홀 내벽(52)을 둘러싸는 맨홀 외벽(54)을 포함하는 외주면(64)으로 구성되는 함체 형상의 상부블럭(32), 상기 상부블럭(32)과 동일한 함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블럭(32)과 결합되는 중앙블럭(33) 및 상기 중앙블럭(33)과 결합되는 하부블럭(36)을 가지며, 상호 결합되는 상기 상부블럭(32), 상기 중앙블럭(34) 및 상기 하부블럭(36)의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각 블럭끼리의 접합시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47)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중심부는 일정한 길이의 평평한 단면을 갖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양 모서리 부분은 경사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43)와 상기 양 모서리 사이는 평평한 단면으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상판(47)과 접하는 하판(47) 접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돌출부(43)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 1홈(49)이 형성되고, 양 모서리 부분은 상기 상판(47)과 대칭되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홈(49)의 좌·우측에는 제 2홈(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3)는 상기 제 1홈(44)과 접하는 변의 길이가 상기 제 1홈(49)과 접하지 않는 변의 길이보다 더 짧은 역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3)와 상기 제 1홈(49) 사이의 공간에는 방수 기능을 갖는 씰링테이프(Sealing Tape)(46)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테이프(46)는 상기 상판(47) 및 상기 하판(48)과 접하는 부분은 접착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접하지 않는 부분은 일반 고무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7)과 상기 하판(48)이 결합되는 접합부의 상기 맨홀 내벽(52)측 또는 상기 맨홀 외벽(54)측에는 방수 기능을 갖는 방수막(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외벽(54)측에 설치되는 상기 방수막(41)에는 외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을 막는 차수판(40)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41)과 상기 차수판(40)은 에폭시(Epoxy) 수지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7) 및 상기 하판(48)과 상기 방수막(41)의 접합면은 실리콘(Silicon)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홈(45)은 상기 제 1홈(49)와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홈(45)의 크기는 상기 제 1홈(49)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홈(45)에는 방수 기능을 갖는 수팽창 지수재(44)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 지수재(44)는 고무나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13. 제 5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41)과 상기 수팽창 지수재(44) 사이에는 백업(Backup)재(4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맨홀.
KR1020020030435A 2002-05-30 2002-05-30 조립식 맨홀 KR20030092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435A KR20030092688A (ko) 2002-05-30 2002-05-30 조립식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435A KR20030092688A (ko) 2002-05-30 2002-05-30 조립식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688A true KR20030092688A (ko) 2003-12-06

Family

ID=3238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435A KR20030092688A (ko) 2002-05-30 2002-05-30 조립식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6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558B1 (ko) * 2010-07-02 2011-06-28 한붕전 통합 맨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558B1 (ko) * 2010-07-02 2011-06-28 한붕전 통합 맨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5803A (en) Split duct terminator
US5263298A (en) Procedure for making in-situ manholes for underground electric and telephone lines ductwork
KR100500913B1 (ko) Grp 맨홀구조 및 grp 맨홀의 본체와 연결관의제조공정
KR20200117839A (ko)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시공방법
KR20030092688A (ko) 조립식 맨홀
KR102248587B1 (ko) 지중 전력구 및 그 시공 방법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1014838B1 (ko) 프리캐스트 암거의 결합부 차수 및 지수 차단장치
KR100909111B1 (ko) 합성수지제 맨홀용 접속관 및 합성수지제 접속관을 일체로갖는 콘크리트 맨홀의 제작방법
KR100359294B1 (ko) 조립식 암거
KR100680157B1 (ko)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KR200261918Y1 (ko) 연약 지반의 하수로용 조립식 암거 구조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275760Y1 (ko) 조립식 암거
KR200402405Y1 (ko) 보행자 도로의 전기감전 예방용 맨홀구조
EP0442840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nholes
KR10031685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20010016306A (ko) 조립식 맨홀의 시공방법
KR200378341Y1 (ko) Grp 맨홀구조
AU2020103734A4 (en) An underground work bay
KR2018012567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200256267Y1 (ko) 조립식 암거
KR200402945Y1 (ko) 내구성이 강화된 방수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